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ating Base Pla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197초

팽이기초의 형상에 따른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Floating Base Plate due to Plate Shape)

  • 이송;정대열;정효권;이무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5-25
    • /
    • 2008
  • 압축성이 크고 지지력이 작은 연약지반에 구조물 축조 시 침하저감 및 지지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공법이 필요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팽이기초가 개발되어 사용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구형팽이기초에 형상의 변화를 준 다양한 팽이기초에 대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하중-침하 특성을 파악한 후 침하량 저감 효과가 입증된 부양팽이기초에 대하여 평판재하시험 및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양팽이기초는 연약지반의 침하 저감 및 지지력 향상에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형 팽이기초의 하중전달 메커니즘에 따른 거동 (Behavior of Floating Base Plate by Stress Delivery Mechanism)

  • 정진혁;정효권;이송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37-144
    • /
    • 2010
  • 팽이기초에 대한 일본과 국내에서 현재까지 공통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은 팽이기초의 현장재하실험에 대한 지지력과 침하량에 주목되어 있다. 그러나 팽이기초에서 선행되어야할 연구는 공법 자체가 상재하중을 하부에 어떠한 원리로 전달되는 지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개발된 Top-Base Foundation과 국내에서 개발된 부양형 팽이기초의 응력전달 메커니즘을 수치해석 및 실내모형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팽이기초의 하중전달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상재하중에 대한 팽이기초 자체의 하중저감 분담률은 주로 팽이기초와 쇄석사이에서 발생하는 주면마찰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팽이기초의 내부응력분산효과를 포함한 Top-Base Foundation의 총 응력분산각은 $41.8^{\circ}$이며, 부양형 팽이기초의 총 응력분산각은 $44.5^{\circ}$로 산정되었다.

Vibration mode decomposition response analysis of large floating roof tank isolation considering swing effect

  • Sun, Jiangang;Cui, Lifu;Li, Xiang;Wang, Zhen;Liu, Weibing;Lv, Yua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5권4호
    • /
    • pp.411-417
    • /
    • 2018
  • To solve the seismic response problem of a vertical floating roof tank with base isolation, the floating roof is assumed to experience homogeneous rigid circular plate vibration, where the wave height of the vibration is linearly distributed along the radius, starting from the theory of fluid velocity potential; the potential function of the liquid movement and the corresponding theoretical expression of the base shear, overturning the moment, are th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equivalent principle of the shear and moment, a simplified mechanical model of a base isolation tank with a swinging effect is established, along with a motion equation of a vertical storage tank isolation system that considers the swinging effect based on the energy principle. At the same time, taking a 150,000 m 3 large-scale storage tank as an example, a numerical analysis of the dampening effect was conducted using a vibration mode decomposition response spectrum method, an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a simplified mechanical model with no swinging effect was applied.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판 이동의 주된 원동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ominant Driving Force of Plate Movement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 전태환;서기원;이규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2-77
    • /
    • 2016
  • 초기의 판 구조론에서 지각 판은 연약권 위에 떠서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졌고, 자연히 해령에서 발산되는 힘이나 암석권 하부의 맨틀 견인력(drag force)이 판을 움직이는 주된 원동력으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최근 여러 연구들은 판의 이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맨틀의 대류보다는 섭입대에서 침강하는 판이 만드는 섭입판 인력(slab pull)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학계는 무거운 해양판과 주변 연약권의 밀도 차이가 섭입판 인력의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해양판의 높은 밀도는 중력에 의해 판이 해구에서 맨틀 속으로 가라앉는 원인이 되며, 이것이 판이 움직이는 가장 큰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최근 수십 년 간의 서술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차 교육과정 이래로 지금까지 거의 대부분의 고등학교 교과서가 맨틀 대류를 판 이동의 주 원동력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교 교재가 개정판을 통해 새로운 학설을 꾸준히 제시해온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더욱 정확한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새로운 판 구조론 내용이 해당 교과서 관련 단원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