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Scan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내유동맥의 골격화 채취는 흉골로의 혈류 감소 측면에서 과연 유리한가 \ulcorner: 골주사를 이용한 평가 (Is Skeletonized Internal Mammary Artery Harvesting better than Pedicled Harvesting in Respect of the Sternal Blood Flow\ulcorner: An Estimation Using Bone Scan)

  • 손국희;김영삼;김정택;윤용한;김광호;최원식;백완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11-516
    • /
    • 2004
  • 배경: 관상동맥우회술 시 내유동맥편의 골격화 채취법의 이론적인 장점들의 하나는 골격화 채취가 내유동맥의 채취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흉골로의 혈류 공급의 감소를 최소화시킨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술 전과 술 후 각각 골주사를 통하여 좌측 및 우측 흉골로의 흡수율을 비교 분석하여, 술 후 내유동맥편의 채취 방법에 따른 흉골로의 혈류 감소의 차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시행한 48예의 관상동맥우회술 환자들 중 술 전 및 술 후 1일째 골주사를 시행한 2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예의 환자에서 양측 내유동맥을 모두 사용하였으며(BIMA군), 19예의 환자에서 좌내유동맥만을 사용하였는데(LIMA군), 이 중 골격화 채취를 하여 사용한 환자가 12예(LIMA_skel군), 경상 채취하여 사용한 환자가 7예(LIMA_ped군)였다. 골주사를 시행 후 임의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흉골의 좌측 부분에 관심 영역을 그리고 흉골의 반대편에 이 영역의 대칭영상을 만들어 또 하나의 관심 영역을 만든 후 각 관심 영역의 화소 당 평균 계산치를 택하여 좌우비를 산출 하였다. 결과: LIMA군에서 좌우비는 수술 전 94.6$\pm$4.1%에서 술 후 87.9$\pm$6.9%로 감소한 반면(p=0.003), BIMA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좋은 대조를 보였다. LIMA_skel군 과 LIMA_ped군에서의 좌우비는 각각 수술 전 95.3$\pm$4.2% 및 93.4$\pm$3.9% 에서 술 후 88.3$\pm$7.7% 및 87.4$\pm$5.8%로 감소하였으나 감소 정도를 분율로 표시하였을 때 LIMA_skel군이 -7.44$\pm$7.08, LIMA-ped 군이 -6.17$\pm$9.08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술 후 흉골의 골주사 흡수의 감소는 내유동맥의 채취가 채취방법에 상관없이 동측의 흉골의 혈류 공급을 감소시킴을 시사하였다. 내유동맥의 골격화 채취가 비골격화 채취에 비하여 흉골의 혈류 공급의 보존 측면에서 월등한 이점을 보이지는 않았다.

포크너-스캔 경계층유동에서의 다분산 입자부착에 대한 연구 (Deposition of Polydisperse Particles in a Falkner-Skan Wedge Flow)

  • 조장호;황정호;최만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9호
    • /
    • pp.2342-2352
    • /
    • 1995
  • Deposition of flame-synthesized silica particles onto a target is utilized in optical fiber preform fabrication processes. The particles are convected and deposited onto the target. Falkner-Skan wedge flow was chosen as the particle laden flow. Typically the particles are polydisperse in size and follow a lognormal size distribution. Brownian diffusion, thermophoresis, and coagulation of the particles were considered and effects of these phenomena on particle deposition were studied. A moment model was developed in order to predict the particle number density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imultaneously. Particle deposition with various wedge configurations was examined for conditions selected for a typical VAD process. When coagulation was considered, mean particle size and its standard deviation increased and particle number density de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coagulation. These results proved the fact that coagulation effect expands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rmal and diffusion boundary layers. As the boundary layers grow in thickness, overall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gradients decrease, resulting in decrease of deposition rate and increase of particle residence time in the flow and thus coagulation effect.

한국 남해안에 시설된 인공어초 주위의 퇴적과 세굴 특성 (Characteristics of accretion and scour around artificial reef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김창길;서성호;오태건;김병균;최용석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년도 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33
    • /
    • 2011
  • 동 연구는 한국 남해안에 시설된 인공어초 주위의 퇴적과 세굴의 특성을 기술한 것이다. 퇴적과 세굴 특성 조사는 2007년 4월에 137개가 시설된 사각형어초의 1단지에서 수행되었다. 사각형어초의 1개의 체적은 8 $m^3$ ($2{\times}2{\times}2$ m)이다. 조사된 사각형어초단지는 1999년 11월에 수심 21.6 m의 사니질에 시설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주요 장비는 Side Scan Sonar, Multi Beam Echo Sounder, Sub-Bottom Profiler, Water Current meter 등 이다. 조사 결과, 인공어초는 중첩된 어초단지 높이의 2-3배인 약 4m 높이로 시설되어 있었고, Side Scan Sonar에 의해 조사된 어초의 형상은 타원형이었다. 인공어초 주위의 최대 유속은 간조시 81.5 cm/sec였으며, 창조시는 72.7 cm/sec 였다. 인공어초 주위의 세굴은 조상(潮上)측에서, 그리고 퇴적은 조하측의 체류역에서 형성되었다. 인공어초 주위의 퇴적은 2.4 - 3.0 m 범위였으며, 퇴적의 가장 높은 봉우리는 어초로부터 10 m의 거리에서 형성되었다. 그리고 경사는 주 흐름에 대한 직각 방향에 있는 어초의 부근에서 가파르게 형성되었으며, 어초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완만하게 형성되었다. 퇴적은 인공어초의 단지의 높이와 퇴적봉우리의 높이의 차가 적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퇴적 봉우리는 어초 높이의 약 1 m까지 퇴적된 후에 서서히 약화되었다. 한편, 세굴은 어초로부터의 용승류, 그리고 퇴적의 옆면에 흐르는 측류에 의해 계속적으로 야기되어 진다. 또한 세굴은 바닥을 파헤친 것이 아니라 퇴적된 부분에서 야기되어지며, 이것은 세굴의 깊이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수술중 측정한 관상동맥 우회도관 혈류량의 분석 (Intraopera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Flow)

  • 박계현;채헌;윤양구;이재웅;김관민;전태국;김진국;심영목;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760-769
    • /
    • 1997
  • 본 연구는 관상동맥 우회수술중 측정한 우회도관의 혈류량을 결정하는 인자들을 분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술 전략의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관상동맥 우회수술중 transit-time ultrasound flowmeter를 이용하여 총 146개의 우회 도관의 혈류량(graft blood flow; GBF)을 측정하였다. 수혜관상동맥의 내경, 해당 심근의 면적, 우회도관의 종 류, 수술전 심근 관류 스캔 소견 등의 변수와 GBF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수술 3개월후 시행한 심근 관류 스캔 소견과의 상관관계 여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속 문합된 목재정맥 우회도관의 GBF(평균 61.5 ml/min)가 내홉동맥(평균 42.5 ml/min)이나 단순 복재정맥 우회도관의 GBF(평균 46.9 ml/min)보다 의미있게 높았다(p<0.01). 2. GBF와 myocardial value 및 수혜동맥의 내경 간에 유의할 만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근 스캔상 관류결손 의 유무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수혜동맥 내경이 1.5 m 미만이거나 혹은 myocardial value가 2 미만인 경우에는 CBF가 유의하게 낮았다. 4. myocardial value가 같을 경우 수혜 관상동맥의 내경과 GBF간의 상관관계가 약하였던 반면 수혜동맥의 내경이 같을지라도 myocardial value가 클수록 GBF가 증가하였다. 5. GBF 측정치가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한 기대치보다 낮았던 경우와 기대치 이상이었던 경우를 비교하면 전 자에서 수술후에 해당 심근영역에서 관류결손이 발견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32.2% vs 15.1%, p< 0.05). 이상의 결과는 관상동맥우회도관의 혈류량은 해당 심근 영역과 동맥계(run-of)의 크기에 의하여 주로 결정됨을 시사하는 것으로 내경 1∼1.5 m의 작은 관상동맥일지라도 지배하는 심근의 면적이 클 경우에는 우회 도관을 조성하여 줌으로써 심근 관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고 완전 혈류재건(complete revascularization)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런 경우 연속문합술을 이용함으로써 우회도관 근위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장기 개통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 부정맥 모니터의 개발(I)-하드웨어 설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ortable Arrhythmia Moniter Using Microcomputer(I))

  • 이명호;안재봉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9-182
    • /
    • 1986
  • Pulsed ultrasonic Doppler system is a useful diagnostic instrument to measure blood-flow-velocity, velocity profile, and volume-blood-flow. This system is more powerful compare with 2-dimensional B-scan tissue image. A system has been deve- loped and ii being evaluated using TMS 32010 DSP. We use this DSP for the purpose of real-time spectrum analyzer to obtain spectrogram in singlegate pulsed Doppler system and for the serial comb filter to cancel clutter and zero crossing counter to estimate Doppler mean frequency in multigate pulsed Doppler system. The Doppler shift of the backscattered signals is sensed in a phase detector. This Doppler signal corresponds to the mean velocity over a some region in space defined by the ultrasonic beam dimensions, transmitted pulse duration, and transducer ban(iwidth. Multi- gate pulsed Doppler system enable the transcutaneous and simultaneous assessment of the velocities in a number of adjacent sample volumes as a continuous function of time. A multigate pulsed Doppler system processing the information originating from presented.

  • PDF

Immediate Loading of Narrow Diameter Implants at the Mandibular Incisor Area Using Full Digital Flow: A Case Report

  • Ahn, Ji Ho;Lim, Young-Jun;Baek, Yeon-Wha;Lee, Jungwo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92-99
    • /
    • 2022
  •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immediate loading of narrow diameter implants in the mandibular incisor area using full-digital flow.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implants was planned using digital software, and the corresponding surgical template was fabricated. The implants were inserted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and on the same day, the interim abutment and bridge were placed. At 8 weeks after surgery, the stability of the implants was measured and a digital impression was made using a scan body. Customized titanium abutments and a cement-type full zirconia bridge were delivered. At 36 weeks' follow-up, no clinical or radiographic complications were detected, and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s.

토석류 발생지역 지형자료 구축 및 FLO-2D 모델링 (Terrain Data Construction and FLO-2D Modeling of the Debris-Flow Occurrences Area)

  • 오채연;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3-61
    • /
    • 2019
  • 토석류의 발생은 산악지역에 위치한 도로나 주택가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며 많은 재산의 손실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산악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를 모의하기 위해 2개의 유역을 선정하고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첫 번째 유역의 경우 지상 LiDAR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 구간을 스캔하고 지형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두 번째 유역의 경우는 드론을 활용하여 유역의 퇴적부를 촬영하고 DSM(Digital surface model)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토석류 발생이 하류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상용 모델인 FLO-2D를 사용하여 토석류의 흐름 영역을 시뮬레이션하고 지상 LiDAR 및 드론 측정데이터의 퇴적부와 비교분석하였다.

납이 용해된 전해액을 사용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edox Flow Battery Using the Soluble Lead Electrolyte)

  • 안상용;김응진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4-218
    • /
    • 2011
  • 납이 용해된 수용성메탄술폰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납과 이산화납의 부착, 용해과정을 평가하기 위해 전압전류법을 실시하였다. 음전위쪽으로 순방향 주사에서 뚜렷한 환원피크는 관찰되지 않고, 전류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음전위 구간에서 역방향 주사에서 산화피크의 on-set potential은 -0.47 V(vs SCE)에서 관찰되었다. 양전위 구간에서는 순방향과 역방향에서 뚜렷한 피크가 나타났다. 비이커 셀내에 설치된 전극으로 충방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납의 충전(부착)은 약 0.5 V(vs SCE), 납의 방전(용해)는 약 0.25 V(vs SCE)에서 진행되었으며, 충전 및 방전시의 전위 차이는 약 0.25 V이다. 이산화납의 초기 충전(부착)은 1.7 V(vs SCE)에서 진행되었고, 방전(용해)은 0.95 V 부근의 일정전위에서 진행되었다. 두번째 사이클에서, 충전은 1.5 V(vs SCE)이하에서 시작되고, 이후 전위가 1.7 V(vs SCE)로 증가하였다. 방전 전위는 약 1.0 V로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Technetium 99m DTPA를 이용(利用)한 정상(正常) 한국인(韓國人)의 뇌혈류량(腦血流量) 측정(測定) (Normal Values of Cerebral Blood Flow in Korean Determined by Tc-99m DTPA)

  • 이신형;차순주;이민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7-81
    • /
    • 1985
  •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measurement of cerebral blood flow. A method using Tc-99m DTPA which was injected via antecubital vein and monitored extracranially with gamma camera is described here. In this method, the brain scan and CBF mesurement were performed with scan and CBF were usually studied separat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otal candidates were 53, male 34 and female 19, who have no evidence of neurologic, cardiac or kidney problems. 2) By this method, the normal CBF of Korean was $54.12{\pm}6.49ml/min/100g$ of brain tissue. 3) The CBF of male was $54.06{\pm}5.9ml/min/100g$ of brain tissue, female was $54.89{\pm}6.51ml/min/100g$, so there was no definite sex difference. 4) The CBF under 10 years of age was $54.12{\pm}2.5ml/min/100g$, $11\sim20years$ of age was $52.33{\pm}6.1ml/min/100g$, $21\sim60years$ of age was $52.86{\pm}5.06ml/min/100g$, and over 61years of age was $55.43{\pm}4.84ml/min/100g$,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BF by age.

  • PDF

Tc-99m DPD 골스캔과 복부 CT 영상에서 보이는 위암의 석회화 (Visualization of the Gastric Calcification due to Cancer on Tc-99m DPD and Abdominal CT Images)

  • 정영진;강도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44-346
    • /
    • 2004
  • A 69-year-old woman was presented with progressed dysphagia, gastric soreness and weight loss during 2 months. She was performed abdomen x-ray, EGDS and abdomen CT. Abdomen x-ray demonstrated punctuate calcification on LUQ. EGDS showed an ulceroinfiltrative mass with bleeding on cardia to antrum of stomach. And CT showed diffuse gastric wall thickness with multiple calcifications. Biopsy of the stomach and esophagus during EGDS examination revealed an adenocarcinoma, with signet ring cell type, infiltrating the wall of the stomach and the distal esophagus. Then acne scan was performed a few days later. It revealed intense uptake in LUQ, corresponding to the calcium containing neoplasm seen on the abdomen x-ray, EGDS and abdomen CT.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any metastatic lesion and thyroid uptake on the bone scan.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accumulation of the tracer in extraosseous lesion, but only a few literatures were reported about gastric calcification in stomach cancer. More over, no reports showed CT images. We are performed many diagnostic examinations and found well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reason of gastric calcification is considered with calcium deposition within extracellular space due to hemorrhage or necrosis. Other possibility offered to explain gastric calcification have been increased blood flow and/or increased neovascularity with capillary leaks of tracer, and specific enzymatic (phosphatases) receptor binding of tracer. So, it was happened ion exchange between intracellular calcium and phosphate groups of tra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