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ed paddy field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5초

겨울철 논의 담수처리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Tubificidae spp. by Flooding during Winter in Paddy Fields)

  • 한민수;김명현;강기경;나영은;김미란;최락중;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9-26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ncreasing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ecosystem and investigate availability of using Tubificidae spp.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rough the survey of growth of Tubificidae spp. in flooded paddy fields during winter. We estimated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in rice paddy where had been flooded during the previous winter in Ganghwa-gun, Suwon-si, and Hwaseong-si (Bongdam-eup and Paltan-myeon) between March and April from 2010 to 2012. During growing period of rice,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was compared between flooded and non-flooded paddy field in Ganghwa-gun. As results,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in winter flooded paddy field was 7,235.5 $ind./m^2$ in Ganghwa-gun, 14,347.5 $ind./m^2$ in Suwon-si, 59,989.9 $ind./m^2$ in Bongdam-eup, and 2,610.6 $ind./m^2$ in Paltan-myeon.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was the highest in flooded paddy fields of Bongdam-eup that was kept wet until rice harvest time and had shallow water. While mean density was the lowest in Paltan-myeon where had deep water and later flooded paddy field than others. In Ganghwa-gun, during growing period of rice,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in flooded paddy fields (171,109.0 $ind./m^2$) and flooded fallow paddy fields (321,084.2 $ind./m^2$) was much higher than non-flooded paddy fields (1,006.6 $ind./m^2$). Flooded paddy field during winter can help increase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which can control weeds and enhance biodiversity in paddy field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Early flooding and shallow water of paddy fields could be a good agriculture practice to encourage the growth of Tubificidae spp..

건답 및 담수논재배에서 파종기와 재식밀도에 따른 율무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Job's Tears (Coix lacryma-jobi L.) at Different Planting Density and Time under Dry and Flooded Paddy Field)

  • 김정태;곽용호;김용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58-562
    • /
    • 1996
  • 율무를 논과 밭 상태에서 파종기와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지상ㆍ지하부 생육 및 광합성량과 병충해 발생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논 상태에서 자란 을무가 밭 상태에서 자란을 무보다 상장은 짧았으나 분습수는 많았고 도복 및 병충서 피해가 적었을 뿐만 아니라 광합성 능력과 지하부 생육도 양호하여 천립중 및 종보수량이 증대되 었다. 2. 밭 상테에서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엽고통 피해가 현저하여 불억률이 높고 천립중이 감소되어 수량이 저하하였고 논 상태에서는 적파구(5월 15일 파종)에서 증수되 었다. 3. 전ㆍ답별 파종기에 따라서는 수량에 유의성 및 상호작용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재식밀도에 따라서는 생육 및 수량의 차리에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전남지방에 있어서의 수도백엽고병 발생실태조사 (Disease survey on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in Chun Nam province)

  • 이경휘;정하원;이응권;이시종;김영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33-38
    • /
    • 1965
  • 1) 본 보고는 1965년 10월초 수도백엽고병이 격발한 전라남도내 담양읍, 대전면을 위시하여 천변인 영산포, 해안지대인 수포등 현재에서 피해상황과 그 원인 등을 조사해석하여 방제의 자료로 하고자 한 것이다. (2) 이앙기의 한발과 7월의 호우 등으로 인한 일부답의 침수는 본병이 조기다발하기에 알맞는 기상조건이었다. (3) 담양지방에서는 7월초순 호우가 있은 후, 일부 침수답에서 7월중순에 초발을 보게 되었으며, 농민들이 새로운 큰 병해라고 인식이 높아졌다. (4) 이앙기가 빠른 답일수록 피해가 많았다. (5) 침수지구의 피해가 심하였다. (6) 품종간의 차이가 확연하였으며, 특히, 전남풍, 천본욱이 약하고 농림 6호는 강한 편이었다. (7) 평야부가 고지대보다 피해가 많았다. (8) 휴한답이 이모작답에 비하여 피해가 심하였다. (9) 습답, 반습답에 피해가 심한 편이며 건답이 적은 편이었다. (10) 물고부근의 피해가 내부보다 많은 편이다. (11) 점형발생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12) 발병하였을 때의 낙수가 병세를 조장시켰다는 농민이 다수였다.

  • PDF

Assessment of Methane (CH4) Emissions from Rice Paddy and Crop Residues Burning in 2011 with the IPCC Guideline Methodology

  • Choi, Eun Jung;Lee, Jong Sik;Jeong, Hyun Cheol;Kim, Gun Yeob;So, Kyu 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75-578
    • /
    • 2013
  • Rice cultivation in the paddy field and the burning of crop residue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important sources of methane emission in agricultural sector. This study aimed at assessment of the methane emission from croplands in the year of 2011 with the IPCC guideline methodology. Methane from rice cultivation was emitted 6,813 $CO_2$-eq Gg in 2011. According to the water management, methane emission amounts by continuously flooded and intermittently flooded were 1,499 and 5,314 $CO_2$-eq Gg, respectively. Methane emission by crop residues burning was highest in red pepper and followed by rice straw, pulses and barely in 2011. Methane emission by field burning was very little compared with rice cultivation.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약해유발농도(藥害誘發濃度)와 그 증상(症狀) (The Minimum Concentrations of Surfactants Inducing Phytotoxicity and Their Symptoms)

  • 유주현;구석진;조광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9-127
    • /
    • 1989
  • 1) 모든 처리에서 공히 가장 낮은 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한 계면활성제는 LE, NP, LN, SDSS, PAAS 및 DBC였으며, Tween, Span, SP, SC, STPP 및 CLIS 등은 고농도에서 약해유발이 가장 적었다. 2) 논담수상태에서는 음이온계면활성제가 비이온 계면활성제보다 낮은 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하였으나 그 밖의 처리에서는 거의 유사한 경향이었다. 3) 벼와 피는 약해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반응을 보였으며 각 초종간에 반응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4) 밭상태와 건답상태의 발아전 처리에서는 10%이상의 고농도 시료에서도 약해유발이 매우 적었으나 논담수상태의 발아전 처리에서는 모든 처리 중 가장 낮은 농도에서 약해가 유발되었다.

  • PDF

시계열 위성레이더 영상을 이용한 침수지 조사 (Analysis of Flood Inundated Area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ry)

  • 이규성;김양수;이선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27-435
    • /
    • 2000
  • 침수지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지도의 제작은 홍수재해 복구와 관리 및 예방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타 위성영상에 비하여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영상자료의 획득이 용이한 레이더 영상을 이용하여 침수지 조사와 홍수후의 농경지 복구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999년 여름 경기도 북부 지역에 발생한 홍수 사상을 사례지로 하여 C-band RADAR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였고, 침수 시점인 8월 4일 영상과 그 전후 영상을 포함하여 세 시기의 영상을 이용하였다. 영상의 기하보정 및 잡음 제거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세 시기의 영상에서 나타나는 여러 지표물들의 레이더반사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면, 논, 밭 산림 등의 다양한 지표물의 시기별 반사신호를 분석한 결과, 침수되었던 논에서 뚜렷한 반사신호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홍수 이후의 영상인 8월 14일 영상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침수되었던 논의 복구상태에 따른 차이를 구분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세 시기의 칼라합성영상에서도 쉽게 판독되었다.

  • PDF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토양 염농도별 적정 파종량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 백남현;최원영;고종철;박홍규;남정권;박광근;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47-51
    • /
    • 2006
  •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토양 염분농도별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2003{\sim}2004$년에 걸쳐 호남 농업 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인 문포통(세사양토)의 저영답(토양 염농도 0.1%)과 중염답(토양 염농도 0.3%)에서 서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별 입모수, 생육, 수량 및 백미 외관 품위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수는 중염답보다 저염답에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다. 2. 간장과 수장은 중염답이 저염답보다 파종량이 증가할 수록 짧았으며, 도복은 토양염농도에 상관없이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심했다. 3. 완전미 수량은 저염답에서는 파종량 5 kg/10a까지, 중염답에서는 파종량 7 kg/10a까지는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파종량에 서는 수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4. 백미의 외관상 품위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저염답보다 중염답에서 완전미율이 낮았다. 5. 따라서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입모, 벼 생육, 완전미 수량 및 백미의 외관상 품위 등을 고려할 때 적정 파종량은 저염답은 $5{\sim}7kg/10a$, 중염답은 $7{\sim}9kg/10a$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내 microcosm실험에 의한 시흥광산 및 덕음광산 주변 오염 논토양내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거동 연구 (Geochemical Behavior of Metals in the Contaminated Paddy Soils around Siheung and Deokeum Mines through Laboratory Microcosm Experiments)

  • 김정현;문희수;안주성;김재곤;송윤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6호
    • /
    • pp.553-565
    • /
    • 2002
  • 본 연구는 시흥 동연아연 및 나주 덕음 금은 폐광산 주변 오염 논토양을 대상으로 시기별 중금속의 수직적 분포 및 함량변화를 실내 microcosm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산화환원 환경 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지구화학적 거동 양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지역의 원 논토양은 광물학적 구성, 중금속 함량 및 pH와 같은 지구화학적 특성이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덕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중금속 함량에 비해 높은 교환성 형태의 비율로 중금속 용출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18주의 침수기간동안 microcosm토양 상하부는 산화환원 환경 차이를 유지하였으며 pH의 경우 시흥의 상하부 토양 및 덕음의 하부 토양에서는 중성-알칼리성을 유지하였으나 덕음 상부는 3.2-3.8의 강산성을 나타내었다. 용존 Fe, Mn은 상부에 비해 하부에서 높은 농도를 보여 환원성 용해현상에 의한 용출거동을 나타내었다. Pb 및 Zn는 산화환경인 상부에서 그 용출이 높게 나타나며 pH가 높은 시흥의 경우 상층수/토양 경계면에 철 및 망간이 풍부한 층이 형성되고 중금속의 이동을 억제하는 트랩역할을 하여 용출정도가 낮았다. 반면 pH가 낮은 덕읍에서는 원 토양의 상대적으로 낮은 중금속 함량에 비해 그 용출정도가 높았으며 침수 및 배수의 시기별 화학적 존재 형태의 변화도 나타났다. 강산성의 논토양에서는 침수기에 토양 상층부에서 벼작물의 중금속 흡수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배수후에는 교환성 형태의 증가로 역시 그 흡수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on Lodging-related Traits in Direct Seeded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 Ju, Young-Cheoul;Park, Jung-Soo;Han, Sang-Wook;Park, Kyeong-Yeol;Rho, Young-De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8-252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and midsummer drainage on lodging-related characters in direct seeding rice culture on flooded paddy surfaces. Treatme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continuous flooding, two time midsummer drainages (TTD), and inabenfide or trinexapac-ethyl application after TTD. Culm length was reduced most by 11.4cm in trinexapac-ethyl treatment after TTD, followed by 4.1cm in inabenfide treatment after TTD compared to TTD treatment. A significant reduction in culm length occurred at the 3rd internode in inabenfide treatment applied at 40 days before heading (DBH), while trinexapac-ethyl application at 8 DBH reduced the 3rd>2nd>1st internode. The culm diameter of the 4th internode was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trinexapac-ethyl following TTD compared to TTD treatment. Thickness of culm wal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inexapac-ethyl but not by inabenfide applications. Lodging index was the highest in continuous flooding and the lowest in trinexapac-ethyl treatment after TTD. Subsequently, field lodging did not occur in plots treated by trinexapac-ethyl. Rice plants subjected to midsummer drainage or growth retardants showed higher ripened grain ratio and 1000-grain weight, resulting in higher rice yiel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inexapac-ethyl, which can be applied at the relatively later growth stage after proper judgement of lodging occurrence, could be a useful tool for reducing lodging in direct seeding rice culture on flooded paddy fields.

  • PDF

벼 담수표면직파 재배시 중간낙수 회수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summer Drainage Times on Growth and Lodging of Rice Plant in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 백남현;김상수;박홍규;신현탁;조수연;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2-728
    • /
    • 1997
  •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물관리 방법이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4~1995년까지 3개년에 걸쳐 호남농업시험장 시험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중간낙수회수를 달리하여 생육 및 도복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상시담수보다 초장과 간장이 단축되었고 $m^2$당 최고 분벽수, 수수는 적어졌다. 2.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토양경도가 높았고, 뿌리량이 많았으며 뿌리의 심층분도 비율도 높은 경향이었다. 3.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중심고, 생체중, 모멘트는 낮아지고 좌절중은 무거워져 도복지수가 낮아졌으며, 포장도복도 경감되었다. 4.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등숙비율 및 1,000 입중이 증가되었고, 쌀수량은 상시담수에서 보다 8~9%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는 중간낙수를 2~3회 실시하는 것이 도복경감, 수량증대 및 미질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물관리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