• 제목/요약/키워드: Folklore Consciousnes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역사적 현실과 문화적 기억 : 기록 문학과 구술 문학에 나타난 표트르 대제의 형상 (Historical Reality and Cultural Memory: The Image of Peter I in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

  • 서선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201-232
    • /
    • 2012
  • In the world history in the rein of totalitarianism cultural project of government had been activated, and consequently of it official culture had been organized. But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side of it people('narod'), who didn't have cultural means for active expression of own opinion on the reality, had expressed world-view and judgement informally in everyday language. In the literature of autocracy, subjected to censorship, had been expressed and fixed mythically idealized image of sovereign and his works. But in the folklore the image of ruler had been created by liberal fantasy of people. This article examined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 texts of 18 century, when russian people suffered from rapid and dramatic changes, caused by Peter I. Although russian literature of 18 century had gone over to the new literary regime, it still accepted political mechanism as dominant of age, and consequently in the literary texts of this century Peter I was represented as ideal person and great monarch. But various images in folklore texts show that people's opinion on ruler and his activities couldn't be controlled. In other worlds, diverse images of Peter I in folklore texts reflect clear and plain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This analysis reveals not only difference between mechanism of idealization of government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but also meaning of cultural memory as indicator of historical reality.

현대 패션에서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 20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Black on Contemporary Fashion - Concentrating on the Late Twentieth Century -)

  • 송명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권1호
    • /
    • pp.110-126
    • /
    • 1997
  • This dissertation intended to investigate the black color as a fashion color of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black fashion. Black usually expressed a negative meaning, and was regarded as a color for a mourning and a sacred dress in western culture. There found several periods of black trend specially after 14th century. Black was considered as a traditional color of men's fashion since Dandyism. By the effect of art d co fashion, the perception toward black changed to a new beauty in 20th century. There continuously found a lot of aspects of black fashion in the late 20th century. In the high fashion, popularity of black, could be seen at five different look and style : The era of line alphabet, pantaloons suit style, folklore style, mannish look and unconstructive design by Japanese, and in street fashion, it showed at four different style and fashion: Beat style, mods and rockers style, punk fashion and fetish fashi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black fashion at the late 20th century mentioned above sh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Minimalism, dandyism, nihilism, asceticism, eroticism. In 1990s, the black appeared under the retro mood, and it should be regarded specially as one fashion trend of inclination of simplicity. Black should be called the representative color of 20th century fashion with the reason of containing the most of aesthetic consciousness in modern fashion.

  • PDF

한국민담 <하늘에서 빌려온 복>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An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Fairy-Tale "Borrowed Fortune From Heave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백기홍
    • 심성연구
    • /
    • 제38권1호
    • /
    • pp.112-160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민담 "하늘에서 빌려온 복"을 인간 심성이 표현된 자료로서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살피면서 인간 심성의 이해에 한층 더 다가가 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로부터,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서는 새로운 차원의 의식성을 기획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근원적 활동이 늘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의식성을 이루게 될 심적 요소들이 무의식에서 어떻게 준비되며 어떻게 의식으로 통합되어 가는지, 나아가, 그 과정의 진행과 완성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에 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이야기는, 주인공 나무꾼이 가난에서 벗어나고자 두 배 많은 나뭇짐을 마련해 오기 시작하는 데서 시작한다. 그런데, 새로 구해온 짐은 하룻밤이 지나면 사라지고 만다. 이에 나무꾼은 의문을 품고 짐이 어디로 사라지는 것인지를 추적하려 하고, 그러다 뜻하지 않게 하늘 여행을 하게 되며, 마침내, 그간 짐을 거두어 간 게 하늘이라는 것, 그 이유는 그에게 허락된 복 분량이 한 짐뿐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아울러, 태어나지 않은 어떤 이의 큰 복을 확인하고는, 그 복을, 장차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는 조건으로 빌려오게 된다. 이후의 이야기는, 나무꾼이 일련의 새로운 계기들을 만나면서 부농이 되는 과정, 마침내 복 주인이 등장하여 약속된 때에 복을 돌려주는 사건을 거쳐, 최종적인 대반전의 창조적 결말로 이어지게 된다. 전체 서사는, 복 주인에게 복이 온전히 이양된 후에 열리게 될 새로운 삶의 지평, 즉, 진화된 새로운 의식성의 실현을 목적하고 진행되는 일련의 심적 사건으로 이해될 만했다. 여기서 주인공 나무꾼은, 변화가 필요한 낡은 의식으로, 동시에, 새로운 의식성의 실현을 준비하며 장차 거기에 참여하게 될 심적 요소로, 이해해 볼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주인공에게 일어났던 일련의 사건과 변화들은, 새롭게 등장할 의식성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점층적·구체적 예고로 이해해 볼 수 있었다. 주인공은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해간다. 그러나 그런 그도, 복을 이양해야 하는 결정적 순간이 다가오자, 갈등과 고민이 깊어진다. 이는 새로운 의식성의 실현을 위한 마지막 과정의 어려움을 잘 시사해 준다. 특기할 것은, 이야기 속의 모든 심적 사건이 이 마지막 지점에 수렴되고 있었다는 점, 아울러, 문제의 해결이 결국은, 주인공이 자신이 누리고 있는 모든 걸다 내려놓고 하늘의 뜻에 온전히 따르는 순간 일어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민담은, 새로운 의식성의 도래에는 그것에 참여하며 경험을 하게 될 이의 몫이 있음을, 그리고 이 몫은 그 전체 과정을 기획하고 진행해 온 정신 심층의 중심에 온전히 순응하는 것임을, 잘 시사해 주고 있었다. 그때 비로소 체험 주체가 그 최종 열매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만약 체험 주체가 이에 반해 중간 단계의 어느 성과에 집착하며 머무르고자 한다면, 무의식은 최종 목적지를 향해 또 다른 험난한 과정을 전개할 수 있음을, 이는, 한 개인에서든 사회에서든, 새로운 차원의 의식성과 삶이 요청되는 곳에서라면 늘 적용되는 것임을, 본 민담은 아울러 시사해 주고 있었다.

일본 전통문양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raditional Patterns)

  • 김세나;오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511-519
    • /
    • 2003
  • The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with an unique property according to folk character, custom and environment within an area. Especially in 1906, when the westerners were interested in oriental cultures more and more, Paul Poiret presented Japanese traditional dress of napping sleeve coats and harem pants, henceforth japanese fashion theme began to rise. The Japanese style rose as an important fashion item of the modern fashion, with various fashion themes such as orientalism, ethnic, folklore, ecology, etc., needless to say of activities of Japanese designers. The revealed patterns on Japanese dress and it's ornament plays a role of expressive decoration as well as stand for the nation, the ideology of the ag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tudy Japanese traditional pattern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systematically.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demonstrated Japanese traditional patterns on the modern fashion were divided into natural, artificial and complex design and were looked out the characteristic, furthermore it was studied in regard that Japanese patterns were how to apply in modern fash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traditional patterns presented in the modern fashion were as follows: first, cre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design using plenty of natural materials; second, expression of paint-like impression and beauty of margins by simplifying of patterns; third, expression of amusing design by using bright colors and print; finally, various patterns were spreaded out complicated on dres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raditional patterns in the above were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1980년대 오버사이즈 패션의 내적 의미 분석 (An Analysis of Internal Meaning Expressed Oversize Fashion of 1980′s)

  • 이효진
    • 복식
    • /
    • 제54권6호
    • /
    • pp.119-13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1980s' oversize fashion. Especially in 1980s, there were some characteristics that the leading style did not exist as the other decades, but instead of that, various styles coexisted and the existing traditional rule of fashion was destroyed. On the basis of such background, the moulding nature resident in oversize fashion is considered and analyzed as follows. Firstly, 1980s is the time of power suit booming and through such clothes, women disclosed their consciousness that they want to be equal with men. Secondly, In contrast to that a shoulder pad was the trademark of 1980s' clothes, the social aspect that Japanese designers' clothes of layered look and them of grunge look coexisted is directly expressed through these oversize clothes. Thirdly, In 1980s of the time that people's interest to health risen, sports wear was developed to be everyday wear and furthermore, it had variously influences on high fashion so that developed to big look. Fourthly, when it comes to 1980s' clothes, the atmosphere of society denying apparent boundary between sex at that time was resident in androgynous look and the folklore image of sexless style by their appearance in oversize fashion. What is this situation that the style of the past time is popular in the 21st century even such intentional spirit of challenge already passed? Maybe for women, the one way of expressing themselves is through their clothes, and for such reas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social meaning resident in 1980s' clothes is re-examined in the present age.

조선 후기 회화에 나타난 인물 표현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Figure Expressed in Late Joseon Dynasty Paintings)

  • 정윤주;이순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38-653
    • /
    • 2014
  • The structure of noble centered social status of the late Joseon Dynasty collapsed due to the commoner's higher status and increased level of consciousness caused by the growth of commerce and agriculture. In art, the a Korean and ethnical style dominated; however, with a diversity in the depiction of human figures in portraits, Buddhist paintings, genre paintings and folklore pain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ity in human figures expressed in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by expanding the common aesthetic fixed to the typical Joseon style of renowned painte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human figure i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realistic', 'ideal', and 'distortion' based on the aesthetic category. First, the realistic type is defined literally by its realistic and detailed depiction of noble class portraits classified as extreme type and general type. The extreme type's formative element is hypersubtlety which includes a simultaneous aesthetic of aptness and ugliness. The general type shows subtlety with aesthetic of aptness. Second, the ideal type is defined by representing the standard form of time and criteria classified as beautified type, absolute type, and dignified type. Each shows a different character of gender of femininity, androgyny, and masculinity. Third, distortion types are defined by a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humans by transshaping the features in various methods categorized as grotesque, abjection, friendly, rustic, and caricature type. Each shows different formative elements of bizarre, patheticness, voluptuous, inartificial, and immaturity.

민속축제 활성화에 따른 무형문화재의 변용 - 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Transfigur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due to activation of Folk Festival - Gangneung Danoje as the pivot -)

  • 황루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299-312
    • /
    • 2003
  • Gangneung Danoje does not only have the longest history but also is the largest folk festival in Korea. However, during its long history Gangneung Danoje has not always been the way as it is today. As records reveal, since the Chosun dynasty and through Japanese rule, it has gone through numerous variations and registration processes in order to become a national designated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 Especially after it has been appointed as a national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 Gangneung Danoje has under gone through variety of transformations. First of the few changes is the citizen-lead characteristic. As Gangneung Cultulral Center took charge of Danoje this trait has become prominent. Hereby Chosun dynasty's government lead system has transformed into a civilian lead festival. Second alteration is the enormous scale of expansion and the variations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festival because of it. Dano event has increased annually from 12 events in 1974 to 58 events by 1999. As the scale of Danoje enlarged the promoters found solutions by providing diversified events in order to satisfy peoples' various aspirations from the festival. However this solution lead to a diversion - from participating festival to a spectating festival. And the last change that occurred is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develop Danoje into an international festival. This is rather a desire from the government than of the people. In 1994, Korea visiting year as an opportunity this consciousness grew active. For instance, the invitation of mass foreign folk performance in 1999 seems to conform to this policy. The intention to make Gangneung Danoje not only to represent Gangneung but also to represent Korea's folk event can be witnessed. As we enter 21st Century this inclination for international festival has strengthened. Gangneung government has shown enthusiasm to find the future of Danoje by inviting external service corps to assess Danoje. The current inclination appears to be increase its value as an international festival through UNESCO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and having this as a foundation make Danoje become an international cultural tourist product. The judgment of this will be made after Gangneung International Folklore Festival 2004.

상서(湘西) 토가족(土家族) 마고사(毛古斯) 무용 원시숭배(原始崇拜)의 해석 (Interpretation of Primitive Worship of Maogusi Dance of Xiangxi Tujia Nationality)

  • 쭈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81-389
    • /
    • 2021
  • 토가족(土家族) 모고사(毛古斯) 춤은 상서(湘西) 토가족의 오래된 하나의 의식무(儀式舞)이다. 이는 인물, 대화, 단순한 스토리와 일정한 연출의 격식을 갖춘 일종의 원시적 춤이다. 또한 이는 중국 무용계와 연극계 전문가들로부터 중국 무용, 연극의 가장 원초적이고 살아있는 화석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고는 철학, 종교학, 인류학 및 민속학 등 다각도에서 모고사(毛古斯) 춤의 원시 숭배 표상 뒤에 담긴 상고 시대에 남긴 여러 가지 정신 기호와 문화적 함의에 대해 해독하도록 하고자 한다. 이 여러 가지 정신 기호는 즉 자연 숭배, 토템 숭배, 조상 숭배와 생식 숭배이다. 그 강렬한 원시 숭배의식은 모구스춤의 공연과정의 시종에 내포되어 있으며, 그 행위와 정신 이념은 결코 미신과 봉건적인 행위가 아니라, 토가족의 풍부한 역사문화, 풍속과 정신내용을 진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원시적 생태의식이 살아서 번성해온 진정한 원인을 탐구하고 모고사(毛古斯) 춤에 덮인 베일을 벗기려 함으로써 우리에게는 이 두터운 역사를 담아낸 예술 형식의 깊은 내면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민화에 나타난 십이지동물의 민속의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Folklore Consciousness of Twelve Chinese Zodiac Animals Shown in Folk Painting)

  • 이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47-359
    • /
    • 2016
  • 사람은 본인의 생각과는 무관하게 열두 동물 중에 하나의 동물 "띠"라고 하는 개념과 연관된다. 생활 주변에서 뿌리 깊게 지닌 "띠"의 문화와 이에 대한 민속학적 관점에서 민화에 나타난 십이지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아시아권의 민속신앙과 감정 그리고 문화적 배경을 알아보면서 상호 영향과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작성된 글이다. 연구결과 쥐라고 하는 동물은 인간과 더불어 함께 하며 설화나 자연계에서 동반하고 있으며, 소라는 동물은 인류와 함께 더불어 공존하면서 인류의 문명과 같이하고 있다. 호랑이는 인간에게 벽사의 신으로 가장 두려우면서도 가까이하고 있다. 설화 속의 토끼는 인간에게 희망과 이상을 심어주고 있다. 상상 속의 용은 토속신앙의 깊은 뿌리를 형성하고 있으며, 농경문화와 인류의 수호신으로 자리하고 있다. 뱀은 대마도와 제주도에서는 인간을 지켜주는 해신으로 사람들의 생활 속에 깊이 신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목문화에서의 말은 그들의 수호신으로 또는 신과의 영매자로서 유목사회의 기본으로 숭상되고 있었다. 고대 일본인들은 원숭이를 신성시하였으며 보물과 연관 지었다. 원숭이의 지혜를 빌리려는 인간의 욕구의 욕구가 담겨 있다. 닭은 인간과 함께 살아가면서 하늘과 인간 세계를 연결하는 길조로서 의미를 담고 있다. 개는 무속의 저승 설화에서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는 메신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신앙되고 있다. 돼지 역시 인간과 공존하며 다산의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십이지 동물은 민족 간에 의미는 다소 다를지 몰라도 인간과 함께 공유하며 인간의 내면에 자리 잡고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신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후기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고찰 -대보름 연작형(聯作型)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si Keesokshi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iong on Serial Sesi Keesokshi-)

  • 양진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307-323
    • /
    • 2007
  • 일반적으로 조선후기 한시(漢詩)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민간의 풍속과 민중의 생활 상을 상세하게 다룬 일련의 연작형 기속시(紀俗詩)가 다수 창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속시는 그 소재(素材)와 내용에서 특정 지역의 풍토, 지리, 기후, 물산(物産), 인정(人情), 세태(世態), 생업과 노동 등 민중의 생활 현장 전반을 두루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특징에 따라 기속시는 해당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반영하고, 토속적 정서와 민중이 생활 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시 절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의 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생활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 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기 설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 등 작가적 체험과 의식성향이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창작의 중요한 배경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작형 세시기속시는 584수(首)로 확인되며, 그중 대보름 풍속을 소재로 한 시는 178수(首)로 전체의 1/3을 차지하는 분량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절기(節氣)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전래민속을 한시의 소재로 직접 수용함으로써 민족의 생활양식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특히 기층민의 현실생활현장에 밀착하여 그들의 질박하고 활기찬 삶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분방 발랄한 민중상을 창조하고 민중의 염원과 삶의 애환을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싸움', '노구반공양'이라는 풍속을 소재로 삶았던 것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