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al-design typ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백제 장신구의 문양 분석 (A Study on the Patterns of Baekje Accessories)

  • 서미영
    • 복식
    • /
    • 제58권8호
    • /
    • pp.13-29
    • /
    • 2008
  •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s of Baekje accessories, including pattern kinds, symbolic meanings and pattern types. And also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ccessory patterns and gives a chance for reflecting upon the patterns of Baekje costume.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using documentary records related with the accessories of Baekje and evacua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 kinds of patterns were classified four groups, floral, animal, geometrical and other patterns. Also, the symbolic meanings of its were authority, prolificacy, longevity and protection against evil spirit. Floral pattern was expressed most frequently. Second, the types of patterns were classified two groups, individual and compound type. Both of them was variously expressed. Third, The major material was copper with gold. Most work techniques were boring and hammering. The patterns were the composition of floral or animal patterns as a main design and geometrical patterns as a section or border design. Forth,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Baekje accessory patterns were to prefer floral patterns and to express symmetrical composition of patterns, therefore the patterns of Baekje accessories showed their esthetic sense like elegance, mild, serenity, a sense of stability and the sense of balance. In conclusi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Baekje accessory patterns would be expressed on the Baekje costume.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Expressio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Peony Patterns in Chinese Textiles)

  • 교단;이은진
    • 복식
    • /
    • 제60권1호
    • /
    • pp.101-116
    • /
    • 2010
  • In this study, the subjects are the expressio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peony patterns in Chinese textiles. This study represents the peony patterns which are from Ta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peony patterns in fabric, except the peony patterns which are expressed by gold foil, embroidery and kesi.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72 pieces of peony patterns. We sketched the configuration details of peony patterns through the Illustrator program. Analyze and classify the configuration accurately. Based on the 72 pieces of peony patterns, expressio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the peony pattern are as following, firstly, we classified peony patterns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expression methods, as realistic shape, pattern shape and shape. Among these 72 fabric relics, there most of realistic shape 42 pieces(58.3%), pattern shape 25 pieces(34.7%), and shape 5 pieces(7.0%). Secondly, in the realistic shape peony, the most of pattern has petal accumulate as grape- shaped. This type is found in almost every Dynasty and was used regularly in the eras of Song and Ming Dynasty. In the era of Ming Dynasty, by using petals like the curly mushroom, Yeongji(靈芝), the pattern of symbolizing longevity was habitually used. The U-shaped flower pattern (type E) and the pattern of emphasizing the veins of petals are found only in the remains of the era of Qing Dynasty. Thirdly, in the pattern shaped peony, the most of pattern has some petals which are separated(type C). Fourthly, we classified peony patterns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compositions, as individual branch form, floral branch form, cluster branch form and floral nest form. Among these 72 fabric relics, there most of individual branch form 33 pieces(45.8%), floral branch form 18 pieces(25.0%), cluster branch form 13 pieces(18.1%), floral nest form 8 pieces(11.1%).

화훼장식에서 대나무 활용의 사례 분석 (Case Analysis for Application of Bamboo in Floral Designs)

  • 방식;윤평섭;유병열;김양희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7-11
    • /
    • 2008
  • 본 연구는 화훼장식에서 대나무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월간잡지 플레르(Fleur)와 국제꽃장식대회의 대나무 작품 108개를 토대로 조사하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에 따른 사용빈도와 작업형태, 조형형태, 그리고 작품 안에서 대나무의 배열 기법을 분석하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는 줄기가 전체 작품에서 90%를 차지하였다. 줄기가 사용된 97작품 중에서 국제 꽃 장식 대회는 매년 4월에 열리는 특성으로 대회에 나온 20작품을 제외한 월간 잡지 '플레르(Fleur)'의 77작품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월별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수는 새해의 시작인 1~2월과 한여름인 7~8월이 가장 많았다. 줄기를 사용한 97작품에서 줄기가 사용된 형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가공하지 않고 자연그대로 사용한 작품이 63%로 나타났다. 작품 속에서 대나무의 배열 기법은 수직 병렬형이 48%로 가장 많았다. 기타는 수직, 수평, 사선에 포함되지 않는 원형의 작품들을 분류한 것이다.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작업유형은 테이블장식을 포함한 50% 이상이 공간장식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대나무가 소재로 쓰인 작품의 조형 형태는 장식적 형태가 64%, 그래픽적 형태가 30%, 선형적 형태가 4%로 나타났다.

성격유형에 따른 복식문양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Pattern Image by the Personality Type)

  • 남기선;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1호
    • /
    • pp.59-72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clothing pattern tendency and structural element of clothing pattern image dimension and to find how individual personality type influence the preferred clothing pattern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sent to 6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Daejeo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MBTI(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Form G Korean version and for the analysis of data SPSS 10.0 package were used. 10 representative patterns for this study were floral, dot, stripe, check, animal, abstract & artistic, geometric, vegetable & leaf, paisely, patchwork pattern.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rithmetic mean, One-Way ANOVA, x²-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Clothing pattern image dimension perceived by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10 representative patterns were basic form, deluxe, specialty, and cultural dimension. Among them, basic form and deluxe dimension were major dimensions. In basic form dimension, dot pattern score was high indicating female students perceive it as light, comfortable, clean, cool and simple pattern image. In deluxe dimension, floral pattern scored high and in specialty dimension, abstract and artistic pattern scored high among other pattern image. In cultural dimension, geometric pattern and check pattern scored high. Based on other detailed analysis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personality type greatly influence clothing pattern evaluation. For example, in case of color combination of patchwork pattern, there was a difference in color preference depend on a personality type such as sensing(S) or intuition(N). Therefore, sensing personality type preferred adjacent color combination than contrast color combination. Detailed marketing strategy is necessary in planning textile design of merchandise plan.

  • PDF

분화류를 이용한 화훼장식 디자인의 개발 (Development of Floral Designs by Using Potted Plants)

  • 변미순;이진호;김정숙;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6권3호
    • /
    • pp.186-195
    • /
    • 2008
  • 화훼장식의 자연적 및 비자연적 구성의 다양함을 보여주기 위해 분화류를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전시하였다. 형태는 구, 원기둥, 피라미드, 파라솔형 등으로 하고, 용기는 투명 비닐우산, 옹기, 주트 등으로 하였다. 전시하기 곤란한 조각난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분화류를 이용한 화훼장식품은 감상기간이 길고, 각기 다른 공간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선시대 행사도에서 찾아 본 상화(床花) 양식 (The Styles of Sanghwa, Table Flower, found from Paintings for the Joseon Dynasty Court Banquets)

  • 한상숙;이부영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5호
    • /
    • pp.57-76
    • /
    • 2021
  • 음식상의 꽃 장식인 상화(床花) 양식을 조선시대 행사도와 민간 생활에서 찾아보았다. 궁중 행사도에는 음식 위를 장식하는 상화가 꼭 있었으며, 참석자의 지위에 따라 상화의 종류나 사용하는 재료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궤(儀軌)에는 상화의 종류와 개수가 기록되어 있었고, 행사의 목적이나 대접받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서 장식하는 숫자가 다르고, 상화가 미리 꽂혀져 옮겨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민간생활에서도 상화가 있었으며, 음식 위의 장식뿐만 아니라 음식상 위에도 장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 전통 화훼장식의 디자인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sign Analysis of Traditional Flower Desig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ed on Expression Technique)

  • 이경숙;오욱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5호
    • /
    • pp.13-29
    • /
    • 2021
  •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의 기술 체계는 과거로부터 현대로 그 맥이 이어졌을 것이라는 인식 아래,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화훼장식에서 디자인 형태의 유형을 추출하여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현대의 전통 화훼장식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화훼장식 작품들은 대부분 중앙 출발점에 1개 초점(1점 출발)을 주로 표현하였다. 중심가지선은 주로 1개 사용하였고, 밑받침 소재로는 주로 절엽을 사용하였다. 현대 화훼장식에서도 1개의 중앙 출발점, 잎 소재의 밑받침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조선시대와 흡사하다. 표현기법별 사용 빈도를 보면, 줄기를 그대로 노출시킨 줄기 노출 기법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모든 기법에서 절화와 절지가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었다. 사용된 식물성 소재로는 꽃을 이용하는 절화와 선의 표현할 수 있는 절지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외에 깃털, 부채, 붓 등의 비식물성 소재도 장식에 이용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은 표현기법 측면에서 이미 조선시대에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높은 수준의 화훼장식품이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우리 화훼장식의 역사를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고 역사적 전통을 살려가면서 현대의 화훼장식을 발전시켜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침구류 디자인 선호도와 구매동기에 관한연구 -색과무늬를 중심으로- (A Study on Bedclothes Design Preferences and Purchase Motives)

  • 이명희
    • 복식
    • /
    • 제35권
    • /
    • pp.181-193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bedclothes purchase motives and to examine how bedclothes purchase mo-tives and design preferences very accord-ing to age and income. Samples were 217 housewive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Questionnaire included 17 Likert type items of bedclothes pur-chase motive measure 12 items of color preference 7 items of pattern (floral geo-metric abstract stripe plaid polka dot, and paisley patter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5 factors of bedclothes purchase mo-tives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 F .1 'design': F 2. "brand' ; F.3. 'deficiency'; F. 4. 'fabric' F.5. 'economical reason' 2. Subjects perceived design and utility area to be important motives for bed-clothes purchase. 3. Cholor preference of bedclothes was in the order of white pale blue pale green and pale orange. Pattern preference was in the order of stripe plaid solid color floral and polka dot pattern. The combi-nation of patterned fabric and solid color fabric was liked better than the combina-tion of analogic color and the combination of contrasting color. 4. The women in their 20's liked navy blue red stripe plaid pattern and solied color better than 30's and 40's . 40's liked abstract and paisley pattern better then 20's and 30's 5. Low income group lied navy blue and solid color fabric more than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 and liked ab-stract pattern less than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 6. Women in their 20's perceived design to be important motive more than 30's and 40's. 30's perceived brand to be im-portant motive than 20's and 40's 7. High income group perceived design to be important motive more than the middle and low income group. Low in-come group perceived brand and fabric to be less important motives than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that age and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dclothes purchase motives and design preferences of houesewives. The results that white color and the combination of patterned fabric and solid color fabric were liked best indicated that women prefered clean image and chacteristics de-sign of bdeclothes.

  • PDF

플라워디자인 산업 활성화를 위한 팟캐스트 콘텐츠의 가능성 연구 (Exploring the Potential of Podcasts in Flower Design Industry)

  • 양동복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4호
    • /
    • pp.75-10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팟캐스트를 플라워 디자인 산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해보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팟캐스트 플랫폼 차트 순위에 올라있는 외국의 플라워 팟캐스트 사례를 선정하고 콘텐츠의 장르, 내용, 구성요소, 진행방식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팟캐스트 운영 목적, 호스트와 수용자 사이의 소통유형, 수용자 상호작용, 산업 연관성, 미디어 확장전략 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 국내에서의 플라워 팟캐스트의 가능성이 무엇인지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외국의 플라워 팟캐스트를 분석한 결과, 운영자들은 팟캐스트를 통해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청취자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교육, 마케팅 등에 활용하고 있었으며 팟캐스터들은 콘텐츠 제작을 통해 전문성향상과 인적 네트워크 구축으로 산업계의 리더로 활동하거나 지속가능한 플라워산업과 같은 여론을 주도하였다. 팟캐스트 콘텐츠는 재가공되어 다양한 미디어에서 유통됨으로써 플라워 디자인 문화의 확산에 활용되었다. 외국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플라워 팟캐스트 콘텐츠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팟캐스트는 플라워 디자인 산업 관련 커뮤니티 형성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플라워 디자인 전문가들은 팟캐스트를 다양한 콘텐츠의 원천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업계 내의 청취자들은 플라워 비즈니스에 대한 실제적 지식을 얻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기있는 플라워 팟캐스트가 등장할 경우 플라워 디자인 문화를 크게 확산시켜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1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환경에서 플라워 팟캐스트는 여기에 대응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가치 유지를 위한 화예디자인 패키징의 소비자 요구에 관한 연구 -소비자와 공급자의 설문 조사 분석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 Needs of Sustainable Floristry Packaging : Focused on the Survey Analysis of Consumers & Suppliers)

  • 안혜경;김흥렬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25-44
    • /
    • 2019
  • 본 연구는 소매 샵에서 꽃다발 패키징의 필요성과 효용성에 대해 소비자와 공급자의 이견이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가치 유지를 위한 화예디자인 패키징의 소비자 요구를 설문형식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도입에서는 화예디자인의 이해와 지속 가능함에 대한 것을 고찰하였다. 설문은 일반적 구매 형태, 패키징 관련 문항 그리고 소비자와 구매자의 프로필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소비자 대상은 목동 대단지 아파트의 중류층 주민들과 목동 외 소수 소비자와 직장인들이었으며 공급자는 전국에서 현재 활동하는 플로리스트였다. 그들의 요구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패키징의 방향을 제시하여 비즈니스 모델로 제시하였다. 향후 조사 연구 결과는 패키징 디자인을 제작하고 보급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