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yles of Sanghwa, Table Flower, found from Paintings for the Joseon Dynasty Court Banquets

조선시대 행사도에서 찾아 본 상화(床花) 양식

  • Han, Sang Sook (University of Seoul, Korean Traditional Flower Culture Society) ;
  • Yi, Bu 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Professor Emeritus)
  • 한상숙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전통꽃문화연구회) ;
  • 이부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Received : 2021.08.10
  • Accepted : 2021.08.20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Sanghwa (Table flower) style, the flower decoration of food table, was found in the paintings of Joseon Dynasty's event and civilian life. On the court event paining, there was always Sanghwa decorating the food, and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Sanghwa and the ingredients us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participants. The Uigwe recorded the type and number of Sanghwa, and the number of decoration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event or the status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nd the Sanghwa was pre-loaded and transferred. In civilian life, Sanghwa was found to have been decorated not only on top of the food but also on top of the food table.

음식상의 꽃 장식인 상화(床花) 양식을 조선시대 행사도와 민간 생활에서 찾아보았다. 궁중 행사도에는 음식 위를 장식하는 상화가 꼭 있었으며, 참석자의 지위에 따라 상화의 종류나 사용하는 재료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궤(儀軌)에는 상화의 종류와 개수가 기록되어 있었고, 행사의 목적이나 대접받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서 장식하는 숫자가 다르고, 상화가 미리 꽂혀져 옮겨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민간생활에서도 상화가 있었으며, 음식 위의 장식뿐만 아니라 음식상 위에도 장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 「조선시대 行事圖 硏究: 公演場面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2.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3. 김상보, 「朝鮮通信使 및 日本使臣을 통해서 본 韓, 日간의 飮食文化의 비교와 대마도에서의 饗宴을 통해서 본 朝鮮王朝의 壽杯床, 果盤, 阿架床 考」,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호, 1999.
  4. 김태연, 「궁중상화 연구(4) 봉수당 진찬례에 사용된 궁중상화를 중심으로」, 한국 꽃꽂이 학술세미나, 강서문화원, 2012.
  5. 박영애, 「傳統 花藝와 生活 꽃꽂이」, 소망사, 1990.
  6. 박정혜, 「조선시대 기록화의 연구」, 일지사, 2000.
  7. 샤를바라 / 야이에 롱, 성귀수 역,「조선기행」, 눈빛, 2001,
  8. 서인화 등,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9. 안태욱, 「궁중 연향도의 탄생 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10. 이옥남, 「18세기 원행을묘정리의궤에 나타난 궁중연회 상차림 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주영하, 「연회와 음식, 그리고 식 공간 -조선시대 기록화 중의 잔치장면을 중심으로-」, 한국식공간학회지, 2006,
  12. 주영하, 「그림속의 음식, 음식속의 역사」, 사계절, 2004.
  13. 주영하, 「음식 인문학(음식으로 본 한국의 역사와 문화)」, Humanist, 2011.
  14. 주하영, 「朝鮮時代 宮中宴享圖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권2,」 민속원, 2005.
  16. 한복진, 「조선왕조궁중음식」, 화산문화, 2002.
  17. 한상숙, 이부영, 「조선시대 궁중 행사도의 꽃꽂이 양식」,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제31집, 2014.
  18. 한상숙, 「韓國 花藝 史料의 分析과 傳統 꽃꽂이 樣式의 確認」,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19. 한상숙, 이부영,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꽃꽂이 양식」,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제41집, 2019.
  20.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사, 1998.
  21. 황수로, 「한국 꽃 예술 문화사」, 삼성출판사, 1988.
  22. 황수로, 「아름다운 韓國綵華」, 노마드북스, 2009..
  23. 황혜성, 「황혜성의 궁중음식」, 사단법인 궁중음식 연구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