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sk-shaking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3초

은(Ag) 광증착에 의한 폴리우레탄/$TiO_2$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필름의 항균특성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U/$TiO_2$ Hybrid membrane Films after Photodepositing of Silver)

  • 조성민;민병길;지광환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50-50
    • /
    • 2012
  • 투습방수필름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PU)에 광촉매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나노-$TiO_2$(Degussa P25)를 1~10wt% 복합시킨 후, 은(Ag)이온 수용액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증착시키는 과정을 거쳐 은이 도핑된 PU/$TiO_2$/Ag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필름을 제조하였다. (주)비에스지에서 제공받은 PU/DMF/MEK 용액에 $TiO_2$를 초음파로 균일하게 분산배합한 후, 필름캐스팅하여 만든 필름을 AgNO3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254nm의 자외선을 30~120초 동안 조사하는 광증착법으로 은을 환원시켜 도핑시켰다. 은 도핑된 하이브리드 필름을 Shaking flask method에서 폐렴간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고, Clear zone method에서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TiO_2$ 함량이 3wt% 이상이고 UV조사시간이 60초 이상인 경우 99.9% 이상의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소목 추출물의 항균력 및 살균소독력 (Antimicrobial Activity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 이진영;민경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3-140
    • /
    • 2011
  • Antimicrobial activity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L. extracts were investigated against five food-borne pathogens,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 B. cereus and L. monocytogenes. Methanol extract of Caesalpinia sappan L. reveal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five pathogens. In particular, by paper disc diffusion the highest activity was shown against L. monocytogene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most potent activities, but hexane fraction had no activity. Fractions of ethyl acetate and butanol turned out to have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bacteria than Gram(-) bacteri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gainst five food-borne pathogens was 1.563 mg/ml on Gram(+) bacteria and 3.125 mg/ml on Gram(-) bacteria. The result of antimicrobial activity in a shaking flask method showed that bacterial growth rate fell by more than 99.999% at 3.125 mg/ml of methanol extract. The highest rate of viable reduction (99.998%) was shown at 0.781 mg/ml of methanol extract against L. monocytogenes. After five minutes of reaction between test strains and methanol extracts, the growth rates of five kinds of bacteria were reduced by more than 99.999% at a concentration of 100 mg/m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ethanol extracts of Caesalpinia sappan L. can be developed as a natural sanitizer or disinfectant.

고호염성 Haloarcular sp. EH-1으로 부터 amylase 생산 (Amylase Production from Haloarcular sp. EH-1)

  • 정명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70-576
    • /
    • 2002
  • 천일염에서 분리된 고호염성균인 Hainrcular sp. EH-1 으로부터 amylase 생성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여 최적조건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밀라아제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은 4$0^{\circ}C$, pH 7.5이었으며, 최적 생육배지를 soluble starch 1.5%, yeast extract 1.0%, MgSO$_4$7$H_2O$ 2.0%, KCI 0.1%, NaCl 25%로 조성하여 500 $m\ell$ 삼각 플라스크에 100 $m\ell$ 씩 분주하여 110 rpm/min으로 진탕 배양시켰다. 생육과 효소활성은 9일 배양 후 최대치를 나타내어서, 균의 생육정도와 효소생산 사이에서 증식연관형을 나타내었다.

Pseudomonas sp. EL-G527에 의한 환경친화성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최적조건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Biosurfactant by Pseudomonas sp. EL-G527)

  • 차미선;임은경;이근희;조순자;손홍주;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7-182
    • /
    • 2002
  • A biosurfactant-producing microorganism was isolated from activated sludge by enrichment culture when grown on a minimal salt medium containing n-hexadecane as a sole carbon source. This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and it was named Pseudomonas sp. EL-G527. It's optimal culture condition is 2% n-hexadecane, 0.2% NH$_4$NO$_3$, 0.3% KH$_2$PO$_4$, 0.3% $K_2$HPO$_4$, 0.02% MgSO$_4$ㆍ7$H_2O$, 0.0025% CaCk$_2$ㆍ6$H_2O$, 0.0015% FeSO$_4$ㆍ7$H_2O$ in 1$\ell$ distilled water and initial pH 7.0. Cultivation was initiated with a 2% inoculum obtained from starter cultures grown in 30 $m\ell$ of the same medium in 250 $m\ell$ flask. They were cultivated at 3$0^{\circ}C$ in reciprocal shaking incubator and the highest biosurfactant production was observed after 4 days.

Aspergillusniger를 이용한 전자스크랩의 미생물 침출 연구 (Bioleaching of electronic scrap using Aspergillus niger)

  • 안재우;정진기;이재천;김동진;안종관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춘계임시총회 및 제25회 학술발표대회
    • /
    • pp.214-223
    • /
    • 2005
  • In order to recover valuable metals from fine-grained electronic waste, bioleaching of Cu, Zn, Al, Co, Ni, Sn and Pb were carried out using Aspergillus niger as a leaching microorganism in a shaking flask. Aspergillus niger was able to grow in tile presence of electronic scrap. The formation of organic acids(citric and oxalic acid) from Aspergillus niger caused the mobilization of metals from waste electronic scrap. In a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obtain the data on the leaching of Cu, Zn, Al, Co and Ni, the metal leaching behaviours were accomplished using Organic acid(Citric acid and Oxalic acid) instead of Aspergillus niger. At the electronic scrap concentration of 50g/L, Aspergillus niger were able to leach more than 95% of the available Cu, Co. But Al, Zn, Pband Sn were able to leach about 15-35%. Ni and Fe were detected in the leachate less than 10%.

  • PDF

Aspergillus terreus에 의한 Lovastatin 생산에 배지성분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nents on the Production of Lovastatin by Aspergillus terreus)

  • 김병곤;정용섭;전계택;이영행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6-44
    • /
    • 1999
  • 고지혈증 치료제인 Lovastatin을 Aspergillus terreus로부터 생산하기 위해 최적의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및 아미노산을 선정하였다. 단일 탄소원에서는 글리세롤 45mL/L가 Lovastatin 256mg/L로 포도당 45g/L의 기본배지보다 약 3.5배 이상의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탄소원이 지방산 합성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Lovastatin으로의 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기름 증류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결과, 높은 Lovastatin 생산량과 균재량을 나타내었으나, 글리세롤 45mL/L가 Lovastatin 생산량이 낮았다 포도당 50g/L와 글리세롤 50mL/L를 혼합한 복합 탄소원이 Lovastatin 298mg/L로 기본배지에 비해 약 4배 이상의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냈었다. 질소원의 영향은 뚜렷하여 질소원에 따라 Lovastatin 생산량이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peptonized milk가 가장 Lovastatin 생산량이 높았다. 인산염 중에서는 $K_2HPO_4$가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얻어진 최적 배지에 각종 아미노산을 첨가한 결과 L-hisbhine과 L-tryptophan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최적 농도는 둘다 6g/L였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밀배아유의 효소적 에탄올화 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Wheat Germ Oil during Enzymatic Ethanolysi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백성신;권경태;정고운;안향민;심정은;강희문;전병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546-552
    • /
    • 2009
  • 이번 연구에서는 밀배아유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밀배아유의 효소적 에탄올 반응을 수행했고, 효소적 에탄올 반응의 비가압조건과 가압조건을 중점적으로 비교 분석했다. 비가압조건 효소적 에탄올 반응 수행은 밀배아유와 99.9% 에탄올 혼합물에 두 가지 고정화 효소인 Lipozyme TL-IM과 Lipozyme RM-IM를 1~5 w%(밀배아 기준 무게비)로 25 ml 플라스크에 shaking machine 상에서 $40{\sim}70^{\circ}C$, 120 rpm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가압조건상에서의 효소적 에탄올 반응 조건은 고정화 효소 2 w%, 반응 시간 24시간, 반응 온도 $40{\sim}60^{\circ}C$ 및 반응 압력 75, 100, 150, 200 bar으로 수행했다. 실험으로부터 회수된 sample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분해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모노-, 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HPLC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밀배아유의 전반적인 전환율은 반응온도와 고정화 효소의 농도에 따라 증가했고, 최적 반응 조건은 가압조건 $50^{\circ}C$, 100 bar이었다.

Beauveria bassiana Bb08의 살충성 물질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의 통계적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phicidal Metabolites of Beauveria bassiana Bb08)

  • 고은수;임영훈;정형철;최재필;박인서;김정준;이동진;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8-4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B. bassiana Bb08가 생산하는 진딧물 살충 대사산물의 최대 생산을 위하여 박스벤켄(Box-Behnken) 디자인과 표면반응분석을 이용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균배양을 위한 배지는 옥수수분말, 미강, 옥수수침지액분말로 구성되었다. 균배양액은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0.45{\mu}m$ 막여과지로 여과한 후 3령의 목화진딧물에 살포하였고, 6일 동안 매일 죽은 진딧물 수를 계수하여 살충율을 계산하였다. 통계분석한 결과 최적의 배양조건은 온도 $26.2^{\circ}C$, 배지 초기 pH 5.9, 플라스크 진탕 속도 209.0 rpm, 그리고 균배양 시간은 5.9일로 나타났다. 여과액 살포 후 4, 5, 그리고 6일째 기대 살충율은 각각 76.8, 84.9, 그리고 89.4%이었다, 배양조건 4가지 모두 살충성 대사산물 생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영향이 큰 요인 순서는 온도, pH, 배양시간, 진탕속도의 순서로 분석되었다.

송이균 배양을 위한 균사생장 조건 (Favorable Condition for Mycelial Growth of Tricholoma matsutake)

  • 김인엽;정광열;한상국;차주영;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29
    • /
    • 2005
  • 송이(Tricholoma matsutake)균을 고체배양과 액체배양에서 균사 생장의 적합한 조건을 구명함으로 앞으로 송이균을 대량 배양하여 접종함으로 송이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송이균은 고체배지의 경우 HA, TMM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액체배지의 경우 PDB, TMM 배지에서 균사의 생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온도에서는 $25^{\circ}C$에서 균사의 생장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송이균이 잘 생장하는 탄소원은 다당류인 Dextrin이고 질소원은 Yeast extract와 Peptone이고 $Fe_{2}(SO_{4})_{3}{\cdot}H_{2}O$와 KCl이었다. 액체배양에서는 균사의 생장은 플라스크 배양에서 진탕배양에서 정치배양보다 $2{\sim}7$배 정도의 균사의 생장이 좋았으며, 100 ml 가장 양호하였다. 균사의 절편을 삼각플라스크에 $6{\sim}7$개 넣어서 배양하는 것이 양호하였으며 배양기간은 접종 후 4주에서부터 균사의 생장과 펠릿의 분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9주까지 활발하게 생장하였다. 대량배양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한 배지로는 감자추출배지이었으며 8리터 병에 200 ml 접종량을 넣고 8주간 배양하면 송이의 균사체량이 가장 많이 얻을 수 있었다.

Micrococcus sp. M1에 의한 Phenol과 p-Creso의 생분해 Kinetics (Biodegradation Kinetics of Phenol and pcresol by Micrococcus sp. M1)

  • 손홍주;장웅석;이건;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3-163
    • /
    • 1997
  • In order to fad the most fitted biodegradation model, biodegradation kinetics model to the initial phenol and p-cresot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and had been fitted by the linear regression. Bacteria capable of degrading p-cresol were isolated from soil by enrichment culture technique. Among them, strain Ml capable of degradillg p.rcresol has also degraded phenal and was identified as the genus Micrococcus from the results from of taxonomical studies. The optimal tonditlons for the biodegradation of phenal and p-cresol by Micrococcus sp. Ml were $NH_4NO_3$ 0.05%, pH 7.0, 3$0^{\circ}C$, respectively, and medium volume 100m1/250m1 shaking flask. iwicrococcus sp. Ml was able to grow on phenal concentration up to 14mM and p-cresol concelltration up to 0.8mM. With increasing substrate concentraction, the lag period increased, but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s decreased. The yield coeffici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substrate concentation. The biodegradation kinetics of phenol and p-cresol were best described by Monod with growth model for every experimented concentration. In cultivation of mixed substrate, p-cresol was degraded first and phenol was second. This result implies that p-cresol and phenol was not degraded simultaneous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