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g scree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하향식 포그 스크린 설계 방법 (Design method of Top-down fog screen)

  • 박연용;정문열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31-41
    • /
    • 2019
  • 포그 스크린은 미세한 물방울들로 구성된 스크린으로 관찰자는 포그 스크린을 투과한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일반 스크린과는 달리 관찰자는 무대 위에서 연기자가 포그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뚫고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부에서 생성된 포그 입자 집단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질 때 평평한 수직 스크린을 이루도록 하는 하향식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 구현 방법을 기술한다. 본 기법은 수조안에 배치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조 표면에서 포그 입자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생성된 포그 집단이 하나의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포그가 나오는 통로 출구 양옆에 가이드 바람을 형성하는 기법과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의 설계와 제작 방법을 기술한다.

고밀도 균일 안개스크린을 위한 에어로졸 유동의 최적 생성조건 (Optimal Conditions of Aerosol Flow Generation for High-density and Uniform Fog Screen)

  • 신동수;송우석;김진원;김우진;구자예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21
    • /
    • 2017
  • The fog screen is a device projecting the media to the aerosol flow field. As major parameters to generate dense and steady fog screen, shear stress, optical blockage ratio and SMD were obtained result through experiment. The micro droplet was generated by the piezo oscillation element, and the aerosol flow mixed with an air flow was sprayed in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fog screen through the 280 mm slot. For produce a dense, uniform fog screen, the shear effect, optical blockage ratio and SMD between aerosol and air curtain were measured. The minimum and maximum shear stress conditions were sele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cal transmission deviation of the aerosol flow field was small when the aerosol and air curtain flow rates were changed. When the aerosol and air curtain flow power were 18 V (1.51 m/s) and 24 V (2.55 m/s),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 of the minimum shear stress and laminar flow, the optical blockage ratios with the spray length were small, and it produced a most stable and high density uniform fog screen by injecting a constant of $10{\mu}m$ or less.

포그 스크린을 이용한 공간증강현실(SAR) 구현 (Implementation of Spatial Augmented Reality Using Fog Screen)

  • 박연용;정문열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3-54
    • /
    • 2019
  • 이 연구는 디스플레이 장비와 사용자를 분리하여 현실 공간 전체, 또는 현실 공간 속 허공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증강현실(Spatial Augmented Reality)' 구현에 적합한 포그 스크린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조망 하였다. 세 번의 전시와 한 번의 공연을 통하여 통과가 가능한 포그 스크린이 공간증강현실을 구현하는데 있어 적합한 소재라는 것과 포그 스크린을 이용한 공간증강현실 구현을 통하여 무대나 전시에서 홀로그램 연출이 이전보다 쉬워졌다는 것에 대해서도 증명 하였다. 전시와 함께 공연계 종사자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포그 스크린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절반에 불과하다는 것과 실제로 포그 스크린을 관람한 사람의 비율이 전체 응답자 중에서 10% 정도로 매우 낮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포그 스크린이 주변 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문화원에서 처음 실시한 시간과 거리 변화에 따른 습도 변화 관찰 실험을 통하여 포그 스크린을 중심으로 반경 5m 이내의 습도가 2~3%($6,400m^3$ 기준) 정도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시장에서 물감이나 종이, 나무와 같이 습기에 취약한 소재를 사용하는 전시물과 함께 전시할 경우, 포그 스크린과의 설치 유격에 참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Crosstalk reduction in tabletop multiview display with fog screen

  • Jeon, Hosung;Lim, Sungjin;Jung, Minwoo;Yoon, Junghoo;Park, Changhwan;Seok, Junho;Yu, Ji-man;Hahn, Joonku
    • ETRI Journal
    • /
    • 제44권4호
    • /
    • pp.686-694
    • /
    • 2022
  • Fog screens offer a great advantage to be used as scattering screens in three-dimensional displays. In the absence of a fixed rigid form, fog screens work as screens without any physical obstruction. The density of water droplets can be regulated to adjust the screen's transparency and scattering level.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crosstalk reduction between adjacent viewing windows by decreasing the divergence of view of the projector, with concentration lenses. By applying the Scheimpflug principle, we also reduce the keystone effect, which occurs when the fog screen is slant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In this study, we have realized a tabletop multiview fog display without any structures on the table and establish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feasible for decreasing crosstalk effectively.

아쿠아리움을 위한 미디어 전시 콘텐츠 제안 - 경포 석호생태관을 중심으로 (A Proposal of Media Exhibition Contents for the Aquarium - Focused on 'Gyeongpo Lagoon Ecological Museum')

  • 유미;우정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16-124
    • /
    • 2016
  • 본 논문은 아쿠아리움에 적합한 디지털 전시 콘텐츠에 대해 제시하며, 특히 경포 석호생태관 아쿠아리움의 전시에 대하여 기획하였다. 전체 공간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각 공간에 적합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시함으로써 전체 아쿠아리움과 동떨어진 것이 아닌 그 안의 각 요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기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쿠아리움이라는 전시 특성상 전시와는 상관없지만 분명히 존재해야 하는 공간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공간들을 최대한 활용해 디자인함으로써 아쿠아리움 전체가 하나의 바닷속 공간인 것처럼 느껴지도록 유도하였다. 각 부분의 미디어 전시 기획은 공간에 적합한 미디어 플랫폼을 먼저 제시한 후 각각에 들어갈 콘텐츠를 기획하였다. 3D Water Projection, Kinect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Fog Screen로 총 3가지의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을 제시하고, 그에 설치될 인터랙티브 전시 콘텐츠, 게임 콘텐츠, Fog Screen 콘텐츠에 대해서 기획하였는데, 이는 2D 드로잉 컨셉과 3D 전시 공간 모델링, 가상현실에서의 구현을 통해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전시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 아쿠아리움이라는 특정 전시 장르에 맞는 디지털 전시 콘텐츠를 단계적인 사전 시각화 방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차별화된 디지털 전시 콘텐츠를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알루미늄메쉬커튼과 2류체 포그시스템을 적용한 개방형축사의 에너지 절감시스템에 관한 연구 (Energy Saving System of the Open Cow-house with Aluminum Mesh Curtain and Two-stage Subdivided Fog System)

  • 김원경;강민우;양지웅;이은숙;신홍건;박진규;최원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6_2호
    • /
    • pp.1075-1080
    • /
    • 2020
  • The control on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cow-house is essential to assure production efficiency and the control on disease of cows. Fog system and screen fence are typical methods to drop the temperature inside of cow-house during the summer seas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under the condition of application of those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stallation of atomizer and insulation curtain cause decrease in temperature and increase in humidity. However, Using both of methods at the same time doesn't make any additional meaningful effects on temperature and humidity.

간척지 설치 온실의 난방부하 특성 분석 (Analysis of Heating Load Characteristics for Greenhouses Constructed in Reclaimed Lands)

  • 남상운;신현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6호
    • /
    • pp.1-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design technology for greenhouses constructed in reclaimed lands. We analyzed the climatic conditions around seven major reclaimed land areas in Korea, which have a plan to install advanced horticultural complexes. The characteristics of heating load through the thermal environment measurement of the greenhouse in Saemangeum were analyzed. The part to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greenhouses in reclaimed lands were reviewed.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experimental greenhouse with the aluminum screen and multi-layer thermal curtain averaged $3.79W/m^2^{\circ}C$. It represents a 44 % heat savings rate compared with plastic greenhouses with a single covering,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mmon greenhouses with 2-layer thermal curtains. This is because the experimental greenhouse was installed on reclaimed land and wind was stronger than the inland area. Among the total heating load, the transmission heat loss accounted for 96.4~99.9 %, and the infiltration loss and the ground heat exchange were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countermeasures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heat loss for greenhouses constructed in reclaimed lands. As the reclaimed land is located on the seaside, the wind is stronger than the inland area, and the fog is frequent. Especially, Saemangeum area has 2.6 times stronger wind speed and 3.4 times longer fog duration than the inland area. In designing the heating systems for greenhouses in reclaimed lands, it is considered that the maximum heating load should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wind coefficient larger than the inland area. It is reasonable to estimate the operation cost of the heating system by applying the adjustment factor 10 % larger than the average in calculating the seasonal heating load.

온실의 환기 및 냉방 설계를 위한 열평형 모델의 작용 (Application of Heat Balance Model Design of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

  • 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01-206
    • /
    • 2000
  • 여름철 고온기에 시설 이용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고온 극복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하여는 적정 설비용량의 중요하다. 온실의 고온극복방법을 차광환기시스템, 차광환기 패드시스템, 차광환기 포그시스템으로 설정하고, 각 방법별로 시스템의 설계제원 결정을 위한 열평형식을 구성하였으며 현장 실험을 통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환기창 단면 풍속을 1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유량으로 환산한 값을 환기량의 실측치로 하고 열평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환기량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평형 모델의 입력변소중 피복재의 열관류이 1% 증가하면 필요환기량은 0.3% 감소하였고, 태양복사에 대한 증발산비(E)의 값이 1% 증가하면 필요환기량은 1.3%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 값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온실의 환기 및 냉방 설계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작물의 상태에 따른 E값의 변화를 실측한 자료의 축적을 통해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의 환기 및 냉방 설비 용량 결정을 위한 열평형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6가지의 동일한 조건에 대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필요 공기교환율은 5.1∼7.7%정도, 증발수량은 6.8∼9.3%정도 fan and pad 시스템이 포그시스템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연환기 온실의 환기회수에 따른 포그냉방시스템의 냉방효과 (The Cooling Effect of Fog Cooling System as Affected by Air Exchange Rate in Natural Ventilation Greenhouse)

  • 김문기;김기성;권혁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4
    • /
    • 2001
  • 포그냉방시스템의 냉방효과는 온실 내부의 상대습도, 공기유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냉방설계용 VETH선도에서 냉발효율은 환기회수의 증가와 그에 상응하는 분무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개선될 수 있다. 시간제어방식을 이용한 무차광 실험온실에서 분당 환기회수가 평균 0.77회, 분무수량이 2,009g 일 때 온실 내부의 기온이 31$^{\circ}C$로 외부기온과 거의 같게 나타났으며, 이 때의 증발효율은 82%이다. 분당 환기회수가 평균 0.26회, 분무수량이 1.256g인 경우 무냉방 온실의 기온과 비슷한 37.1$^{\circ}C$였다. 차광율 70%인 실험온실의 분당 환기환수가 평균 2.59회, 분무수량이 2,009g 일 때, 내부의 상대습도는 증가하나 기온은 하강하지 못했다. 그러나 분당 환기회수가 평균 2.33회, 분무수량이 2,009g인 경우 내부의 기온이 31.4$^{\circ}C$로 이 때 온실의 유입구 풍속은 최고 1.9m.s$^{-1}$였다. 시간제어의 경우 일정간격으로 일정한 수량을 분무하기 때문에 분무입자가 모두 증발하지 못하고 온실 내부에 누적되어 온실 내부의 상대습도를 증가시켜 냉방효율을 감소 시키는 원인이 되고 차광망이 온실내부의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증발효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그냉방시스템의 냉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온실 내부의 상대습도에 의한 제어방식과 내부 공기의 순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증감지(增感紙)-Film계(系)의 감도측정(感度測定)에 관(關)한 실험(實驗)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peeds of Various Screen-Film Systems)

  • 강홍석;허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1권1호
    • /
    • pp.3-16
    • /
    • 1988
  • Author has made an experiment on absolute speeds of 18 screenfilm combinations that have been on sale in Korea, with various beam qualities. At this time, the beam qualities were 60kVp with the ANSI extremity phantom, 80kVp with the ANSI chest phantom and 85kVp with 20 mm aluminium filter under scatter free condi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ree independen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e percent standard deviations of mAs quantities of 1.0 + fog were decreased by the hardening of the beam quality, and the decreasing tendency was somewhat great in the blue systems. 2. Generally, the increasing tendency of absolute speeds was distinct by the hardening of the beam quality in the green systems. Conclusively, the green systems were more strongly dependent upon the beam quality rather than the blue systems. Therefore, the relative speed of green systems to blue systems were great under the same condition. 3. Differences in the green systems were kept almost constant even though the beam qualities were changed. 4. They were shown the mutual relationship of absolute speed and relative speed rather than independ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