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mobility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5초

Design and Simulation of a Flow Mobility Scheme Based on Proxy Mobile IPv6

  • Choi, Hyon-Young;Min, Sung-Gi;Han, Youn-Hee;Koodli, Rajeev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8권4호
    • /
    • pp.603-620
    • /
    • 2012
  • Proxy Mobile IPv6 (PMIPv6) is a network-based mobility support protocol and it does not require Mobile Nodes (MNs) to be involved in the mobility support signaling. In the case when multiple interfaces are active in an MN simultaneously, each data flow can be dynamically allocated to and redirected between different access networks to adapt to the dynamically changing network status and to balance the workload. Such a flow redistribution control is called "flow mobility". In the existing PMIPv6-based flow mobility support, although the MN's logical interface can solve the well-known problems of flow mobility in a heterogeneous network, some missing procedures, such as an MN-derived flow handover, make PMIPv6-based flow mobility incomplete. In this paper, an enhanced flow mobility support is proposed for actualizing the flow mobility support in PMIPv6. The proposed scheme is also based on the MN's logical interface, which hides the physical interfaces from the network layer and above. As new functional modules, the flow interface manager is placed at the MN's logical interface and the flow binding manager in the Local Mobility Anchor (LMA) is paired with the MN's flow interface manager. They manage the flow bindings, and select the proper access technology to send packets.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complete flow mobility procedures which begin with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triggering cases: the MN's new connection/disconnection, the LMA's decision, and the MN's request. Simulation using the ns-3 network simulator is performed to verify the proposed procedures and we show the network throughput variation caused by the network offload using the proposed procedures.

PMIPv6 환경에서 Multi-Interface 단말의 플로우 이동성 지원 방안 (Flow Mobility of PMIPv6 for Multi-Interface Mobile Nodes)

  • 이동민;민상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0B호
    • /
    • pp.1168-1174
    • /
    • 2011
  • IEFT에서는 PMIPv6 환경에서 다중 인터페이스틀 가지는 MN에 플로우 단위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PMIPv6 환경에 플로우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LMA의 BCE에 추가적인 필드와 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안을 통하여 LMA에서 플로우 단위의 라우팅이 가능하게 하며 MAG에서 플로우 핸드오버된 패킷을 폐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안의 검증을 위하여 LMA와 MAG, 요구되는 기능을 실제 구현하였으며 구현한 테스트베드를 이용하여 제안한 방안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방안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플로우 이동성이 제공됨을 확인하였다.

AIMS 시스템에서 플로우 이동성 기법의 설계와 검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Flow Mobility Scheme tn the AIMS System)

  • 이성근;이경희;민성기;이효범;이현우;한연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7B호
    • /
    • pp.760-770
    • /
    • 2011
  • 기존 이동성 관리 기법들은 IP 기반의 코어 네트워크와 다양한 접근 네트워크를 수용하는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현재 ETRI에서는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관리에 관한 ITU-T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AIMS (Access Independent Mobility Service)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AIMS 시스템은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이종망간의 이동성 관리에 우수한 성능을 지닌다. 한편, 최근에 많이 활용되는 사용자 단말은 여러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니고 있어서 Wi-Fi와 3G와 같은 서로 다른 여러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IMS 시스템에서 이동성 지원을 받는 단말들이 여러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경우 접속 네트워크 기술 간에 선택적으로 데이터 플로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플로우 이동성(flow mobility) 기법을 설계하고 NS-3 시뮬레이션 구현을 통하여 제안 기법을 검증한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통하여 제안 기법이 다양한 접근 네트워크를 지닌 이동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지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함을 입증한다.

Proxy MIPv6 기반 망에서 플로우 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 (A Flow-based Mobility Support Mechanism in Proxy MIPv6 based Network)

  • 이재훈;김영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B호
    • /
    • pp.592-599
    • /
    • 2011
  • PMIPv6(Proxy Mobile IPv6)는 이동 노드(Mobile Node: MN)을 대신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이다. PMIPv6에서는 비록 MN에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가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단지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이용하여 MN이 PMIPv6 도메언에 정속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중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이동 노드가 PMIPv6 도메인에 접속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의도를 고려한 플로우 기반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된 기법은 PMIPv6 도메인에서 라우터광고 (Router Advertisement: RA) 메시지를 이용하여 MN이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한 PMIPv6 도메인에 동시에 접속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IPv6 프로토콜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그널링 비용과 핸드오버 지연을 이용하여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MN의 속도와 우선 링크의 실패 확률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빠르고 확장성이 용이한 플로우 이동성 관리 방법 (A Fast and Scalable Mobile Flow Management Method for IP-Based Mobile Networks)

  • 임태형;경연웅;;홍기원;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1호
    • /
    • pp.8-1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IP 기반의 이동 네트워크에서 빠르고 확장성이 용이한 상태 보존형 (Stateful) 플로우 라우팅을 포함하는 플로우 이동성 관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플로우 라우팅을 수행하는 크로스오버 플로우 라우터를 도입하여 분산적으로 플로우 이동성을 관리하도록 하였고, 이로써 기존의 IP 패킷 라우팅에 의한 기존의 이동성 지원 방법의 문제점인 긴 지연 시간과 이동성 관리 오버헤드 문제를 완화시킬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 분석을 수행하여 기존의 IP 기반 이동성 지원 방식들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방식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A Seamless Flow Mobility Management Architecture for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s

  • Meneguette, Rodolfo Ipolito;Bittencourt, Luiz Fernando;Madeira, Edmundo Roberto Maur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2호
    • /
    • pp.207-216
    • /
    • 2013
  • 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s) are self-organizing, self-healing networks which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ehicular and roadside devices. Applications in such networks can take advantage of the use of simultaneous connections, thereby maximizing the throughput and lowering latency.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all radio interfaces of the vehicle and to provide good quality of service for vehicular applications, we developed a seamless flow mobility management architecture based on vehicular network application classes with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Our goal is to minimize the time of flow connection exchange in order to comply with the minimum requirements of vehicular application classes, as well as to maximize their throughput. Network simulator (NS-3)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analyse the behaviour of our architecture by comparing it with other three scenarios. As a result of this work, we observed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e presented a low handover time, with lower packet loss and lower delay.

MIH 서비스를 이용한 고속 NetLMM 프로토콜 (Fast 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us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s)

  • 박시헌;김영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1호
    • /
    • pp.35-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진행 중인 NetLMM(Network 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WG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NetLMM 프로토콜에서 핸드오버 지연을 개선하기 위해 IEEE 802.21 MIHS(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s)를 적용하였으며 Fluid Flow Mobility Model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Fast NetLMM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Fast NetLMM 프로토콜은 다른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Flow Mapping Agent를 이용한 이동성 지원 전송 방법 (Mobility Support using Flow Mapping Agent in Content Centric Network)

  • 허림;홍충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225-226
    • /
    • 2012
  • 현재 스마트 장치에는 3G, LTE, Wifi나 Bluetooth를 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이 동시에 탑재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장치의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인 Flow Mobilit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또한 다양한 미래 인터넷 연구 주제들 중 하나인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도, 노드의 이동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 Flow Mobility를 지원하기 위해 Flow Mapping Agent를 제안하고, 노드 이동 시나리오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Leveraging Proxy Mobile IPv6 with SDN

  • Raza, Syed M.;Kim, Dongsoo S.;Shin, DongRyeol;Choo, Hyunseu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3호
    • /
    • pp.460-475
    • /
    • 2016
  • The existing Proxy Mobile IPv6 suffers from a long handover latency which in turn causes significant packet loss that is unacceptable for seamless realtime services such as multimedia streaming. This paper proposes an OpenFlow-enabled proxy mobile IPv6 (OF-PMIPv6) in which the control of access gateways is centralized at an OpenFlow controller of a foreign network. The proposed OF-PMIPv6 separates the control path from the data path by performing the mobility control at the controller, whereas the data path remains direct between a mobile access gateway and a local mobility anchor in an IP tunnel form. A group of simple OpenFlow-enabled access gateways performs link-layer control and monitoring activities to support a comprehensive mobility of mobile nodes,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through the standard OpenFlow protocol. The controller performs network-layer mobility control on behalf of mobile access gateways and communicates with the local mobility anchor in the Proxy Mobile IPv6 domain. Benefiting from the centralized view and information, the controller caches the authentication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reuses it to significantly reduce the handover latency. An analytical analysis of the proposed OF-PMIPv6 reactive and proactive handover schemes shows 43% and 121% reduction in the handover latency, respectively, for highly utilized network. The results gathered from the OF-PMIPv6 testbed suggest similar performance improvements.

100 nm NIST 표준입자를 이용한 미분형 전기 이동도 분석기의 교정 및 불확실도 측정 (Calibration and Uncertainty Measurement of 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 Using 100 nm NIST SRM 1963)

  • 이상진;안진홍;안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12호
    • /
    • pp.1766-1771
    • /
    • 2003
  • House made 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DMA) is calibrated with NIST SRM 1691(300 nm PSL). Then the particle size and uncertainty for 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DMA) using the NIST SRM 1963(100 nm PSL). In result, calibration of prototype DMA is measured using 300 nm NIST SRM 1691, then sheath air flow was corrected 126.67 ㎤/s. Corrected sheath air flow is used in uncertainty measurement of prototype DMA. Uncertainty analysis is performed using NIST SRM 1963(100 nm PSL).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NIST SRM 1963 is measured as 102.17 nm with a type A uncertainty of 0.33 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