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gging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5초

저압 에어포그 시스템을 설치한 온실의 냉방효율 (Cooling Efficiency of Low Pressure Compressed Air Fogging System in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s)

  • 남상운;김영식;성인모;고기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5호
    • /
    • pp.49-55
    • /
    • 2012
  • In order to derive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low pressure compressed air fogging system, cooling efficiencies with control types were analyzed through cooling experiments in tomato greenhouses. The control types were set up with temperature control, humidity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nd time control. It showed that the cooling effects were 0.7 to $3.3^{\circ}C$ on average and maximum of 4.3 to $7.0^{\circ}C$, the humidification effects were 3.5 to 13.5 % on average and maximum of 14.3 to 24.4 %. Both the cooling and humidification effect were the highest in the time control metho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air fogging system was not high with 8.3 to 27.3 % on average. However, the cooling efficiency of 24.6 to 27.3 % which appears from the time control is similar to the cooling efficiency of high pressure fogging system experimented in Japan. The air fogging system is operated by low pressure, but its efficiency is similar to high pressure. We think because it uses compressed air. From this point of view, we suggest that the air fogging system can get the cooling efficiency of similar levels to that of high pressure fogging system and it will have an advantage from clogging problem of nozzle etc.

포그분사 및 공기유동에 의한 온실재배 토마토의 엽온 변화 (Change in the Plant Temperature of Tomato by Fogging and Airflow in Plastic Greenhouse)

  • 남상운;김영식;서동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18
    • /
    • 2014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plant temperature and examine the effect of plant temperature control by fogging and airflow, plant temperature of tomato, inside and outsid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wind speed were measured and analyzed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n plastic greenhouse with two-fluid fogging systems and air circulation f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lant temperature and the change of inside and outside air temperature in each condition, inside air temperature and plant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utside air temperature in the control and shading condition. However, in the fogging condition, inside air temperature was lower or slightly higher than outside air temperature. It showed that plant temperature could be kept with the temperature similar to or lower than inside air temperature in fogging and airflow condition. To derive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 and plant temperature, we di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optimum regression equation f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plant and air included solar radiation, wind speed and vapor pressure deficit and RMS error was $0.8^{\circ}C$. To investigate whether the fogging and airflow contribute to reduce high temperature stress of plant, photosynthetic rate of tomato leaf was measured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Photosynthetic rate was the highest when using both fogging and airflow, and then fogging, airflow and lastly the control. So, we could assume that fogging and airflow can make better effect of plant temperature control to reduce high temperature stress of plant which can increase photosynthetic rate. It showed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plant and air was highly affect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we could estimate plant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 it for environment control to reduce the high temperature stress of plant. In addition, by using fogging and airflow, we can decreas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plant and air, increase photosynthetic rate, and make proper environment for plants. We could conclude that both fogging and airflow are effective to reduce the high temperature stress of plant.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적 가루이 방제 (Eco-friendly Control of Whiteflies by Two-Fluid Fogging System)

  • 김성은;이상돈;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0-126
    • /
    • 2012
  • 토마토 시설재배에서 고온기에 온습도를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류체 포그시스템이 가루이 방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활용한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가루이 예방 및 방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총 2회에걸쳐실험을수행하였다. 1차실험에서는 포그처리의가루이 방제 효과를 구명하였고, 구역별가루이 분포를조사하였다. 2차실험에서는 이류체 포그시스템이가루이의 수직분포와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및 방제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1, 2차 실험에서 이류체포그시스템이 가루이의 개체수와 운동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시설 내에서 가루이는 출구에서 먼쪽의구역에높은 밀도로 분포하며,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작동하였을 때 가루이의 수직분포가 달라지는 것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가루이의 예방및방제에 사용하되, 밀도가 높은구역의기주식물 중상부에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하여 가루이를 더욱효과적으로 방제할수있을 것으로사료된다.

여름철 수경재배 시 포그 분무와 차광에 의한 하우스 내부 온도 및 광 환경 변화 (Changes in Greenhouse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by Fogging and Shading During Hydroponics in Summer Season)

  • 임미영;정호정;노미영;최경이;김소희;최수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0-236
    • /
    • 2021
  • 여름철 수경재배 시 포그 분무와 차광 처리에 의한 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광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시험 1은 2019년 8월 맑은 날을 기준으로 무처리, 차광, 포그, 포그 + 차광 등 각각 4처리 하였다. 시험 2는 시험 1에서 온도 저감 효과가 가장 좋았던 포그 + 차광 처리를 이용하여 멜론 '달고나', '소풍가자' 2품종에 대해 2020년 여름 기간에 실증 재배를 실시 하였다. 시험 1의 결과 포그 + 차광 혼합처리 시 온도 저감 효과가 뚜렷하여 하우스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가장 낮은 경우 약4℃ 정도 낮게 나타났다. 하우스 내부와 외부의 온도 편차를 살펴보면 포그와 차광 혼합처리에서는 평균 2-4℃ 더 낮아졌고, 포그 또는 차광 단일 처리구는 하우스 내부 및 외부 간의 온도 편차가 거의 없었으며, 무처리는 하우스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평균 3-4℃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우스 내외부 일사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무처리구와 포그 단일 처리의 하우스 내부 일사량 변화가 비슷하였고, 차광 단일 처리와 포그와 차광 혼합처리의 하우스 내부 일사량 변화가 서로 비슷하였다. 무처리와 비슷한 포그만 처리한 경우 일반적인 비닐 피복재에 의한 하우스 내부 일사량 저하의 영향만 관찰되었다. 특히 포그 + 차광 처리의 경우 차광 단일 처리와 매우 유사한 일사량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0년 여름에 실증 재배를 한 결과, 8월 외부 기온 최대 36.3℃일 때 냉방 처리 하우스 내부 기온은 32.4℃ 정도 유지되었으며, 약3.9℃ 정도 온도 저감 효과가 있었다. 생산된 멜론의 과중은 1.3-1.5kg 다소 작았으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12.6-13.3°Brix로 단맛은 양호한 편이었다. 포그와 차광 혼합 냉방처리를 이용 할 경우 여름철 고온기 온도 저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고 멜론의 정상적인 생육과 과실 수확이 가능하였다.

안산시 서식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 및 가열연막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usceptibility of Insecticides and Killing Effect by Thermal Fogging Against Culex pipiens pallens of Ansan Strain)

  • 최한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3호
    • /
    • pp.44-50
    • /
    • 2005
  • Studies on the insecticides susceptibility of adults females Culex pipiens pallens were carried out in 2003. The pupae were emerged originated wild-caught larvae in Ansan city, Korea. The test methods employed, using 7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s, four synthetic pyrethroides, and fipronil penyrazole were evalu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ipronil has showed the most strong value in $LD_{50}\;0.00075{\mu}g/female$, out of 12 kind of insecticides, and followed by deltamethrin 0.0071, $\delta-cyhalothrin\;0.008$, profenofos 0.0082 and $\beta-cyfluthrin$ 0.0088, respectively 2. The killing effect of lambdacyhalothrin and profenophos against adult females Culex pipiens pallens was examined using thermal fogging. The mortality rate were lambdacyhalothrin $41.1\%$ and profenophos $50.7\%$, respectively. The killing effect of thermal fogging was highly effectiveness to distance 6m from nozzle

운무법과 같은 인위적인 근시상태에서의 시력 변화 (The variation of visual acuity for a artificial myopia concerned with the fogging technique)

  • 최운상;박수봉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3-47
    • /
    • 1996
  • 1.0 시력표를 읽을 수 있는 20세 전후의 남녀에 대해 인위적근시를 만들어 운무법과정중에 있는 시력변화단계를 조사하였다. 또 이러한 시력의 변화단계를 굴절력증가에 따른 망막에서 착락원의 크기와 비교하여 수치함수를 만들었다. 시력의 변화단계는 양안에 대해 일정한 균형을 유지하였다.

  • PDF

전자선 및 자외선 경화형 방무코팅용 모노머의 합성 및 물성비교 (Synthesis and Comparison of EB- and UV-curable Monomers for Anti-fogging Coatings)

  • 조정대;이재성;김양배;홍진후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449-455
    • /
    • 2005
  • 분자 내에 방무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수산기와 전자선(EB) 및 자외선(UV) 경화가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1관능성 및 4관능성 방무제 AF-1과 AF-2를 합성하여 EB 및 UV 경화시스템에 적용하였다. 합성된 AF-1과 AF-2를 UV 경화시스템에 적용하여 도막의 방무특성 및 경화물성을 측정한 결과, AF-1과 AF-2 함량을 5:17.5의 비로 함유한 배합이 표면과 내부경도, 내화학성 및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김서림 방지 특성이 우수한 최적배합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최적배합을 EB 경화시스템에 적용하였고, EB 및 UV 두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 코팅배합물을 PC sheet에 코팅하여 도막의 방무특성 및 경화물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그 결과 EB 및 UV에 의해 경화된 두 시스템 모두 우수한 방무특성을 나타냈으나 EB 시스템이 UV 시스템보다 더우수한 내부경도, 접착력 및 젖음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온기 유리온실의 냉방방법이 토마토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house Cooling Method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Tomato cv. Momotaro in Warm Season)

  • 이재한;박동금;권준국;엄영철;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0-64
    • /
    • 2000
  • 여름철 시설내 온도강하를 위해 차광, 포그, 미스트, Fan and Pad 등 다양한 방법들이 행해지고 있고 그 효과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효과가 처리방법간 일 최고 기온시의 상대적인 비교를 나타낸 것이므로 실제로 일평균, 순평균하게 되면 그효과는 미미하게 된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8월중 맑은날이 10일 미만이고 상대습도가 놀기 때문에 기화냉각 효과는 더욱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 토마토 재배시 온도강하 방법으로 포그처리는 냉방효파에 비해 설치 및 유지관리비에 많은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온도제어 차광은 지나치게 차광되어 수량감소가 많아 부적합하므로 팬+일사제어 자동차광으로 외기온 가까이 온도를 내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이류체 포그 냉방시스템의 제어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Control Algorithm for Greenhouse Cooling Using Two-fluid Fogging System)

  • 남상운;김영식;성인모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5
    • /
    • 2013
  • 최근 국내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이류체 포그 냉방시스템의 효율적인 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의 분무사이클을 설정하여 토마토재배 온실에서 냉방실험을 실시하였다. 냉방효과는 평균 $1.2{\sim}4.0^{\circ}C$를 보였고, 냉방효율은 평균 8.2~32.9%로 나타났다. 분무간격에 따른 실험에서 90초 분무사이클의 냉방효율이 가장 높았고, 대체로 분무시간이 길수록, 정지시간이 짧을수록 냉방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분무량이 증가할수록 냉방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분무량을 증가시키더라도 내부공기가 포화상태에 가까워지면 더 이상 증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내부공기가 포화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 분무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냉방효율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공기의 포차는 감소하였고 실내외 절대습도 차이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그의 증발량이 증가할수록 실내와 실외의 절대습도 차이는 커지고, 이에 따라 환기에 의한 수증기 배출이 잘 되어 다시 증발효율을 상승시키므로 냉방효율이 높아지는 순환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무시간과 정지시간에 따른 실내공기의 포차변화를 회귀분석한 결과 $10g{\cdot}kg^{-1}$의 포차 변화에 필요한 분무시간은 120초, 정지시간은 60초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도의 진동폭을 줄이고 냉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포차의 변동범위를 $5g{\cdot}kg^{-1}$으로 설정하여 60초 분무, 30초 정지가 더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제어방식을 컴퓨터 제어시스템과 현재 보급되고 있는 간편제어시스템으로 분류하여 제어알고리즘을 유도하였다. 자연환기 온실에서 간편 제어시스템을 사용한다면 분무사이클을 60초 on, 30초 off로 설정하고 온도하한은 30~$30{\sim}32^{\circ}C$, 습도상한은 85~90%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역치의 비교 (A Comparison of Pure-Tone Thresholds to the Pre and Post Fogging after Refractive Correction in Normal Eyes)

  • 조수진;주석희;이군자;최인실;임현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9-9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검사 값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안질환이나 청각질환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1.0이상의 젊은 성인 50명(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력교정 전후의 순음청력역치(pure tone threshold)의 변화를 순음청력검사(pure tone audiometry)를 통해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결과: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운무 후의 순음청력역치가 운무 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2000 Hz를 제외한 전 주파수 대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측정되었다(p<.05). 저주파수 대역인 250 Hz와 500 Hz에서 각각 6.8${\pm}$8.4 dBHL과 4.3${\pm}$6.6 dBHL로 나타나 다른 주파수 대역에 비해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중주파수 대역인 2000 Hz에서는 0.8${\pm}$4.5 dBHL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결론: 굴절교정된 정상인에서 운무 전과 후의 순음청력검사의 역치값이 다르게 나타나 망막상의 선명도와 청각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결과는 굴절교정과 청각의 상관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