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g Computing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1초

Blockchain based Application to Electric Vehicle in IoT environment

  • Yang, Ho-Kyung;Cha, Hyun-Jong;Song, You-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233-239
    • /
    • 2022
  •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rapid service provision and reliability of the instance-based rather than the existing IP-based structure. Research is mainly conducted through Block cloud, a platform that combines service-centric networking (SCN) and blockchain. In addition, the Internet of Things network has been proposed as a fog computing environment in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loud computing. Fog computing is an environment suitable for real-tim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ternet network structure based on fog computing that requires real-time for rapid processing of IoT services. The proposed system applies IoTA, the third-generation blockchain based on DAG, to the block cloud. In addition, we want to propose a basic model of the object block chain and check the application services of electric vehicles.

Service Architecture Models For Fog Computing: A Remedy for Latency Issues in Data Access from Clouds

  • Khalid, Adnan;Shahbaz, Muhamma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5호
    • /
    • pp.2310-2345
    • /
    • 2017
  • With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e world is projecting towards a scenario where every object in the world (including humans) acts as a sender and receiver of data and if we were to see that concept mature we would soon be talking of billions more users of the cloud networks. The cloud technology is a very apt alternative to permanent storage when it comes to bulk storage and reporting. It has however shown weaknesses concerning real-time data accessibility and processing. The bandwidth availability of the cloud networks is limited and combined with the highly centralized storage structure and geographical vastness of the network in terms of distance from the end user the cloud just does not seem like a friendly environment for real-time IOT data. This paper aims a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Flavio Bonomi's idea of Fog Computing which has been glamorized and marketed by Cisco but has not yet been given a proper service architecture that would explain how it would be used in terms of various service models i-e IaaS, PaaS and SaaS, of the Cloud.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paper would be models for IaaS, PaaS and SaaS for Fog environments. The paper would conclud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ed models and giving a consolidated overview of how they would work. It would also calculate the respective latencies for fog and cloud to prove that our models would work. We have used CloudSim and iFogSim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aradigm shift from traditional cloud architecture to our Fog architecture.

논리적 포그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 이미지 배치 기법 (Service Image Placement Mechanism Based on the Logical Fog Network)

  • 최종화;안상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9권11호
    • /
    • pp.250-255
    • /
    • 2020
  • 클라우드 센터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의 지연시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 장치에서 가까운 포그 노드에게 컴퓨테이션 오프로딩(Computation offloading)을 하는 포그 컴퓨팅 방식이 제안되었다. 포그 컴퓨팅에서는 포그 노드에 가상화된 서비스 이미지가 배치되며, 단말 장치와 가까운 포그 노드에 서비스 이미지를 배치하는 경우 동일한 서비스 이미지가 여러 포그 노드에 중복 배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서비스 요청 패턴을 고려해서 서비스 이미지의 중복 배치를 최소화하는 논리적 포그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 이미지 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동적으로 서비스 이미지를 할당하는 기법과 제안 기법의 성능을 비교하며, 성능 분석 요소로서 서비스 이미지 배치 수, 수용되지 못한 서비스 요청 수, 네트워크 비용을 고려한다.

Fog Computing을 적용한 Connected Vehicle 환경에서 상태 정보에 기반한 네트워크 지능화 (Network Intelligence based on Network State Information for Connected Vehicles Utilizing Fog Computing)

  • 박성진;유영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2호
    • /
    • pp.1420-1427
    • /
    • 2016
  • 본 논문은 통신 환경이 불안정하고 토폴로지가 수시로 변하는 CV(Connected Vehicle) 환경에서 Fog computing과 SDN의 장점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중앙의 컨트롤러는 최신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유지함으로써 현재 네트워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야한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컨트롤러가 수집하는 정보 중에서 노드의 움직임 정보가 중요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정보를 세 가지 종류로 세분화하여 관리하고 해당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노드의 움직임 정보의 활용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컨트롤 메시지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컨트롤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과 통신 단절 시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복구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복구 프로세스는 두 가지로 모바일 노드의 움직임 정보를 활용하여 연결 상태를 효율적으로 복구하는 방법과 cloud level과 fog level을 구별하여 경로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주어진 환경에서 본 논문이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55% 가량의 컨트롤 오버헤드를 줄이고 통신 단절 시 끊김 시간을 5% 가량 단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클라우드를 위한 포그 간의 데이터 이동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Movement Method between For for Cloud Computing)

  • 황치곤;윤창표;이해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4-296
    • /
    • 2017
  • 클라우드 컴퓨팅은 클라우드 노드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여, 서비스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컴퓨팅 기법이다. 이는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어렵다. 그것은 로컬의 영역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로 정보를 전송하고, 클라우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다운로드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포그 컴퓨팅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포그 그리고 사용자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포그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클라우드는 포그 간의 데이터 교환과 제어의 흐름을 담당하도록 한다. 우리는 이에 대한 데이터의 교환에 필요한 표준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적용은 BAN(Body Area Network)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포그에서 처리 및 서비스를 하고, 클라우드는 중재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한다. 이는 기기 또는 서비스 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이질성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A Fault Tolerant Data Management Scheme for Healthcare Internet of Things in Fog Computing

  • Saeed, Waqar;Ahmad, Zulfiqar;Jehangiri, Ali Imran;Mohamed, Nader;Umar, Arif Iqbal;Ahmad, Jami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호
    • /
    • pp.35-57
    • /
    • 2021
  • Fog computing aims to provide the solution of bandwidth, network latency and energy consumption problems of cloud computing. Likewise, management of data generated by healthcare IoT devices is one of the significant applications of fog computing. Huge amount of data is being generated by healthcare IoT devices and such types of data is required to be managed efficiently, with low latency, without failure, and with minimum energy consumption and low cost. Failures of task or node can cause more latency, maximum energy consumption and high cost. Thus, a failure free, cost efficient, and energy aware management and scheduling scheme for data generated by healthcare IoT devices not on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ut also saves the precious lives of patients because of due to minimum latency and provision of fault tolerance. Therefore, to address all such challenges with regard to data management and fault tolerance, we have presented a Fault Tolerant Data management (FTDM) scheme for healthcare IoT in fog computing. In FTDM, the data generated by healthcare IoT devices is efficiently organized and managed through well-defined components and steps. A two way fault-tolerant mechanism i.e., task-based fault-tolerance and node-based fault-tolerance, is provided in FTDM through which failure of tasks and nodes are managed. The paper considers energy consumption, execution cost, network usage, latency, and execution time as performance evaluation parameter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significantly improvements which are performed using iFogSim. Furthe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TDM strategy reduces energy consumption 3.97%, execution cost 5.09%, network usage 25.88%, latency 44.15% and execution time 48.89% as compared with existing Greedy Knapsack Scheduling (GKS) strategy. Moreover, it is worthwhile to mention that sometimes the patients are required to be treated remotely due to non-availability of facilities or due to som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Thus, in such circumstances, the proposed strategy is significantly efficient.

포그 컴퓨팅 플랫폼 적용성 연구 (A Study to Apply A Fog Computing Platform)

  • 이경민;이후명;조민성;최훈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60-71
    • /
    • 2019
  • 스마트팜이나 스마트시티와 같은 IoT 시스템이 보편화되면, 많은 센서 노드들로부터 수집된 대량의 데이터가 인터넷 내 서버로 전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트래픽 폭증, 전달 지연, 서버 부하증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IoT 시스템과 서버와 사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그 컴퓨팅 개념이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그 노드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현하여 스마트팜(smart farm) 시험 구현물에 적용해 봄으로써, 포그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 위에서 나열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포그 노드 플랫폼을 이용했을 때 IoT 장치를 제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기존 IoT-서버 방식보다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터넷 내부 트래픽 폭증, 부하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포그 노드의 기본 기능인 IoT 데이터 저장뿐만 아니라, 실시간 원격제어, 긴급 알림, 데이터 시각화의 기능을 본 논문의 포그 노드에 구현해 봄으로써 보다 지능적인 IoT 제어가 가능함을 보였다.

포그 컴퓨팅 보안 모델과 보안 요구사항 연구: 서베이 (Research on Security Model and Requirements for Fog Computing: Survey)

  • 홍성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7-32
    • /
    • 2018
  •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인 IoT(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적용 분야가 생겨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수도 대폭 증가하고 있다. 주변 환경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IoT 디바이스들에 의해 생성되는 실시간 센싱 데이터들을 실시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은 시간 및 저장 공간에 대한 효율성이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응답시간을 최소화 하면서 처리 시간이 효율적으로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포그 컴퓨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포그 컴퓨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아직 정립되지 않고 있다. 클라우드 끝단에 있는 센서노드들은 컴퓨팅 파워가 높지 않기 때문에 보안 모듈을 적용하기가 어렵고, 보안 모듈 적용 시에 경량화된 프로토콜 적용을 통하여 보안과 효율성을 수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포그 컴퓨팅에 대한 보안 모델 제시와 포그 컴퓨팅에 최적화된 보안 요구사항을 제시하여 안전한 포그 컴퓨팅 발전에 기여한다.

A Distributed Fog-based Access Control Architecture for IoT

  • Alnefaie, Seham;Cherif, Asma;Alshehri, Suhai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2호
    • /
    • pp.4545-4566
    • /
    • 2021
  • The evolution of IoT technology i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people's lives. Almost all areas of people's lives are benefiting from increased productivity and simplification made possible by this trending technology. On the downside, however, the application of IoT technology is posing some security challenges, among them, unauthorized access to IoT devices. This paper presents an 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Fog architecture that aims to achieve effective distribution, increase availability and decrease latency. In the proposed architecture, the main functional points of the 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are distributed to provide policy decision and policy information mechanisms in fog nodes, locating these functions near end nodes. To evaluate the proposed architecture, an access control engine based on the Attribute-based Access Control was built using the Balana library and simulated using EdgeCloudSim to compare it to the traditional cloud-based architecture.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fog-based architecture provides robust results in terms of reducing latency in making access decisions.

Fog/Edge 컴퓨팅 환경에서 효율적 오프로딩 기술 (Efficient Offloading Technology in Fog/Edge Computing Environments)

  • 김규범;백승현;장민석;이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1-513
    • /
    • 2021
  • 최근 네트워크 에지에 배치된 컴퓨팅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조정 관리함으로써 많은 수의 장치들 및 새로운 IoT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Fog/Edge Computing(FEC)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FEC 환경에서 실행 지연시간 최소화를 유도하기 위한 오프로딩 대상 결정 및 오프로딩 방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주요 고려사항과 적용 방법들을 제시한다. 이는 향후 관련 이해 관계자들에게 필요한 FEC 프레임워크 구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