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ttening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3초

비대칭 구조의 커플러를 이용한 EDFA 이득평탄필터 설계 (The design of the EDEA gain flattening filter using an asymmetrical directional coupler)

  • 조준용;이경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73-376
    • /
    • 2002
  • 비대칭 구조의 커플러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EDFA 이득평탄용 필터로서의 응용과 그에 대한 설계를 하였다. 이득평탄필터를 구현하기 위한 비대칭 커플러의 광섬유 파라미터를 제시하였고 커플러의 광 결합 길이와 코어간의 거리에 따른 이득평탄필터의 투과 스펙트럼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약 30nm의 대역폭에 걸쳐서 EDFA의 이득 스펙트럼을 $\pm$0.75 ㏈이하로 평탄화할 수 있는 이득평탄필터를 설계하였다.

중요영역을 고려한 다양한 레벨의 Image Region Flattening (Salience based level of detail representation in image region flattening)

  • 남장우;강행봉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3-474
    • /
    • 2011
  • Image quantization 기술은 영역 평탄화 기술중 하나로서 NPR과 같은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기존의 image quantization은 중요부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detail한 칼라 정보를 가지는 주요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좋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Sailency map을 이용해 영상의 주요 영역을 고려한 image Flattening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검출된 주요 영역을 좀 더 세분화해서 표현하므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새로운 비대칭 구조를 갖는 터보부호의 Flattening Effect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battening Effect of the new Asymmetric Turbo Codes)

  • 정대호;정성태;김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6A호
    • /
    • pp.533-539
    • /
    • 2002
  • 터보부호는 반복복호 수와 인터리버 크기가 증가할수록 AWGN 채널환경에서 BER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반복복호 수와 인터리버 크기가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복호 과정에서 복호지연과 계산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임의의 SM에서는 더 이상 BER 성능의 향상이 없는 flattening effect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류정정 능력의 한계에 도달하는 큰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보부호의 flattening effect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두 구성부호기의 구속장 뿐만아니라 생성다항식 자체도 서로 다르게 구성한 새로운 비대칭 구조를 갖는 터보부호를 제안한다. 제안된 비대칭 터보부호는 각각의 구성부호기의 생성다항식을 원시다항식과 소수다항식을 혼합한 형태로 구성하였고 구속장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다양한 구조와 다양한 유효자유거리(effective free distance)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제안된 비대칭 터보부호는 부호율이 1/3일 때 log-MAP 복호방법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프레임(128. 256)과 큰 프레임(512, 1024)으로 인터리버 크기를 조절하면서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기존의 터보부호에 비해서 $10^{-4}$의 BER 영역에서 작은 프레임의 경우에 1.7dB~2.5dB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큰 프레임의 경우에 2.0dB~2.5dB 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고 flattening effect 현상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lattening Filter Free Beam의 정도관리를 위한 곡면선량계 가능성 연구 (A study of Curved Dosimeter for Flattening Filter Free Beam Quality Assurance Evaluation using Curved Dosimeter in Radiotherapy)

  • 한무재;신요한;정재훈;허승욱;김교태;허예지;조흥래;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4
    • /
    • 2019
  • 최근 도입된 FFF 빔을 활용하는 방사선치료는 flattening filter에서 비롯되는 빔의 감쇠를 막을 수 있어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불균일한 단면적 선량분포에 대하여 정확한 정도관리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도전체 물질 $HgI_2$ 기반의 곡면 선량계를 제작하였으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6 MV 광자에너지에서 재현성 및 선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곡면 계측의 유용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아크릴 필터를 적용한 FFF beam에서 평면 기판과 곡면 기판 상에서 계측되는 신호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Unit cell 선량계의 재현성은 SE 0.613%, 선형성은 R-sq 0.9999로 나타났으며, line array 곡면 선량계의 유용성 평가는 평면 기판에서 23.337%, 곡면 기판에서 12.264%로 11.073%p 감소된 신호 차이를 보였다.

THE NEW GAIN FLATTENING FILTERS USING PERIODIC TEPERED FIBER

  • 최영복;조승현;오민철;김상인;정기태;한권훈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2-43
    • /
    • 2003
  • We propose the new gain-flattened filter utilizing tapered silica-based fiber for high capacity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The gain excursion of Gain flattening filters is less than 0.5 dB over the 40 nm($1525nm{\sim}1565nm$).

  • PDF

신발 곡면의 3차원 격자 데이터의 평면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ttening of 3D Mesh data of Shoes)

  • 김영봉;이윤정
    •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64-70
    • /
    • 2006
  • 캐드(CAD) 시스템은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산업 제품을 제작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캐드 기술은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3차원 캐드 시스템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특히 신발 제조와 같은 특수한 영역의 CAD 시스템들도 3차원 캐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신발 설계를 위한 3차원 캐드 시스템은 가죽이나 천 같은 2차원의 부품들을 붙여서 3차원의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의 특성상 2차원 데이터와 3차원 데이터 간의 호환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실제 작업 현장에서 일하는 많은 신발 캐드 디자이너들은 2차원 CAD환경에 더 익숙하며 작업 효율도 높다. 그러므로 3차원 신발 모델링과 2차원 모델링 사이의 변환은 3차원 캐드시스템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발과 같은 3차원 모델의 격자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평면화(flattening) 방법을 제안한다.

  • PDF

2차로도로 평면선형 구간의 기하구조 개선대책별 효과평가 (An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Geometric Improvement on Horizontal Curves in Two-Lane Highway)

  • 심관보;최재성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3-46
    • /
    • 2008
  • 국도와 지방도의 2차로도로에서 정면충돌사고, 교행시 측면접촉 고정물체 충돌 사고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로도로의 횡단면과 평면선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내 2차로도로의 교통소통과 안전성을 개선하는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면곡선 구간에 대한 안전성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선형개량, 확폭, 편경사의 효과를 평가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이를 검증하고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차로도로 평면선형구간의 안전성 평가지표로 "직선부 평균주행속도-곡선부 평균주행속도 차이(${\geq}10km/h$)"를 선정하였으며, 선형이 취약한 구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선형개량이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그 후에 편경사 개선과 확폭이 병행되어야 운영적 측면과 안전성 측면에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는 선형개량이 막연히 시설 및 간단한 개선보다 얼마나 좋은지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QMF에 의한 음성스펙트럼의 평탄화 알고리즘 (The Flattening Algorithm of Speech Spectrum by Quadrature Mirror Filter)

  • 민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07-912
    • /
    • 2006
  • 음성신호의 프리-엠퍼시스 과정은 고주파 영역의 약화된 성분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프리-엠퍼시스 필터의 일반적인 형태는 y(n)=s(n)-A${\cdot}$s(n-1)이고, A 값은 유성음의 경우$0.9{\sim}1.0$ 사이의 값이다. 그리고, A 값은 프리-엠퍼시스의 기울기 값을 반영하고 기존의 방법에서는 R(1)/R(0)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문특성으로 인해 고주파 특성이 약화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새로운 평탄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신호 왜곡의 최소화를 위하여 QMF를 사용하였다. QMF를 사용한 후, 각 프레임별 자기상관계수를 사용하여 평탄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자기상관 방법보다 약화된 고주파 성분을 효과적으로 보상하는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평탄화 알고리즘은 음성 인식, 음성 분석 및 합성 등과 같은 음성 신호 처리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 PDF

Harmonic 분산값 최소화 알고리즘에 의한 주파수 영역 평탄화 기법 (The Technique of Spectrum Flattening by Algorithm for Minimized Harmonics Variance Value)

  • 민소연;김영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58-3562
    • /
    • 2010
  • 음성신호처리 분야에 있어서 정확한 기본주파수(피치)를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포만트의 영향과 천이 진폭의 영향으로 인하여 음성신호로부터 정확한 피치를 검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의 천이나 변동의 영향이 적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하모닉스 분산값 최소화 알고리즘을 통해 스펙트럼을 평탄화 하여 피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인 LPC법, 켑스트럼법과 비교하여 평탄화 특성이 어느 정도의 우수성을 보이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법을 적용하여 기본주파수를 검출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