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c stabil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교반 속도가 음이온성 PAM과 양이온성 전분으로 도포된 경질탄산칼슘의 응집과 종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ing Shear on Flocculation of Anionic PAM and Cationic Starch Adsorbed PCC and Its Effect on Paper Properties)

  • 최도침;원종명;조병욱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2호
    • /
    • pp.53-60
    • /
    • 2015
  • The effects of stirring speed during filler modification by dual polymers on flocculation and reflocculation of PCC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particles and its effect on handsheet properties were elucidated. PCC surface was modified by adsorbing A-PAM (anionic polyacrylamide) and C-starch (cationic starch) in series at various stirring speeds.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stirring speed during filler modification decreased the initial floc size of PCC. Continuous stirring with the same speed for filler modification resulted in the decrease of a floc size, eventually reached a steady state. The variations in a floc size was influenced by the stirring speed during filler modification: the lower the stirring speed during filler modification, the larger the floc size variations. Conclusively, the stability of PCC floc c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stirring speed. In addition, the stirring speed influenced the handsheet properties. The smaller the PCC floc, the lower the strength of handseet. However, too much larger floc size also deteriorated paper strength. There exists an optimum floc size in term of paper strength which shall be controlled by stirring speed during filler modification.

Flocculation kinetics and hydrodynamic interactions in natural and engineered flow systems: A review

  • Oyegbile, Benjamin;Ay, Peter;Narra, Satyanarayana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4
    • /
    • 2016
  • Flocculation is a widely used phase separation technique in industrial unit processes and is typically observed in many natural flow systems. Advances in colloidal chemistry over the past decades has vastly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on. However, in many practical applications, process engineering still lags developments in colloidal science thereby creating a gap in knowledge. While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environmental process engineering research over the past decades, there is still a need to align these two inter-dependent fields of research more closely.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flocculation mechanism from empi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 discuss its practical applications, and examines the need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유입량 변화에 따른 도심지 내 우수저류조 관망시스템의 안정성 검토 (Hydraulic Stability Examination of Rainwater Reservoir Pipe Network System on Various Inflow Conditions)

  • 유형주;김동현;맹승진;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13
    • /
    • 201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강도 및 빈도의 증가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우수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물 설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빗물을 직접 유출하지 않고 저류 시키는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기법을 적용한 시설물 설계 및 수치모형을 이용한 유출저감효과 검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유출저감효과에 대한 검토만 수행된 반면, 시설물에 유입되는 유량에 의한 흐름특성 변화 검토 및 안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ID 기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하여, 회전교차로 내의 우수저류조의 관망시스템의 안정성 검토를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우수저류조의 최적의 설계방안 도출을 위하여 우수저류조의 수를 증가하여 용량증가에 따른 유속과 동압의 변화를 검토하고 설계기준과 비교하였다. 우수저류조의 제원 및 유입유량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값을 적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 유속은 저류조 설치개소 수가 증가할수록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부분 설계기준 범위 안에 유속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추가 저류조가 3개 이상일 경우는 추가저류조관에서 유속이 3.44 m/s가 발생하여 설계유속의 허용범위를 초과하였고, 유속의 증가율도 일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류강도 및 바닥전단력 비교의 경우, 저류조 설치 개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전단력이 한계소류력보다 크게 나타나 유입토사의 침전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난류강도의 크기가 작아져 플록(Floc)형성으로 인한 토사 침전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최종적으로 유속을 이용한 동압 산정 결과를 우수관 설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력관의 허용내압과 비교하였을 경우, 동압이 허용내압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우수저류조 제원으로 설계할 경우 추가 저류조를 2개까지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류조를 계속하여 설치하게 되면 배수가 원활해져 관내 유속이 빨라지고, 유속증가로 인하여 관의 마모손상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저류조의 제원 및 우수의 유입량을 가정하였고, 단순히 저류조를 추가하여 저류조 설계방안을 도출한 한계점이 있어 향후에는 다양한 저류조 형태 및 우수유입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검토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설계방안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