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map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2초

GIS 기반의 홍수 피해 감소를 위한 하천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ivers Management system to Decrease flood Disaster using GIS)

  • 정인주;박상주;김상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40
    • /
    • 2003
  •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집중호우와 태풍의 피해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GIS를 응용하여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신속한 정보의 추출 및 객관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형과 HEC-RAS를 연계하여 자동으로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MapObject와 MFC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위험지구를 쉽게 조회할 수 있으며, 평면도, 종단도, 횡단도를 화면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어서 주위의 피해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어 재해를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upervised classification for greenhouse detection by using sharpened SWIR bands of Sentinel-2A satellite imagery

  • Lim, Heechang;Park, Hongly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35-441
    • /
    • 2020
  • Sentinel-2A satellite imagery provides VNIR (Visible Near InfraRed) and SWIR (ShortWave InfraRed) wavelength bands, and it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cloud detectio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Greenhouse is one of the middle classification classes for land cover map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greenhouse is a class that has a lot of changes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storm and flood damage, there is a limit to updating the greenhouse at a rapid cycle in the land cover map. In the present study, we utilized Sentinel-2A satellite images that provide both VNIR and SWIR bands for the detection of greenhouse. To utilize Sentinel-2A satellite images for the detection of greenhouse, we produced high-resolution SWIR bands applying to the fusion technique performed in two stages and carried out the detection of greenhouse using SVM (Support Vector Machine) 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 In order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SWIR bands to greenhouse detection, compar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detection results applying only VNIR bands. As a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the result of detection by additionally applying SWIR bands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e result of applying only VNIR bands.

남강댐유역 내 주요 하천관측지점의 홍수유출량 추정을 위한 단위도 모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Unit Hydrograph Models for Flood Runoff Estimation for the Streamflow Stations in Namgang-Dam Watershed)

  • 김성민;김성재;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65-74
    • /
    • 2012
  •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unit hydrograph methods (NRCS, Snyder and Clark) in the HEC-HMS were compared to find better fit with the observed data in the Namgang-Dam watershed. The Sancheong, Shinan, and Changchon in Namgang-Dam watershed were selected as the study watersheds. The input data for HEC-HMS were calculated land use, digital elevation map, stream, and watershed map provided by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Sixty six storms from 2004 to 2011 were selected for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Three unit hydrograph method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in terms of simulated runoff volume, and peak runoff for the selected stor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or the peak runoff was 0.8295~0.9999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as 0.029~0.086 mm/day for calibration stages. In the model validation, $R^2$ for the peak runoff was 0.9061~0.9916 and RMSE was 0.030~0.088 mm/day which were more accurate than calibrated data.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unit hydrograph methods.

GIS와 RUSLE 기법을 이용한 삽교호유역의 토사 유실량 산정 (Estimation of Soil Loss into Sap-Gyo Reservoir Watershed using GIS and RUSLE)

  • 김만식;정승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9-27
    • /
    • 2002
  • 하천에서 토사 유실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유량을 예측하는 것만큼 공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천에서 발생하는 토양 유실량은 하천구역내의 수리구조물(댐, 웨어, 방조제 등)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항만계획 등 수자원 및 수질의 계획이나 관리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사 유실량 산정에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RUSLE식을 이용하여 삽교호 유역의 토사 유실량을 모의, 산정하였다. RUSLE식의 매개변수 산정은 GIS 주제도인 경사도와 토지이용도, 토양도로부터 추출, 산정하였으며 이를 작성한 RUSLE 산정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또한 최근 30년치의 유역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빈도별 확률강우에 따른 토사 유실량을 산정하였다.

  • PDF

홍수재난 상황에서 GIS 기반의 고해상도 영상데이터의 압축 및 전송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Technology of GIS-based High Resolution Image Data in Flood Disaster Situation)

  • 이승현;이응준;정윤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038-1045
    • /
    • 2017
  • The increase in frequency and scale of natural disasters is the typical negative examples of th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change of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n particular including human and physical damage is directly linked to the safety and properties of citizens. Besides, damage occurs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SOC facility, and the damaged SOC facility violates the citizens' safety rights. Therefore, a plan to provide prompt and effective risk map information by linking a 3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which handles the information of the damage that may occur to SOC facilities at the time of disasters, with an on-site assistance application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prompt provision of risk map information is defined as a dynamic expression technology in this study. It also processes and compresses the system to display disaster information, a spreading system that can utilize on-site information, and a module developed to organically link with the DB system that builds information and relationships. Based on the module, the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compression plan will be prepared, and the promp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will be secured.

GIS를 이용한 분산형 강우-유형 모형의 개발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GIS)

  • 김경숙;박종현;윤기준;이상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법을 수자원모델링 분야에 적용 시키고자 하였다. 강우에 따른 정확한 유출량의 예측은 수자원의 개발이나 관리분야에 있어서 매 우 주요하므로 지금까지 다양한 강우-유출 모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 중 지형적인 특성인자 를 최대한 고려한 분산형 모형은 기존의 모형인 집중형 모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용이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대유역에 적용할 경우에는 방대한 량의 공간자료를 처리하여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지형에 맞는 분성형 강우-유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GIS 기법을 활용하 여 입력 자료를 생성, 입력 조작하고 이들을 병합시켜 사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수 있도 록 통합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에는 실시간(on-line) 운영과 off-line 보정기능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로 데이타베이스, 모형, GIS 그리고 그 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병합시켜 신속한 최종결과는 도출시키는 on-line 운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소양강 댐 유역의 1990년 9월 홍수를 대상으로 하여 댐 지점 의 유입 수문 곡선을 모의한 결과 사후 모형 보정단계를 거치지 않았음데도 불구하고 관측된 자 료와 비교적 잘 일치하여 실무에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상세지형스케일에 따른 도시유출모형의 관거월류 모의성능평가 (Sewer overflow simulation evaluation of urban runoff model according to detailed terrain scale)

  • 탁용훈;김영도;강부식;박문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519-528
    • /
    • 2016
  • 최근 도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지역의 침수발생 위험도가 커지고 있다. 도시지역은 도로, 주택가, 지하시설 등 다양한 지형지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세한 지형을 고려하지 못한 침수해석은 침수예상범위와 침수심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인구와 자산이 밀집한 도심지에 대한 침수해석의 오류는 침수대책의 수립 및 재난대응에 큰 문제를 야기하여 인명과 재산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도시지역 침수해석은 크게 관망흐름에 대한 해석과 지표면 범람해석 과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해석과정상 정확도가 침수해석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침수해석 과정 중 지표면 표고자료의 정확도가 침수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위해 10m급 DEM, LiDAR 자료, 1:1,000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표고자료별 정량적인 침수예측결과를 검토하였다. 검토대상지역은 도림천 유역내 대림, 신림3, 신림4 배수분구로, 2010년 호우에 따른 침수모의를 XP-SWMM 모형으로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10m DEM의 경우 표고자료의 오차로 인해 1m 이상 침수심이 발생되는 고위험지역에 대한 표현이 적절히 이뤄지지 못했으며, 특히 일부 월류가 발생하는 맨홀에 대해서는 지표면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범람해석시 지형자료의 정확도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10m DEM을 이용하는 경우는 신중을 기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드론을 이용한 홍수기 유량측정방법 개발(I) - 항공사진측량 기법 적용 (Development of flow measurement method using drones in flood season (I) - aerial photogrammetry technique)

  • 이태희;임혁진;윤성학;강종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049-1057
    • /
    • 2020
  • 본 연구는 드론을 이용하여 홍수기 하천에서의 유량측정방법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홍수기 유량측정은 예산, 인력, 안전 및 하천공사 등의 문제로 매년 모든 지점에서 유량 측정을 실시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태풍 등 큰 호우사상 발생 시 수위-유량관계 변화 검토가 필요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소 인력이 단시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항공사진측량 개념으로 접근하여 의정부시(신곡교) 지점과 영동군(영동제2교) 지점 하도 주변에 확인 가능한 위치에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s) 4개점을 선점하고 VRS DGPS 장비를 이용하여 좌표측량을 수행하였다. 드론을 일정높이의 정지상태(Hovering)에서 하도 내 수 표면을 카메라의 인터벌 기능으로 3초 간격 정사영상을 촬영하였다. 정사 촬영된 항공사진의 좌표계를 평면지각좌표계인 GRS80 TM좌표계로 정의한 후 GCP 좌표를 활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정사보정을 실시하였다. 수표면에 유하하는 부유물의 3초 간격 위치를 X, Y좌표 분석을 통해 이동거리를 평균유속으로 산정하고 유하경로에 따른 통수단면적을 적용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따라서 항공사진측량 기법을 적용하여 홍수기에 드론을 이용한 유량측정방법에 대한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Identification of Total Extracellular Fibrinase from Bacillus sp. DJ Using One-or Two-Dimensional Fibrin Zymography for Proteomic Approach

  • CHOI, NACK-SHICK;JIN-YOUNG LEE;KAB-SEOG YOON;KYOUNG-YOEN HAN;SEUNG-HO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1111-1114
    • /
    • 2001
  • An extracellular fibrinolytic-enzyme-produc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Doen-Jang,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lood, and identified as Bacillus sp. DJ based on its morphology and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The total extracellular fibrinase (EF) from Bacillus sp. DJ was analyzed using three fibrin zymographic techniques, SDS-fibrin zymography (SDS-FZ), isoelectrofocucing-fibrin zymographs(IEF-FZ), and a two-dimensional SDS-fibrin zymographic analysis (2D SDS-FZ). As a result, the EP map of Bacillus sp. DJ was establish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2D SDS-FZ method will be a useful tool for the proteomic approach for many other bacterial pretenses.

  • PDF

GIS를 이용한 CN 산정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the Curve Number Estim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채종훈;정인주;김상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62-1266
    • /
    • 2004
  • The current combining of computer and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The result of such research oil determinate objective factors of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through joining hydrology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his study, we wish to offer the base data to determinate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request of runoff model analysis in this basin. First, we computed the CN(curve number) by using GIS, and then classify the digital map of soil group and landuse on the Sulma river basin. Second, we used Avenue Script to calculate the height of efficient GIS work before using the Clark model to work out flood runoff fl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