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cus Group Interview (FGI)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8초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 실태: 학교의 학생 선발과 학생의 진학 결정 (The Practice of Vocational and Meister High Schools' Admission Selection and Students' School Choices Through Admission Process)

  • 백선희;이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1호
    • /
    • pp.1-22
    • /
    • 2017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입학전형을 통하여 학교는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하고 있는지, 학생은 자신의 적성, 흥미, 진로 등을 고려한 진학을 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학전형 과정을 홍보, 지원, 전형으로 구분하고 마이스터고 입학 담당 교사, 1학년 학부모,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진학률이 높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중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보과정에서 학교는 성적 높은 학생을 모집하기 위한 홍보와 취업률 홍보에 중점을 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고등학교의 홍보 접근 기회의 불균형과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부족이 발견되었다. 둘째, 지원과정에 있어서 학교는 여전히 성적을 중시하는데 반해 학생은 진로를 고려한 진학 결정을 시도하고 있었다. 셋째, 전형과정에 있어 학교의 입장에서는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으로 선발하는 학생이 차이가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성적이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할 경우 특별전형이 일반전형에 비해 합격 가능성을 높일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이 보다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홍보활동의 형평성과 홍보 내용의 구체화, 학교단위의 선발 및 지원 방식에 대한 재검토, 성적 이외의 인성과 역량 등과 같은 다양한 전형요소의 평가 비중 조정, 적성과 흥미 및 진로를 고려한 의사결정을 위한 학생의 노력과 학부모 및 학교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이용자 및 전문가 인식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Users and Specialists for Establishing Mid-to 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Libraries in Anyang City)

  • 송민선;장인호;황금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7-93
    • /
    • 2022
  • 본 연구는 안양시 지역 주민과 안양시 지역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설문조사 및 FGI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안양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주요 시사점과 논의사항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이용률에 비해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서비스가 극히 제한적이며, 도서관 프로그램 이용률이 낮아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절차 간소화 등에 대한 현장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도서관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일부 불만족 의견의 이유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과 함께 신간 자료 구입에 대한 적극적인 예산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특화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타 지역 우수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안양시 공공도서관만의 특화도서관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향후 안양시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센터, 평생교육센터, 생활편의센터로서의 기능과 함께 복합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양시 도서관 운영 조직체계 개편을 통해 장기적으로 도서관 운영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성이 요구된다.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에듀테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duTech for Multicultur al People)

  • 백승철;조성혜;김남희;최미경;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55-62
    • /
    • 2016
  •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수는 2012년 70만 명 내외에서 2020년 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결혼이주자의 직무교육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결혼이주자의 언어적 특성에 맞는 직무교육은 작은 시장규모와 낮은 소득수준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필요성과 구매력에 비해 시장 형성이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특성 및 교육콘텐츠 수요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적용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정의하고 해당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결혼이주자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로 설정한 4가지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에듀테크의 적용 방안으로 언어능력지원, 맞춤형 교육 콘텐츠 추천기술,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사용자 중심 경험 설계 4가지를 제안하였으며 기술을 통한 교육 격차 해소 및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도구로 에듀테크가 사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수준별 유아수업설계모형이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o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 간진숙;금미숙;이칭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56-78
    • /
    • 2012
  • This study which is an alternative explor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level of instruction considering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instructional design is to develop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curricula and with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model has significant effect on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these purposes, the perception of 343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investigated, and after component variables are set by drawing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vail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reviewing the literatur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model,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are developed based on FGI(Focus Group Interview) expert evaluation. The experimental study of 88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was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As a result, first, most teachers consider the priority on making the lesson plans as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nd Kindergarten Educational Subjects, and they realize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which contributes on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s much needed. Second,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arly Childhood are developed, which consists of the cyclic process - pre-lesson phase, lesson implementation phase, and assessment phase -based o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hird, the experiment of the developed model showed that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in knowledge and technique development aspect, and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spect amo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NCS 조경 분야 적용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육과정 현황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Four-Year University Curriculum for Introducing NCS Landscape Architecture)

  • 이창훈;김규섭;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4-147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NCS가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를 제외한 4년제 대학 조경학과 교육과정 편성에 일부 도입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조경 분야 NCS의 합리적인 수정·보완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NCS 능력단위 체계와 4년제 대학 조경학과 교육과정(커리큘럼)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통폐합되지 않은 4년제 대학 조경학과 24개소의 816개 교육과정에 대한 매칭작업과 이를 바탕으로 한 분야별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 표적집단면접법)를 통해 대-중-소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 항목의 대분류, 8개 항목의 중분류, 65개 항목의 세부분류가 도출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대학에서 구성된 교과목 중 조경설계 과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40.0%로 나타났다. 그 외 생태조경 12.9%, 조경시공 11.3%, 기타 유형에 분류되지 않은 과목 10.2%, 조경정보 10.0%, 조경문화 6.6%, 조경관리 3.7%의 비율로 조사되었다. 추후 NCS의 균형적이고 효율적 수정·보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수행준거와 교육목표가 서로 일치하는 소분류 항목은 10개(18.9%), 불일치하는 소분류 항목은 15개(28.3%), NCS 단위능력과 불일치하는 교과목은 총 37과목(56.9%)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NCS에서 제시한 각 능력 단위의 준거기준은 기초적인 지식학습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기초이론내용은 하나의 능력단위가 별도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NCS능력 단위와 4년제 대학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NCS의 기준은 조경설계 분야에 비해 조경시공과 조경관리 분야의 단위능력에 집중하여 개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4년제 대학 교육과정 편성에 선수과목의 균형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유형분류 과정에서 각 학교별 간섭요인을 배제한 교육과정편람에 우선 기준하여 분류함에 따라 표면적인 용어에 함축된 세부 과정이 분류군에 포함되지 못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평가기준의 재검토와 기준항목간의 적합성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공군 전투조종사 비행복 착용특성 및 만족도 조사 (Research on Actual Usage and Satisfaction of ROKAF Fighter Pilot's Flight Duty Uniform)

  • 이아람;남윤자;홍유화;임소정;임채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69-68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fighter pilot's usage and satisfaction of a flight duty uniform (FDU).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s. FGI collected qualitative data about duty and requirements; subsequently, surveys were performe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bout wear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with FDU. The results of the FGI and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ype of pilot duty was divided into two parts, flight duty and ground du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utie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survival when developing FDU.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and wearing size, the basic size for apparel grading should be changed from actual size, 'M95XL' to 'M100L'.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whole sizing system. Further studies about body form changes in pilot's movement are needed to improve mobility because the respondents perceived some restrictions at several body parts in movement with the coverall uniform. Summer FDU had a low satisfaction level in vent hole function and appearance. Furthermore, protection problems in the vent hole were also an issue. Making a seasonal classification of FDU fabric will be more effective than a vent hole to increase a pilot's thermal satisfaction. Respondents had a passive stance towards FDU reform (including pocket change); therefore, a new FDU design strategy should concentrate on improving current FDU functions like mobility (or comfort) rather than dramatic changes. Pilots complained about the quality stability of FDU; therefore, quality control by military administration as well as concrete and clear design instructions by the developer should be attained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FDU.

지능정보사회의 안전한 인공지능 서비스 구현을 위한 개인정보 침해대응 및 위기관리 컴플라이언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Compliance for Infringement Response and Risk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o Realize the Saf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Society)

  • 신영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14
    • /
    • 2022
  • 본 연구는 인공지능 서비스과정에서 개인정보를 포함한 데이터가 처리되고 있고, 그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개인정보 침해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개인정보 침해요인에 대응하는 위기관리 컴플라이언스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 및 전문가 Delphi를 거쳐 처리과정을 범주화를 하였는데, 인공지능서비스 제공과정을 서비스기획·데이터 설계 및 수집과정, 데이터 전처리 및 정제과정, 알고리즘 개발 및 활용과정으로 구분하고, 3개 과정을 9단계의 개인정보처리단계로 다시 세분화하여 개인정보 침해요인을 구성하였다. 둘째, 조사한 개인정보 침해요인을 전문가 대상의 FGI, Delphi 등을 통해 선정하였다. 셋째, 각 개인정보 침해요인에 대한 심각도 및 발생가능성에 대해 전문가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94명의 응답결과에 대해 타당성 및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넷째, 인공지능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침해요인에 대한 적절한 위기관리 컴플라이언스를 제시하기 위해, 개인정보의 자산가치, 개인정보 침해요인, 개인정보침해사고 발생가능성을 활용하여 개인정보 침해위험도 산정방식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점수등급에 따라 위험정도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로그 기반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 분석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Bigdata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김태영;백지연;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57-388
    • /
    • 2018
  • 본 연구는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그룹별특성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로그는 국립세종도서관에 등록된 이용자 정보, 대출 정보, 서비스 이용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이용자 관련 정보로는 연령 정보 107,369건, 성별 정보 106,918건, 거주지 정보 106,838건이 활용되었다. 대출 관련 정보로는 대출 이용자 정보 536,083건, 대출 횟수 정보 6,509,369건이, 서비스 이용 정보로는 82,813건이 활용되었다. 이용자 그룹별특성 분석은 연령별, 성별, 거주지별 이용자 현황 분석 및 연도별, 월별, 요일별 대출 현황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용 현황 결과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FGI 및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국립세종도서관 운영 시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데이터가 적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도서관 운영 시 발생한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산업공예 기초경영진단 지표개발 (Index Development of Basic Management Diagnosis for Industrial Crafts)

  • 김종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8-197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산업공예업체의 기초경영진단을 위한 지표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연구 개발 되어있는 기초경영진단 지표는 산업공예업체 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전검증과정을 거친 결과 업계환경이 영세하여 조직적인 경영 체계를 갖추지 않은 산업공예업체의 경영실태를 조사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경영의 기능적 관점에서 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영의 과정적 관점으로 산업공예업체의 경영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 지표는 산업공예 업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 관리순환과정인 계획(Plan), 집행(Do), 통제(See)로 지표가 구분되며, 구분된 지표에 따라 문헌연구와 FGI(표적집단인터뷰)를 통해서 세부적인 진단부문과 진단항목, 그리고 체크사항을 설정하였다. 이 진단지표는 산업공예의 기초경영진단을 위한 것으로 여러 관점에서의 경영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추후에는 이 지표로 산업공예업체의 경영을 진단하여 다양한 관점의 경영 문제를 파악해 봄으로써 그 실효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전통경관 보존계획을 위한 지정구역 설정에 대한 기초연구 - 선형(線形) 명승의 지정 현황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ated Area for Conservation plan of Traditional Landscape - Focus on the Designation Status of Linear Scenic Sites -)

  • 이창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76
    • /
    • 2020
  • 본 연구는 명승 중에서 선 형태으로 지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지정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명승 구역의 재검토 및 신규 지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설정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보존관리자료를 바탕으로 113개소의 국내 명승 중 23개소의 선형 명승을 도출하였으며, 선형 자원특성은 계곡형, 통로형, 하천형, 능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선형 명승은 형태적으로 연속성과 방향성을 지녀 대상지에서 나타나는 이용행태 또한 유사한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FGI를 통해 추출한 선형 명승의 6가지 설정 요소를 기준으로 23개소의 대상지의 지정 현황을 살펴본 결과 자원중심 요소가 1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번·필지 요소와 기준이 모호한 곳이 각각 8곳, 관리동선 요소가 5곳, 능선 요소가 4곳, 유역과 주변 경관 요소가 3곳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형지정 명승의 시계열상 특징은 2010년 이전에는 지정구역이 지번·필지가 지정을 위한 우선 요소로 고려되었으나, 2010년 이후에는 해당 자원을 중심으로 지정구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대면적 특성을 갖는 명승 문화재 구역 내 사유재산권에 관한 내용과 더불어 명승의 본질에 입각한 보존이 고려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명승 구역의 지정 및 타당성 재검토에 있어 선형 명승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자원 중심 요소로 파악되었다. 선형명승은 해당 자원의 경계를 참조하여 지정구역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계에서 일정 폭원 내의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변 경관을 보호하는 성격의 넓은 폭(500m 이내)의 현상변경구역에 대한 우선적인 등급기준 마련은 선형 명승의 향후 보존관리의 실효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