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idized bed combustor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폐기물 연료의 순환유동층 연소기술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Refuse Derived Fuel)

  • 선도원;배달희;이승용;조성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1호
    • /
    • pp.58-65
    • /
    • 2006
  • 폐플라스틱과 건조 슬러지를 원료로 제조한 RDF (Refused Plastic Fuel)를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연소 하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 개발 중이다. 연소시험을 통해 RDF의 연소특성과 배연특성을 연구하여 설계 자료를 확보하였다. 연소성은 양호하였으며 중요한 공해물질인 HCl 발생은 150ppm 미만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석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와 RDF 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순환유동층 RDF 전용 보일러 공정의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폐기물 연료의 순환유동층 연소기술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Refuse Derived Fuel)

  • 선도원;배달희;이승용;조성호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제26회 학술발표대회 고분자리싸이클링기술 특별심포지엄
    • /
    • pp.124-134
    • /
    • 2005
  • 폐플라스틱과 건조 슬러지를 원료로 제조한 RDF (Refused Plastic Fuel)를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연소 하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 개발 중이다. 연소시험을 통해 RDF의 연소특성과 배연특성을 연구하여 설계 자료를 확보하였다. 연소성은 양호하였으며 중요한 공해물질인 HCl 발생은 150ppm 미만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석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와 RDF 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순환유동층 RDF 전용 보일러 공정의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다.

  • PDF

다양한 종류의 연소로 내 고체 연료의 연소 특성 고찰 (Investigation of Solid Fuel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Various Types of Combustors)

  • 최진환;양원;이상득;최상민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
    • /
    • 2004
  • This study is aimed to characterize the combustion behavior of solid fuel in the various types of the combustors: stoker, rotary kiln and fluidized bed type combustors. Three different types of reduced-scale combustors are introduced, and temperatures and flue gas compositions are measured for various fuel sizes, water contents, initial temperature, and air flow rates. In case of the rotary kiln combustor, effects of rotating speed of the combustor are also investigated. Mean carbon conversion time (MCCT) and flame propagation rate (FPR) are us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reaction rates of the fuel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fuel characteristics, type of the combustors and air flow rate. Major design parameters for each type of the combustors are summarized through the reduced-scaled model analysis.

  • PDF

벤치규모 가압유동층연소로에서 석회석에 의한 국내무연탄의 탈황특성 (Desulfuriza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thracite by Limes at Bench Scale Pressurized Fluidized Bed Combustor .)

  • 한근희;류정인;진경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10호
    • /
    • pp.1373-1383
    • /
    • 2001
  • The desulfurization characteristics of anthracite in a bench scale pressurized fluidized bed combustor are investigated. The coal used in the experiment is domestic anthracite from Kangwon Taeback area. The desulphurization experiment is performed with limestone from Chungbuk Danyang. The pressure of the combustor is maintained at 6 atm, and the combustion temperatures are 850, 900, and 950$\^{C}$. The superficial gas velocities are 0.9, 1.1, and 1.3 m/s. The excess air ratio is varied from 5 to 35%. The Ca/S mole ratios are 0.5, 1.5, 2.5 and 4.5 mole. All experiments are executed at 2m bed height. Consequently, SO$_2$ concentration in the flue gas is increased with incresing bed temperature and superficial gas velocity. However SO$_2$ concentration is decreased with incresing excess air ratio and Ca/S mole ratio.

석탄유동층연소로에서 분진 발생 및 배출 특성 (Elutriation and Production of Fines in a Fluidized Bed Coal Combustor)

  • 장현태;이종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6-101
    • /
    • 1996
  • The effects of coal type and mixing fraction of coal on attrition and elutriation were studied in a 15. 5cm diameter fluidized bed coal combustor. The domestic low-grade anthracite coal with heating value 2010kcal/kg and the imported bituminous coal from Australia with heating value of 6520kcal/kg were used as coal sample. It was found from the experimental that the elutriation rate inclosed with an increseing anthracite mixing fraction. The size of elutriated particle had a very wide distribution was found in this experiment. The mean size of elutriated particle increased with decreaseing anthracite mixing fraction.

  • PDF

유동층 연소로에서 유, 무연탄 혼합연소시 탈황에 관한 연구 -천연석회석을 이용한 황산화물 제어- (A study on Desuifurization by Anthracite-Bituminous coal blend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combustor -A desulfurization using natural limestone-)

  • 조상원;민병철;정종현;전영화;김대영;정덕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2-108
    • /
    • 1997
  • It has been studied that SO$_2$ removal efficiency of anthracite-bituminous coal blend combustion in a fludized bed coal combusto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O$_2$ removal characteristics of coal blend combustion with Ca/S, anthracite fraction, bed temperature, and limestone size.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desulfurization by the dia size of limestone was great and SO$_2$ removal efficiency was highest in limestone dia 631 $\mu$m. Second, as air velocity increased, the desulfurization rate decreased a little. But the difference of the desulfurization rate according to air velocity was not too large. As the height of fluidized bed combustor increased regardless of air velocity, SO$_2$ concentration tends to increase largely. Third, as Ca/S mole ratio incresed, SO$_2$ desulfurization rate incresed rapidly up to Ca/S mole ratio 3 while the desulfurization rates did not increse too largely in the range of more than the level. Forth, the bed temperature had a great effect on the desulfurization rate and the desulfurization rate tended to increase slightly as anthracite fraction increased.

  • PDF

고로슬래그 기반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 및 미분탄 플라이애시 혼입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 (Properties of Cement Mortar According to Mixing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Fly Ash and Pulverized Coal Fly Ash based on Blast Furnace Slag)

  • 조성우;나형원;형원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1-1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 중 순환유동층 연소방식과 미분탄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 및 미분탄 플라이애시 혼합 사용 시 강도발현 뿐만 아니라 내구성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나타난다.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는 초기 반응성 향상에 기여하며, 미분탄 플라이애시는 포졸란 반응으로 장기 강도 발현에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유동층 플라이애시와 미분탄 플라이애시의 혼합사용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상호 보완적인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연소방식별 폐기물 고형연료(RDF)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Refuse Derived Fuel(RDF) in Various Incinerators)

  • 김우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1호
    • /
    • pp.46-57
    • /
    • 2006
  • 폐기물고형연료(RDF : Resused Derived Fuel)를 연료로 하는 연소기술의 개발을 위하여 기포유동층 연소로와 순환유동층 연소로, 연속연소식 연소로, 회분식 연소로 등 다양한 연소장치를 이용하여 연소 특성실험을 하였다. 여러 종류의 연소설비에서 RDF의 연소 및 배출가스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RDF 전용 연소설비에 대하여 보다 깊은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자고 하였다. 기포 유동층 및 순환유동층연소로에서는 적정투입량과 가스공탑속도등 적정운전조건에 따라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환유동층 연소로에서 연소조건에 따라 연료 중의 질소성분과 연소공기 중의 산소와의 반응이 커져서 NOx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SO_2$는 매우 낮은 농도로 측정되어 RDF의 유동층 연소시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HCl의 경우 평균 36.4ppm으로 배출허용기준치보다는 낮으나 저감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속연소식 연소로와 회분식 연소로의 경우 성형 RDF와 fluff RDF를 비교 실험한 결과 높은 밀도를 가진 성형 RDF의 연소가 안정적인 열회수 측면에서 더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배가스 특성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배출가스 특성은 비슷하였다.

RDF연소를 위한 순환유동층보일러개발 (Development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for Refused Derived Fuel)

  • 배달희;선도원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5년도 제31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71-77
    • /
    • 2005
  • Combustion of RDF and wastewater sludge was performed in a 0.1MWth bench 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CFBC),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RDF and sludge mixture demonstrated stable combustion conditions. Component analysis, Combustion characteristic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applications for commercial 1MWe CFBC boiler were prepared. The release of hazardous components such as $SO_2$ and HCl was relatively low values of 50 and 150ppm,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