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p reconstruction

검색결과 1,217건 처리시간 0.027초

두 마리 개에서 완치가 어려운 구개 종양의 완화 수술 적용 증례 (Palliative Surgery in Two Dogs with Non-Curative Palatal Tumors)

  • 윤헌영;이정하;신동욱;박희명;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5-429
    • /
    • 2014
  • 식욕부진, 호흡부전, 또는 비출혈을 보이는 두 마리 개가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호흡곤란, 개구호흡 및 커다란 구개 종양을 확인하였다. 신체검사 중 2 번 증례에서 호흡부전으로 인한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심폐소생술과 산소 공급을 통해 안정화 되었다. 1 번 증례의 CT 촬영에서 경구개 연구개를 포함하는 구강 인두, 인두 내 입구, 인후두 부위의 종양을 확인하였다. 연하곤란 및 호흡부전 개선을 위해 보호자 동의 하에 완화 수술을 결정하였다. 종양 제거 후 발생한 결손 부위 재건을 위해 구강 내 점막을 사용하여 회전 및 전진 피판술과 양측 90o 자리바꿈 피판술을 1 및 2 번 증례에 각각 적용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두 마리의 개 모두에서 무멜라닌 색소성 흑색종이 진단되었다. 수술 후 7 일째 두 마리 모두에서 정상 연하와 호흡이 확인되었다. 수술 후 4 주째 1 번 증례의 수술 부위에서 재발된 종양이 관찰되었다. 보호자가 추가적인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연락 두절로 인하여 수술 후 2 개월 이후의 확인은 불가능하였다. 수술 후 3 주째 2 번 증례의 신체검사 및 방사선 촬영에서 국소적인 재발 및 전이는 확인 되지 않았다. 수술 후 7 주째 유선상으로 확인한 결과, 2 번 증례에서 원인불명의 갑작스러운 사망이 확인되었다.

협점막 외전 피판을 이용한 양측성 구각성형술에 의한 소구증의 교정 1예 (CORRECTION OF MICROSTOMIA BY BILATERAL COMMISSUROPLASTY USING "OVER AND OUT" BUCCAL MUCOSA FLAPS: REPORT OF A CASE)

  • 유선열;김현섭;박홍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80-385
    • /
    • 2008
  • 양측성 구순구개열을 가진 16세 여자 환자가 소구증과 구순열비변형으로 인하여 개구 제한과 심미적 문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병력에서 구순성형술, 구개성형술 그리고 이차구순비성형술을 받았으며, 임상 소견에서 상순과 하순이 매우 작고 입술의 폭은 40 mm 정도로 짧았으며 최대 개구량은 20 mm였다. Converse의 협점막 외전 피판을 이용한 양측성 구각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입술의 폭은 60 mm로 증가하였다. 수술 1년 경과 후 입술의 폭은 54mm로 약 6 mm 정도 회귀되었고, 그 외에 별다른 문제점 없이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협점막 외전 피판을 이용한 양측성 구각성형술은 입술의 폭과 크기를 증가시켜주고 입술의 외관을 개선하여 소구증의 외과적 교정에 적절한 술식임을 알 수 있었다.

성공적인 전치부 심미 임플란트를 위한 3가지 요소 (Three key factors for successful esthetic anterior implant restoration)

  • 임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5-49
    • /
    • 2016
  • 최근 심미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이제는 임플란트 수복에 있어서도 기능적인 면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면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은 임상가들에게 항상 도전적인 과제로 다가오는데 그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첫째, 충분한 경조직이 필요하고 둘째, 충분한 연조직이 필요하며 그리고 셋째, 심미적인 수복물이 필요하다. 연조직의 심미성은 그 하부에 있는 경조직에 의존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하부의 경조직의 골격적인 지지가 있어야만 그것을 바탕으로 그 위에 건강하고 심미적인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경조직 재건은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에 있어서 첫번째 단계이며, 특히 3차원적으로 적절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설정은 심미성 있는 최종 수복물을 얻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두번째 단계가 순측으로 충분한 두께의 연조직을 얻기 위한 수술 기법이며, 마지막 세번쨰 단계가 적절한 출현외곽을 갖는 임시 수복물을 통해서 얻어진 심미적인 최종 수복물이다. 본 임상 증례 보고는 순측의 골 열개 결손에서의 골 증대술 과정과 전치부 영역에 주로 사용되는 VIP-CT 라고 일컫는 유경 판막술을 이용한 연조직 증대술, 그리고 임시 수복물을 통한 연조직 형태 만들기와 맞춤형 인상 코핑을 이용한 인상채득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경조직, 연조직, 수복물의 세 가지 요소가 심미적인 최종 수복물을 위해 서로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한 후두 재건 (EXPERIMENTAL RECONSTRUCTION OF LARYNX WITH STERNOMASTOID MYOPERIOSTEAL FLAP)

  • 조재식;안병현;김선태;이종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8-28
    • /
    • 1991
  • 후두암의 수직절제 수술후의 후두 재건 목적은 기관절개를 통하지 않고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연하시 기도흡인을 피하기 위한 sphincter 능력의 보존, 그리고 발성이 가능하도록 성대진동 mechanism을 재건하는데 있다. 오늘날 수많은 후두학자들에 의해서 고안 개발된 다양한 재건 방법이 있다. 연자는 광범위한 후두절제에 따른 큰 결손을 메우기 위해 bulky하면서도 점막 상피의 재생이 용이한 재건 피판으로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하여 후두 결손부를 재건하여 보았다. 방법은 성견 3마리를 대상으로하여 thiopental sodium 정맥주사로 전신마취를 시행한 후 설골에서부터 흉골상까지 경부 정중앙의 피부를 절개하고 후두를 노출시켜 후두 수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흉유돌근과 흉골에 부착된 골막을 박리하여 흥유돌근골막 피판을 제작한 후 골막이 후두강 안쪽으로 되도록하여 골막연과 후두점막을 봉합하였다. 그리고 3, 5, 9개월에 후두적출술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 및 수술후 경과를 관찰하였다. 3실험견 모두 기관절개술 없이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였고 흡입성 폐렴이나 피하기종등의 합병증없이 창상이 치유되었으며 발성도 양호하였다. 이식된 골막위로 신생혈관의 출현과 함께 점막재생이 잘되 있었다. 단지 봉합사 주위에 소량의 육아종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섬유조직위로 편평상피가 재생되었으며 성문하부에서는 일부 섬모가 있는 호흡기 점막도 관찰되고 골막하부에 신생골 형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골막 피판은 그 유연성 때문에 결손부위의 점막연에 맞춰도 tension이 없고 공기 누출이 되지 않게 봉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점막이 재생할 수 있는 frame-work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과 같은 사실로 미루어 흉유돌근 자체가 견실하고 골막에 혈류공급이 잘되어 창상치유에 좋을 뿐 아니라 큰 후두결손부의 재건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되었다.로서 몇가지 앞으로의 치료지침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 분포는 남자 16(39 %), 여자 25 (61%)이었으며 1 : 1.5의 빈도를 보였다. 2) 연령 분포는 20대와 30대에서 남녀 모두 2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3) 부식제의 종류는 빙초산이 26명 (63.4 %)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염산 7 (17.1 %) Lye 3 (0.7 %) 의 순이었다. 4) 음독후 12시간내에 식도경술을 받은 환자가 3명(0.7 %) 12-24시간에 받은 환자가 17명(41.5 %), 24 - 48시간에 받은 환자가 11명(26. 8%)으로 48시간 내에 시행받은 환자가 전체의 75.6%를 차지하였다. 5) 식도경 검사상 나타난 식도화상은 Grade I 11명 (26.8%) G.ade II 18(43.9%) Grade III 7명(17.1%) 이었으며 Grade II 인 경우가 18명(43.9%)로 가장 많았으며 Grade I 11명(26.8 %), Grade III 7명 (17.1 %) Normal 5명 (12.2 %) 순이었다. 6) 조기 식도경 검사에서 41명중 oral cavity burn이 없었던 경우가 15명(36. 1 %) 이었으며, oral cavity burn이 있었던 26명중 5명(19 .2 %)에서 Esophageal burn이 없었다 특히 Esophageal burn의 Grade II, III 25명 중 9명(29.6 %)에서 oral cavity burn이 없었다. 7) 식도 부식중 환자의 치료 원칙으로 Grade I, II, III에서 항생제 및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며 Grade I에선 oral feeding을 시켰고 Steroid는 경우에 따라 투여하였으며 Grade III에선 원칙적으로 사용치 않았다. 식도조영술은 Grade I II III에서 3주 후에 모두 시행하였다. 8) 3주 후 식도조영술을 실

  • PDF

가토의 치조열 모델에서 골수 흡인물이 자가뼈 이식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one Marrow Aspirate with Autogenous Bone graft for Alveolar Cleft in a new Rabbit Model)

  • 배성근;정호윤;이상윤;조병채;양정덕;박미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31-537
    • /
    • 2009
  • Purpose: Alveolar bone grafting has become an essential process in the treatmemt of alveolar cleft patient for stabilization of the maxillary arch, elimination of oronasal fistula, the reconstruction of the soft tissue nasal base support, and creation of bony support for tooth eruption for implant. The use of Autologous iliac cancellous bone is preferable because of the adequate quantity and high osteoinductive potential. However, even with iliac bone, insufficient osteoregeneration and absorption occur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age, cleft width, functional stress, and others. In order to increase osteoregeneration where the iliac bone is placed, the present study is associated with bone marrow aspirate (BMA). The experimental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osteoregeneration in normal cleft rabbits when alveolar bone grafting was performed with autologous iliac corticocancellous bone. Methods: Twenty - four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2 groups (BMA, control). All animals underwent harvesting of corticocancellous bone graft from the right posterior iliac crest via standard surgical technique. $1m{\ell}$ of BMA were obtained by scraping the needle and aspirate with $10m{\ell}$ syringe from the contralateral iliac bone wall. The muco - periosteal flap on the palate was elevated. A mixture of Equal bone's volumes with BMA and saline as its control was inserted into the cleft.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4, and 8 weeks and maxilla was harvested for dental peri - apical X-ray, bone matrix density (BMD),and histologic analysis. Result: BMD of regenerated bone to the cleft in the rabbi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rabbits. X-ray, histologic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osteoregeneration and low absorption rate were observed in the BMA group. Conclusion: Our experimental study showed BMA enhanced the osteoregeneration and survival rate of alveolar bone grafting. BMA is easy to extract & cost - time effective. So it can be an effective enhancers for bone grafting mixtures.

경부청소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부청소술 후 장애지수에 대한 한글화 버전 표준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ck Dissection Impairment Index in Patients Who Underwent Neck Dissection)

  • 임원섭;이창욱;이윤세;조민우;정영호;최승호;김상윤;남순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43-50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Shoulder funct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QOL). Neck dissection impairment index (NDII) is a simple shoulder-specific questionnai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QOL and NDII in patients who underwent neck dissection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NDII. Materials & Methods: This study enrolled 74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who underwent neck dissection from December 2013 to April 2014. Pati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QOL including the European Organization of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30-item Core QOL questionnaire (EORTC QLQ-C30) and NDII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Validity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DII and EORTC QLQ-C30. Results: We compared preoperative, postoperative within a week, 1st and 3rd months NDII scores. The total NDII scores were 14.7, 47.4, 33.7 and 34.3 each.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site of primary tumor, performing revision neck dissection, radiotherapy and flap reconstruct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DII. However NDII mean score of patients who underwent unilateral neck dissection over 3 levels is most increased after operation. During all periods NDII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unctioning score. Although other scores are lower correlation than function scores, global health status scores and symptom scores are also correlation with NDII. Conclusion: NDII was valid instrument and can be used not only in the clinical practice to assess shoulder dysfunction but also in the simple instrument to evaluate global QOL in Korea patients with having neck dissection.

백서 대퇴동맥 외막층 제거후 혈관동결시 조직형태학적 변화 및 재생에 관한 연구 (HISTOMORPHOLOGIC CHANGE AND REGENERATION OF THE ADVENTITIA-STRIPPED AND FROZEN RAT FEMORAL ARTERY:HISTOLOGIC, HISTOMORPHOMETRIC, IMMUNOHISTOCHEM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 김태득;김경욱;이재훈;김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5권4호
    • /
    • pp.281-294
    • /
    • 1999
  • Vasospasm causes microvascular surgery to fail as a main factor in the loss of transferred flap dye to the diminution of blood flow in reconstruction surgery. Although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to resolve the vasospasm problem, no one has reached an ideal solution to date. However, cryotherapy, which is often used for destruction of tumor lesions, is being presented as a new way of releasing vasospasm. After making a histomorphometric measurement on vasodialation during the course of 1, 3 and 7 days, 2 and 4 weeks, and 5 months periods and observing the change of blood vessel in a histologic, immunohistochemical, and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ic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Vascular inner diameters of the experimental 1 and 3 days groups were measured $476.3{\pm}28.20{\mu}m$, $497.15{\pm}48.79{\mu}m$ respectively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vasodilation(P<0.05), which continued by the experiment 4 weeks group. However, in the experimental 5 months group, the vascular inner diameter appeared similar to the control groups. Even though the thickness of smooth muscular layers come out to be thinner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was difficult to find any statistical meaningfulness. In addition, the vascular external diameters of every experimental groups were shown to be longer than the control group. 2. In light microscopic view, severe injury was evident on the smooth muscular layer cell from the experimental 1 day group, started recovering partially from the experimental 7 days group, and was mostly restored in the experimental 4 weeks group and layer of adventitial stripping were nearly recoverd 2 weeks group. 3. The PCNA positive cells of smooth muscular layer were observed from the experimental 7 days group and had a tendency to increase by the experimental 2 weeks group. In the experimental 4 weeks and 5 months group, the number of PCNA possitive cells observed was comparable to the control group. 4. ${\alpha}$-SMA level of smooth muscular layer cells, having been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everly damaged experimental 1 day group. It was seen to be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7 days group and turned out to show similar ${\alpha}$-SMA level in 4 weeks to the control group. 5. In the view of SEM, the endothelial cells were destructed and falling off, and also present the appearance of flattening in the experiment 1 day group. The endothelial layer cells started partially recovering from the 7 days group after the freezing injury. On 4 weeks and 5 months, the endothelial cells were fully coverd the damaged area, also it's appearance is similar to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vascular freezing after the removal of adventitia caused damages to smooth muscular layer cells, and brought about vasodilation, which continued by the 4th week. The smooth muscular layer cells started partially reviving from the 7rd day after the damage by vascular freezing, and recovered their similar figure to the control group's 4 weeks later. This was considered the result of cells which surround the damaged blood vessel being influxed into the smooth muscular layers. Therefore, this local freezing injury on the blood vessel was thought to be applied clinically to relieve severe vasospasm which cannot be treated by vasodilation drug, a microvascular surg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