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ctuation in abundanc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9초

Expressional Profiling of Telomerase and Telomere-Associated Molecules in the Rat Testis and Seminal Vesicl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al Period

  • Seo, Hee-Jung;Lee, Seong-Kyu;Baik, Haing-Woon;Cheon, Yong-Pil;Chun, Tae-Hoon;Choi, In-Ho;Lee, Ki-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195-202
    • /
    • 2011
  • Maintenance of adequate telomere length in developing cells is the most important concern to preserve the integrity of the genome. The length of telomere is strictly regulated by numerous telomere-binding proteins and/or interacting factors. Even though the expression of telomerase in the male reproductive tract has been characterized, developmental expressional profiling of telomerase and other telomere-associated proteins has not been determined in detail.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examine expression patterns of catalytic subunit (Tert) and RNA component (Terc) of telomerase and two telomerase associated factors, telomerase associated protein 1 (Tep1) and TERF1 (TRF1) interacting nuclear factor 2 (Tinf2) in the testis and seminal vesicle of mal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he real-time PCR analysis was utilized to quantify mRNA expression of molecules. The abundance of Tep1 mRNA in the testis and seminal vesicle was the highest at 5 months of age. Expressional fluctuation of Tinf2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was found in the testis, while expression of Tinf2 in the seminal vesicle was gradually increased until 5 months of age and then significantly decreased later. mRNA level of Tert gene in the test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adult and the elder, while the highest expression of Tert gene in the seminal vesicle was found at 5 months of age. Expression of Terc transcript in the testis and seminal vesicle was the highest at 5 months of age, followed by significant reduction at 1 and 2 years of ages. Such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of telomere-associated factors and telomerase components in different male reproductive tissue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indicates that maintenance of telomere length would be regulated in tissue- and/or age-specific manners.

Chlorella의 성장에 미치는 무기영양의 영향에 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 (Mathemat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mineral nutrients on the growth rate of Chlorella)

  • 장남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07-114
    • /
    • 1969
  • Aspergillus을 이용하요 생리적 제성질을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균주들은 각각 그들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서 균동정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2)Amilase측정결과에서 보면 비교적 역가가 높은 균주들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일주문의 경과에 따라 역가가 증가하였으나 protease의 역가는 우수한 균주를 발견키가 어려웠다. 3)Iodine의 착색대와 비착색대의 비율에 의한 역가의 정성적인 측정이 가능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errestrial arthropod community and biomass in differently managed rice fields in Korea

  • Lee, Sue-Yeon;Kim, Myung-Hyun;Eo, Jinu;Song, Young Ju;Kim, Seung-Tae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17-334
    • /
    • 201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anaged farming practices, including low-intensive farming, duck farming, and golden apple snail farming, in a rice ecosystem by comparing terrestrial arthropod communities. A total of 75 species from 70 genera belonging to 43 families in 11 orders were identified from 9,622 collected arthropods. Araneae, Hemiptera, and Coleoptera were the richest taxa. Collembola was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Diptera, Hemiptera, and Araneae. Bray-Curtis similarity among the farming practices was very high (76.7%). The biodiversity of each farming practice showed a similar seasonality pattern. The richest species group was the predators, followed by the herbivores. The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of ecologically functional groups among the farming practi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abundance of predators in golden apple snail farming. The biodiversity seasonality of ecological functional groups in each farming practice showed similar patterns. The biomass of Araneae, Hemiptera, Coleoptera, and Diptera was greater than the other taxa, in general. The biomass of each ecological functional group showed little difference and the biomass fluctuation patterns in each farming practice were almost the same. Collectively, the community structures and biodiversity of terrestrial arthropods among the farming practices in the present study were not different. The present study may contribute to sustain rich biodiversity in irrigated rice fields and to advanced studies of food webs or energy flow structures in rice fields for ecological and sustainable agriculture.

충주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Lake Chungju, Korea)

  • 김치홍;이완옥;홍관의;전형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4-270
    • /
    • 2005
  •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충주호 내의 3개 지점에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모두 12과 32종이었고, 우점종은 H. labeo로 전체 개체수 비는 23.2%였으며 아우점종은 E. erythropterus (12.1%), 다음으로는 S. scherzeri (9.2%), P. esocinus (8.6%)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A. yamatsutae 등 6과 9종이었고 전체 종 수에 대한 구성비는 28.1%였다. 단양수역은 10과 28종이 출현하였고, 제천수역은 6과 17종이었으며 두 지역의 우점종은 H. labeo이었다. 충주수역은 6과 15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E. erythropterus이었다. 우점도는 충주수역이 0.670으로 가장 높았고, 종 다양도는 단양수역이 2.442로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5월에 가장 많았고, 단양수역이 다른 수역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H. labeo를 비롯한 생체량이 많은 종들의 개체군 변동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Fluctu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Long-bag Stow Net in Nang-island, Yeosu)

  • 유태식;윤병일;김준;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1-96
    • /
    • 2020
  •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2017년에 계절별로 4개의 정점에서 진행하였다. 어획된 어류는 총 9목 26과 37종, 10,208개체가 어획되었다. 농어목이 11과 16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멸치(4,886개체, 47.9%), 보구치(842개체, 8.2%), 준치(369개체, 3.6%) 순이었다. 다양도는 1.24~3.23 범위를 보이며 5월이 가장 높았고, 우점도는 22.4~78.7% 범위를 보이며 11월이 가장 높았다.

뽕나무 경작지의 남방계지렁이 분포 (Distribution of Southern Earthworm Race in Mulberry Tree Cultivation Area)

  • 홍용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63-269
    • /
    • 2014
  • 농생태계의 뽕나무 경작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지렁이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3년 4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조사를 하였다. 분류된 남방계지렁이는 총 5속 9종으로 다음과 같다. Aporrectodea caliginosa (Savigny, 1826), Bimastos parvus (Eisen, 1874), Eisenia fetida (Savigny, 1826), Drawida japonica (Michaelsen, 1892), Amynthas heteropodus (Goto & Hatai, 1898), Amynthas agrestis (Goto & Hatai, 1899), Amynthas corticis (Kinberg, 1867), Amynthas hilgendorfi (Michaelsen, 1895), Amynthas sp. 등이다. 장미줄지렁이 (Ap. caliginosa) 개체군 밀도 소장은 10월에 정점을 보이고 다음해 2월까지 감소하고, 성체와 미성체는 동시에 출현하며, 그들의 조성 비율은 성체 11.4%, 준성체 12.6 11%, 미성체 76% 이었다.

우리나라 대형선망어업에서 어획된 태평양참다랑어의 CPUE 표준화(2003-2016) (CPUE standardization of Pacific bluefin tuna caught by Korean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2003-2016))

  • 이성일;김두남;이미경;조헌주;구정은;김중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116-123
    • /
    • 2018
  •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has been mostly caught by the Korean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Korean waters. The annual catch of Pacific bluefin tuna caught by the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Korean waters showed less than 1,000 mt until the 1990s except for 1997. The catch sharply increased to 2,401 mt in 2000 and recorded the highest of 2,601 mt in 2003, but the catch has generally decreased with a fluctuation thereafter. The main fishing ground of Pacific bluefin tuna of this fishery is formed around Jeju Island. However, it expanded to the Yellow Sea, the coastal of Busan, and the East Sea, which depends on the migration patterns of Pacific bluefin tuna by season. The CPUE standardization of Pacific bluefin tuna was conducted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 (GLM) to assess the proxy of the abundance index. The data used for the GLM were catch (weight), effort (number of hauls), catch ratio of Pacific bluefin tuna, moon phase by year, quarter and area. The standardized CPUE from 2004 to 2011, except for 2003 and 2010, showed a steady trend, and then increased until 2014. The CPUE in 2015 decreased, and in 2016 was higher than that in 2015. The result of GLM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he catch ratio of Pacific bluefin tuna is the largest factor affecting the nominal CPUE.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III. Spati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38-445
    • /
    • 1993
  • 1991년 가을에는 1992년 여름 사이 아산만에서 otter trawl로 저어류 자료를 수집하여 저어류의 계절 및 정점간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출현한 34종 중,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belengeri), 곤어리(Thrissa koreana) 및 등가시치(Zoarces gillii)가 총 채집개체수의 $93\%$를 차지하였다. 위의 4종 중 부어류인 곤어리를 제외한 우점 3종은 저질이 세립질인 만 내부에서 생물량이 많았다. 각 계절 정점간 군집구조를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한 결과, 정점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계절에 따른 군집구조 변화는 뚜렷하였으며, 그 변화는 수온, 혹은 수온과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에 의하여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해역은 수온의 연교차가 크고, 조류에 의한 해수의 혼합이 활발하여 이에 적응한 소수종이 우점하고 이 우점저어류는 퇴적물의 입도에 따라 그 분포가 결정되지만, 출현 개체수가 적은 대부분의 종은 정점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계절에 따라 군집구조가 변하여 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간척지의 환경변화가 흰뺨검둥오리 서식에 미치는 영향 (Som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nges on Sihwa Reclaimed Land on the inhabit of Spot-billed Ducks)

  • 진선덕;백인환;박치영;최성훈;유재평;백운기;강태한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7-93
    • /
    • 2018
  • 시화호 환경변화에 따른 흰뺨검둥오리의 개체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08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평균 개체수는 12,204개체이었고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변동지수(Fi)는 2010년에 2.16로 가장 높았다. 개체군 변화경향은 겨울철은 급격한 감소, 가을철과 봄철에는 보통감소, 여름철은 보통 증가경향을 보였다. 주요 서식지로는 북측간척지, 방수제, 탄도수로, 인공습지 이었다. 기온과의 상관관계는 봄, 여름, 가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겨울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척지 환경변화에 따라 흰뺨검둥오리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본 연구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영일 지역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의 광물특성 및 생성환경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Environment of Zeolitic Bentonite in Yeongil Area)

  • 노진환;고상모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5-145
    • /
    • 2004
  • 영일 지역에서는 제올라이트 광물들을 상당량(대개 5% 이상) 함유하는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가 밝은 색조를 띠고 1 m 미만의 두께를 이루며 흔히 산출된다. 이 같은 벤토나이트는 제올라이트 층과 밀접한 층준 접촉관계를 이루며 주로 장기층군의 눌대리응회암층과 함탄층에 부존된다. 이벤토나이트는 곳에 따라 층리와 비조화적 관계를 이루며 산출되기도 한다.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의 주성분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는 제올라이트 광물로서 대부분 클리놉틸로라이트와 공생관계를 이룬다. 그렇지만 보다 규질인 벤토나이트의 경우에는 모오데나이트, 상대적으로 $SiO_2$ 함량이 낮은 벤토나이트에서는 휼란다이트를 수반하기도 한다. 모오데나이트가 수반될 경우에는 단백석이 많이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에서는 이들 변질 광물들, 특히 몬모릴로나이트와 제올라이트 광물들이 서로 미세분대되지 않고 대개 혼재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는 비교적 규산 성분이 농집된 공극수 조건과 pH의 오르내림이 반복되는 알칼리 환경 하에서 생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 벤토나이트는 제올라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통상적인 벤토나이트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희토류 원소 함유도를 나타낸다. 제올라이트질 벤토나이트의 이 같은 화학적 특징은, 산출상태 및 광물상에서의 특징과 더불어, 이벤토나이트의 성인을 단순히 속성작용의 결과로만 해석하기 어렵고 일부 벤토나이트들에 대해서는 열수변질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