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Storag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수리·수문설계시스템 및 비율보정계수 기법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기 운영기준 평가 (Evalu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Operation Guideline Using K-HAS and Ratio Correction Factor during Flood Season)

  • 정형모;이상현;김경환;곽영철;최은혁;윤성은;나라;주동혁;유승환;윤광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4호
    • /
    • pp.97-104
    • /
    • 2021
  • Despite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nflow and supp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the role of agricultural reservoirs is gradually being emphasized. In particular, as interest in disaster safety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preliminary measures to prepare for disasters has been rising, for instance, pre-discharging agricultural reservoirs for flood contro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s for the flood season 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pre-discharge period and water level limit. Accordingly, we optimized the simulation of daily storage using the ratio correction factor (RCFs) and analyzed the amount of inflow and supply using K-HAS. In addition we developed the drought determination coefficient (k) as a indicator of water availability and applied it for supplementing the risk level criteria in the Drought Crisis Response Manual. The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set the water level limit during the flood period in the situation of little water supply for flood control in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reservoir management regulations after measures such as securing additional storage water are established in the future.

OPTIMUM STORAGE REALLOCATION AND GATE OPERATION IN MULTIPURPOSE RESERVOIRS

  • Hamid Moradkhani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57-62
    • /
    • 2002
  •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integrate long-term operation rules and real time operation policy for conservation & flood control in a reservoir. The familiar Yield model has been modified and used to provide long-term rule curves. The model employs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under given physical conditions, i.e., total capacity, dead storage, spillways, outlet capacity and their respective elevations to find required and desired minimum storage fur different demands. To investigate the system behavior resulting from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policy, i.e., the rule curves, the simulation model was used. Results of the simulation model show that the results of the optimization model are indeed valid. After confirmation of the above mentioned rule curves by the simulation models, gate operation procedure was merged with the long term operation rules to determine the optimum reservoir operating policy. In the gate operation procedure, operating policy in downstream flood plain, i.e., determination of damaging and non-damaging discharges in flood plain, peak floods, which could be routed by reservoir, are determined. Also outflow hydrograph and variations of water surface levels for two known hydrographs are determined. To examine efficiency of the above-mentioned models and their ability in determining the optimum operation policy, Esteghlal reservoir in Iran was analyzed as a case study. A numerical model fur the solution of two-dimensional dam break problems using fractional step method is developed on unstructured grid. The model is based on second-order Weighted Averaged Flux(WAF) scheme with HLLC approximate Riemann solver. To control the nonphysical oscillations associated with second-order accuracy, TVD scheme with SUPERBEE limiter is used. The developed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computational solutions with analytic solutions in idealized test cases. Very good agreements have been achieved in the verifications.

  • PDF

화순 홍수조절지의 유입유출 구조물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ow and Outflow Structures of Hwasun Flood Control Reservoir)

  • 이상화;진광호;류종현;김수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7호
    • /
    • pp.675-684
    • /
    • 2012
  • 최근 기상변화에 의한 집중호우는 하천의 통수능력을 초과하는 홍수를 발생시키고 있다. 하천의 폭이 제한된 상태에서 이러한 초과 홍수에 대비할 수 있는 관리방법은 제방증고, 저류지 및 방수로 건설, 하상 준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천변저류지인 화순홍수조절지는 저류지와 수위조절을 위한 제수문이 설계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저류지 운영시간동안 일정 홍수량만을 배제해야 할 상황에 대해 설계의 적정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저류지 유입부의 횡월류위어 월류량은 설계상의 월류량을 초과하였고, 제수문 1.1m 개방시 설계유량($326m^3/s$)을 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유량 방류시 제수문 직하류에 7.19m/s의 고유속은 baffle block을 설치할 경우 3.3m/s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 보정과 홍수예측 (1) 보정 방법론과 모의 홍수수문곡선의 평가 (Parameter Calibration of Storage Function Model and Flood Forecasting (1) Calibration Methods and Evaluation of Simulated Flood Hydrograph)

  • 송재현;김형수;홍일표;김상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27-38
    • /
    • 2006
  • 현재 국내의 홍수예보시스템의 예측 모형으로 저류함수모형을 사용하고 있다. 저류함수모형은 계산절차가 간편하고 홍수유출의 비선형성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선형모형보다 합리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저류함수모형을 실제 홍수사상에 적용하는데 있어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을 모형 운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아래 시행착오에 의한 수동보정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홍수통제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저류함수 모형의 대표(평균) 매개변수와 시행착오법(Trial & Error Method) 그리고 최적화기법(Optimization Technique)에 의해 보정된 매개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모의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목적함수별, 보정방법별로 평가지표들을 산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적화기법의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이 목적함수에 따른 변동성이 가장 적었으며, 목적함수로는 SSR(Sum of Squared of Residual)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홍수시 충주댐 운영방안의 비교검토 (A Comparative Study of Reservoir Operations for Flood Control of the Chungju Dam)

  • 이길성;정동국
    • 물과 미래
    • /
    • 제18권3호
    • /
    • pp.225-233
    • /
    • 1985
  • 홍수시 한강수계 댐군의 Simmulation에 의한 연계 운영방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충주댐 단일 운영 방안들을 비교 검토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 및 하도 특성을 고려하여 수립된 제약조건과 빈도별 유입량 자료를 사용하여 Spillway rule curve에 의한 방안과 rigid ROM, 그리고 Linear Decision Rule에 의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Simulation에 의하여 각 운영방안의 설계홍수에 대한 저류 및 방류특성을 비교하고, 여러 가지 빈도에 대한 조절율 및 이용율을 산출하였으며, 조절상수의 설계빈도에 따른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검토 결과, 홍수크기에 따른 최적방안을 제안하고, 유입량의 예측에 따른 조절상수의 산정에 의하여 rigid ROM과 Linear Decision Rule에 의한 방안 적용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 PDF

Cheat강 유역 홍수분석 및 조절을 위한 Snyder의 단위유량도법 적용 (Applications of Snyder's Unit Hydrograph to the Cheat River Basin for Flood Control Analysis)

  • 전무갑
    • 물과 미래
    • /
    • 제28권4호
    • /
    • pp.171-18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미국 West Virginia주 동북부에 위치한 Cheat강 유역 일원에 1985년 11월에 발생한 대홍수를 Snyder의 단위유량도법을 적용, 재현시켰다. 전체유역을 수문 및 지형특성에 따라 각 소유역으로 나누어 각 소유역에 대해 지표면유출을 계산하였다. 유역 하천에 대해서는 Modified Pulse Option에 있어서 평균수심저류 및 유출법으로 하도추적을 실시하였다. 또한 Cheat River 유역전체에 대한 홍수조절 계획이 본 연구에서 수립되었으며 Option III 에 명시된 3개 중규모 다목적댐 건설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홍수분석 및 계획수립에는 HEC-1 전산모형이 이용되었다.

  • PDF

한강수계에서의 댐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추적 (Flood Routing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s of Dams in Han River)

  • 한건연;최규현;김원;김동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9호
    • /
    • pp.747-76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1차원 동역학적 홍수추적모형인 DAMBRK 모형을 이용하여 상류댐 및 중간댐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추적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간댐에서의 홍수추적기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가상의 저수지에 대한 dynamic routing과 storage routing에서의 유출량을 검토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1990년 9월 및 1995년 8월 홍수사상에 대한 홍수추적을 실시하여 실측값과 비교${\cdot}$검토하였다. 한강수계에 극한홍수사상과 각 하천의 설계홍수량을 적용하여 중간댐들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추적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향후 한강유역에서의 홍수예경보와 효율적인 홍수조절을 통한 홍수정보시스템 확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뉴스초점: 집중호우와 도시지역 홍수방어 (Heavy Rain and Flood Prevention in Urban)

  • 정선길
    • 기술사
    • /
    • 제43권6호
    • /
    • pp.31-34
    • /
    • 2010
  • Recently, due to localized heavy rain and flash floods in urban areas is becoming more frequent flood damage. To prevent flood inundation damage, to formulate the diverse dire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drainage system of buildings, roads, sewerage, pump stations, detention (retention) pond, and streams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the uniform design criteria, the consistent of hydrologic and hydraulic analysis method, and a flood disaster mitigation systems connected with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To accomplish this, the method such as installation of storage facilities, infiltration facilities, and underground water tank, the optimal size of the design gutter and grate of the road, ensure the capacity of pumping stations, and the installation of a flood control channel into the deep underground requires comprehensive measures dimension in urban areas.

  • PDF

홍수예보를 위한 통합저류함수모형의 퍼지제어 (II) - 이론의 모형의 수립 - (Integrated Storage Function Model with Fuzzy Control for Flood Forecasting (II) - Theory and Proposal of Model -)

  • 이정규;김한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701-709
    • /
    • 2000
  • 통합저류함수모형을 IHP 대표유역인 위천과 보청천유역 그리고 대유역인 남한강유역과 낙동강유역의 강우-유출사상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제안된 모형에 의한 예측 결과와 관측치를 비교해 볼 때 전체적인 수문곡선의 재현성 및 첨두홍수량의 예측에 있어서 상당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첨두홍수 발생시간에서는 퍼지제어의 효과로 인해 다소 오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류단 유입량이 잔유역 유입량에 비하여 상당히 큰 경우에는 충분한 예보선행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나타났다.

  • PDF

탁수조절을 위한 소양호 선택취수설비 설치 효과 분석 (Effect of Installing a Selective Withdrawal Structure for the Control of Turbid Water in Soyang Reservoir)

  • 정세웅;박형석;윤성완;류인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43-753
    • /
    • 2011
  • One of the most important water management issues of Soyang Reservoir, located in North Han River in Korea, is a long term discharge of turbid water to downstream during flood season. Installation of a selective withdrawal structure (SWS) is planned by the reservoir management institute as a control measure of outflow water quality and associated negative impacts on downstream water use and ecosystem.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SWS on the control of outflow turbidity under two different hydrological years; one for normal flood year and another for extreme flood year. A two-dimensional (2D), laterally 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was set up and calibrated for the reservoir and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W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WS can be an effective method when the ${\Theta}$ value, the ratio between the amount of turbid water that containing suspended sediment (SS) greater than 25 mg/L and the total storage of the reservoir, is 0.59 during the normal flood year.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SWS could be marginal or negative in the extreme flood year when ${\Theta}$ was 0.83. The results imply that the SWS i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 control of turbid water for moderate flood events, but not a sufficient measure for large flood events that are expected to happen more often in the future because of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