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ve-Grain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9초

보리 붉은곰팡이병 검정법과 저항성 품종 선발 (Establishment of Artificial Scree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Barley Germplasms for Resistance to Fusarium Head Blight)

  • 한옥규;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1-196
    • /
    • 2005
  • 이 실험은 보리의 붉은곰팡이병에 대한 정밀하고 효율성이 높은 검정체계를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온$\cdot$습도 조절이 가능한 붉은곰팡이병 전용 습실 검정상을 제작하여 포트 재배한 식물체에 3개의 다른 접종시기별(출수기, 출수후 3일, 출수후 5일)로 SCK-O4 균주의 분생포자 현탁액 $5.0\times10^5$ macroconidia $mL^{-1}$를 각각 접종하고 4개의 다른 기간 동안 습실처리(1, 3, 5, 7일)를 하여 각 처리별 이병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절단이 삭검정법을 통한 대량검정법도 검토하였다. 1. 습실 검정상 내에서의 붉은곰팡이병 발병률은 접종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습실처리기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습실 검정상을 이용한 붉은곰팡이병의 저항성 검정은 출수기에 접종하고 습실 검정상 내에서 7일간 유지하여 판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3. 포트검정법과 절단이삭검정법의 검정방법간 발병 정도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r=0.892^{***})$을 보였다. 4. 저항성 품종은 진광보리, 부흥, Atahualpha92, Chevron-b, Gobernadora-d 및 MNBrite-c 등이 선발되었으며, 이들 품종은 2개의 검정시기에서 일정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evelopment Process of Agriculture And Technology -A Case Study of Korea

  • Gajendra-Singh;Ahn, Duck-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109-118
    • /
    • 1993
  • Development process of agricultural technology has been studied with a case study of Korean agriculture. Technological is considered as a transformer of inputs into outputs and hence technological appropriateness, an important aspect of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ies, is considered as a dynamic concepts. Considering the concept of agricultural system as a delivery system for providing essential materials and services to producers and consumers,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major groups of dimensions vis. external challenge dimensions and internal response dimensions. Market, investment and agro-ecosystem constitute the external challenge dimensions : whereas trade , technology as well as production and resources allocation constitute internal response dimensions. The system manager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equilibrium in the mentioned six sub-systems. Two kinds of alternatives path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viz. land saving technology and labour saving technolog have been studied. Technology is considered as a combination of four basic components viz. facilities, abilities, facts and frameworks. Adoption of innovation in agriculture depends on profitability, awareness, risk aversion, financial capacity,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vailability of physical inputs and adaptability to the local conditions. For a cast study of Korea, changes in the agricultural system through external challenge dimensions are investigated. The impacts of industrialization on agro-ecosystem reported are shift of labour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to non-agricultural sectors and continuously increasing demand of farm the agricultural sector to non-agricultural sectors accompanied by increase in land prices. The impacts on the commodity market discussed are shift in demand from rice, barley and other cereals to meat , dairy products and vegetables : and increasing in supply capacity of agricultural inputs. The process of agricultural development from 1962 to 19 1 9 (i.e. from start of the first to the end of the sixth five year plan) are also discussed in details with several policy measures taken. The trend of agricultural income and productivity are also analyzed. The main cause of increase in the agricultural income is considered as increase in labour productivity. The study revealed that during the span of 1965-88, holding size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but both the land and labour productivity increased and so did the agricultural income. R&D activities in Korea have changed over time in three stages vix. import of improved technology, localization by adaptive research and technological mastery. For the new technology to be made affordable to farmers, policy measures like fertilizer and food grain exchange system, dual price system in rice and barely and loan for machinery were strengthened.

  • PDF

성형압력이 Soil-Cement의 강도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olding Pressur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of Soil-Cement Mixture)

  • 서원명;고재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75-4591
    • /
    • 197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in size distribution, cement content, and molding pressure on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soil-cement mixtures, a laboratory test of soil cement mixtures was performed at four levels of cement content, five levels of molding pressure, and four levels of normal curing period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ptimum moisture contents in loam soil and maximum dry density in sand soil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ement content, but in others, both optimum moisture contents and maximum dry density were changed ununiformly. 2. When the specimens were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50kg/$\textrm{cm}^2$,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 with cement content, 2 and 4 per cent, was lower than the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 without cement content by more than 40 to 50 per cent. 3. The strength of soil-cement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100kg/$\textrm{cm}^2$, was higher than the strength of soil-cement molded with M.D.D. obtained from standard compaction test more than 40 per cent in sand loam cement and 50 per cent in loamy cement. 4.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molding pressure, cement content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tgh and so the following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ere obtained. Loam: fc=1.9693C+0.197P-0.84 Sandy loam: fc=2.9065C+0.235P-0.77 5. When the specimens were molded with molding pressure, 20 to 100kg/$\textrm{cm}^2$,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28-day and 7-day strenght was obtained as follows. Loam : q28=1.1050q7+7.59(r=0.9147) Sandy loam : q28=1.3905q7+3.17 (r=0.9801) 6. At the cement contents of above 50 per cent, the weight losses by freeeze-thaw test were negligible. At the cement content of below 8 per cent the weight losses were singnificantly high under low molding pressure and remarkab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olding pressure up to 80kg/$\textrm{cm}^2$. 7. Resistance to damage from water and to absorption of water were not improved by molding pressure alone, but when the soil was mixtured with cement above 6 per cent, damage seldoms occurred and absorbed less than 5 per cent of water. 8.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inverse-co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s and their freeze-thaw loss as well as water absorption. By the regression equation method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re expessed as followed fc=-7.3206Wa+115.6(r=0.9871) log fc=-0.0174L+1.59(r=0.7709) where fc=unconfined compressive stregth after 28-days curing. kg/$\textrm{cm}^2$ Wa=water absorption, % L : freeze-thaw loss rate, %

  • PDF

맥작(麥作)에 있어서 Isoproturon의 살초특성(殺草特性)과 약해(藥害)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Isoproturon on Herbicidal Properties, Crop Injury and Yield in Barley and Wheat Cultivation)

  • 양용승;김종석;한성수;양환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2-159
    • /
    • 1982
  • Isoproturon(N, N-dimethyl-N-4-isopropyl phenyl urea)의 효과적(効果的)인 사용방법(使用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처리시기별(處理時期別), 약량별(藥量別), 품종별(品種別), 토성차이(土性差異) 등에 따른 약해(藥害) 및 제초효과변동(除草效果變動)과 수량(收量)에 끼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최적처리시기(最適處理時期)는 월동후(越冬後) 경엽처리(莖葉處理)로써 독새폴은 3~4 엽기(葉期)가 보다 효과적(效果的)이며 그 후처리(後處理)는 다소(多少) 효과(効果)가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동계(冬季) 및 춘계발생(春季發生)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해서는 5~6 엽기(葉期)까지도 유효(有効)하였으며 갈퀴 덩쿨은 저항성초종(抵抗性草種)이었다. 2. 최적처리약량(最適處理藥量)은 240g~300g/10a 수준(水準)이었다. 3. 경엽처리(莖葉處理)에 의 한 맥류품종문(麥類品種問)의 내약성(耐藥性) 차이(差異)를 보면 공시(供試)한 11 품종(品種) 중(中) 소맥(小麥)(율밀, 조광(早光))과 호맥(胡麥)에서 보다 안전성(安全性)이 높았다. 4. 월동후(越冬後) 경엽처리시(莖葉處理時)에는 토성(土性)의 차이(差異)에 따른 약해(藥害) 및 약효변동(藥效變動)이 적고 시용약량(施用藥量)의 폭(幅)이 비교적(比較的) 넓었다. 5. 보리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월동후(越冬後) 경엽처리시(莖葉處理時) 240~300g/10a 처리구(處理區)에서 다른 처리구(處理區)보다 더 높았다.

  • PDF

맥주맥(麥酒麥)의 수확시기(收穫時期)가 원맥품질(原麥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Quality of Malting Barley)

  • 장현세;박무언;정태영;손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69-173
    • /
    • 1984
  • 맥주맥(麥酒麥)의 등숙정도(登熟程度)에 따른 중요(重要)한 품질변화(品質變化)를 조사(調査)하여 수확적기(收穫適期)을 구명(究明)하고자 삼품종(三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출수기(出穗期) 30일부터 5일 간격(間隔)으로 50일까지 수확(收穫)한 원맥(原麥)의 품질(品質)들을 분석(分析) 비교(比較) 검토(檢討) 하였다. 전분(澱粉), 천립중(千粒重), ${\beta}-glucan$ 및 점도등(粘度等)은 출수기후(出穗期後) 45일까지는 현저한 증가(增加)가 있었으나 45일 이후(以後)는 천립중(千粒重)과 전분등(澱粉等)은 증가(增加)되지 않고 ${\beta}-glucan$ 및 점도등(粘度等)은 크게 감소(減少)되었으며 회분(灰分), 단백질(蛋白質), Poly Phenolics 및 ${\alpha}-amylase$ activity등(等)은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나 출수기(出穗期) 45일 이후(以後)의 수확시기(收穫時期)에서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증가(增加) 또는 감소(減少)가 없는 최소치(最少値)가 되었고 발아세(發芽勢), 발아율(發芽率)및 수감수성등(水減受性等)은 등숙초기(登熟初期)의 현저한 향상(向上)으로 출수기후(出穗期後) 40일이면 제맥(製麥)에 영향(影響)을 주지않을 정도(程度)로 양호(良好)하였으나 수감수성(水感受性) 정도(程度)는 전수확시기간(全收穫時期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차이(有意差異)가 있고 오히려 늦은 수확시기(收穫時期)에서는 품질(品質)이 불량(不良)해 지는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완전입율(完全粒率)은 늦은 수확시기(收穫時期)까지도 향상(向上)되어 수량(收量)에 다소간(多少間) 기여될것으로 생각되나 천립량(千粒量)과 전분함량(澱粉含量)이 최대(最大)가 되는 동시(同時)에 양적(量的) 제한품질(制限品質)들은 최소(最少)가 되며 완전립(完全粒)과 불완전립(不完全粒) 비율(比率)이 93:7정도(程度)가 되는 출수기후(出穗期後) 45일이 수확적기(收穫適期)로 판단(判斷)되었고 조기수확(早期收穫) 한계기(限界期)는 천립중(千粒重)이 35gr. 정도(程度)가 되는 40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흑다리긴노린재[Paromius exiguus (Distant)](Heteroptera: Lygaeidae)의 발생소장과 주요 기주에서 시기별 연령분포 (Seasonal Occurrence and Age Structure of Paromius exiguus (Distant) (Heteroptera: Lygaeidae) on Major Host Plants)

  • 박창규;박홍현;엄기백;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1-27
    • /
    • 2009
  • 2001년 경기 김포 매립지 주변의 논에서 다량의 반점미를 유발시켰던 흑다리긴노린재[Paromius exiguus (Distant)]의 연중 발생소장과 주요 기주에서 연령분포를 분석하였다. 월동성충은 여러 지역의 다양한 화본과 잡초 기부에서 발견되었다. 흑다리긴노린재 성충은 월동 후 5월 중순경에 띠[Imperata cylindrica (L.)]로 이동하여 1세대를 경과하였다. 6월 하순경에는 산조풀[Calamagrostis epigeios (L.)]로 이동하여 2세대 발육을 완료하였으며, 8월 초순부터 벼(Oryza sativa L.)와 다른 화본과 잡초로 이동, 3세대 발육한 후 성충으로 월동하였다. 흑다리긴노린재 약충은 5령을 경과하였으며 각 영기는 두폭과 앞가슴전엽폭으로 구분하였다. 흑다리긴노린재의 연령분포는 띠 및 벼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축 영기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보였으나 산조풀에서는 띠에서 발육이 완성되지 못한 약충들과 성충들이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복잡한 연령구조를 이루었다. 모든 기주에서 약충의 밀도가 가장 높았던 시기는 3령과 4령의 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시기였으며 이러한 연령 구성 변화는 영기에 따른 약제 감수성 등과 관련하여 적절한 방제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의사 결정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고창군 하전 갯벌의 미세조류 및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microalg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of the Hajeonri tidal flat, Gochang, Korea)

  • 정상옥;조윤식;최윤석;정희도;송재희;한형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43-7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고창의 하전 해수와 갯벌 표면의 식물플랑크톤과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수에서는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조성과 개체수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는데,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lpha}$ 농도와 개체수는 2월에 가장 높았고 규조가 우점군이었으며 총 113종이 출현하였다.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인 표층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하전리 측선에서 간조 시에 계절별(2, 5, 8, 11월)로 각 9개의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주로 사질실트와 사질니로 이루어졌으며, 유기물 오염도는 낮게 나타났다.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엽록소 ${\alpha}$)은 봄과 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저서규조는 총 163종이 출현했으며 Navicula sp.1과 Paralia sulcata 두 종이 우점하였다. 해수와 저서 표층에서 동일시기에 출현한 종은 5종으로 관찰되었다.

광양만 북부 수어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ueocheon Stream Estuary at the Nothern Part of Gwangyang Bay, Korea)

  • 임현식;최진우;최상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76-86
    • /
    • 2012
  • 광양만 북측으로 유입되는 수어천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여름철 공간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2009년 8월에 24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저서생태계의 생태학적 과정(ecological process)이 극대화되는 여름철에 이루어졌다. 소형 van Veen grab($0.05m^2$)을 사용하여 매 정점당 2회씩 퇴적물을 정량 채집하여 분석한 결과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44종이었고, 평균 밀도는 $789ind./m^2$였다. 연체동물이 밀도(43.1%)와 생체량(86.8%)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 분류군이었으며, 연체동물의 Corbicula japonica(40.7%), 다모류의 Neanthes japonica(19.3%), Heteromastus filiformis(8.1%), 갑각류의 Paranthura japonica(6.9%), Jaeropsis sp.(6.9%)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수어천 하구역 정점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종다양도는 평균 $1.12{\pm}0.47$로 낮았으나, 하구역 입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도를 보였다. 하구역 상부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기수성 이매패류인 Corbicula japonica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수어천의 전반적인 저서생물상은 강 입구역에서는 세립질 퇴적물과 해수의 영향으로 다양한 생물상을 가진 반면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립질 퇴적물과 담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소수의 기수종만이 출현하는 다소 단순한 조성을 가진 군집을 나타낸다.

국내 석탄광 분진의 특성과 효율적 제어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oals and efficient control of coal dust)

  • 김수홍;권준욱;김선명;김윤광;장윤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589-609
    • /
    • 2017
  • 석탄광산 분진을 환기로 제어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가행되는 5개 광산의 석탄 분진 시료를 채취하여 석탄 분진의 특성인 밀도와 원소분석, 입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것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무연탄에서 파생되는 석탄 분진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연구의 기초가 될 것이다. 입도분석(PSA)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석탄 분진 시료입자의 크기는 $0.007{\sim}88.614{\mu}m$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이중 진폐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3.5{\mu}m$ 이하의 입자가 광산 내 상당부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개광업소에서 채취한 석탄광 분진의 풍속에 의한 유동을 알아보기 위해 풍동을 제작하여 풍속에 대한 석탄광 분진의 낙진을 측정하였으며, 낙진된 석탄 분진의 입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실제 미세먼지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채준 작업장에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앤더슨 멀티스테이지 샘플러(Anderson multi-stage sampler)를 이용하여 석탄광 분진을 작업장에서 환기되는 풍속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3.5{\mu}m$ 이하의 석탄 분진을 제어하는 풍속을 실험을 통하여 밝혀냈다. 주선풍기의 과설계를 방지하기 위해 A광업소의 자연환기력을 계산하였다.

Effects of Sorghum Tannins, a Tannin Binder (Polyvinylpyrrolidone) and Sorghum Inclusion Level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Ambula, M.K.;Oduho, G.W.;Tuitoek,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9호
    • /
    • pp.1276-1281
    • /
    • 2001
  • The feeding values of four indigenous Kenyan sorghum cultivars and the effects of polyvinylpyrrolidone (PVP) on the utilization of high tannin sorghum by broiler chicks were studied in two 3-week feeding trials. In Experiment 1, one hundred and five broiler chicks (initial average weight 97 g)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ne of the seven grain-soybean meal diets. The diets consisted of maize [diet 1; no assayable tannin], white sorghum [diet 2; 0.59% catechin equivalents (CE)], cream sorghum [diet 3; 0.94% CE], light brown sorghum [diet 4; 2.71% CE] and dark brown sorghum [diet 5; 3.54% CE]. Diets 6 and 7 were includ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detrimental effects of sorghum tannins by adding PVP at 0.25% and 0.5% to dark brown sorghum, which resulted in dietary tannin levels of 3.46% and 3.38% CE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tannin on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and nitrogen (N) retention were studied in a 3-week substitution assay in which high tannin sorghum (5% CE) was substituted for white maize at different inclusion levels. Ninety broiler chicks aged 7 days (initial average weight 102 g)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ne of the six diets. The diets consisted of corn gluten meal and fishmeal as protein sources plus maize [diet 1] and high tannin sorghum at different inclusion levels [diets 2, 3, 4, 5 and 6], resulting in dietary tannin levels of 0, 1.25%, 1.66%, 2.08%, 2.5% and 3.2% CE respectively. Feed intake, feed efficiency and body weight gain were measured weekly. In Experiment 2, tannin absorption, DMD and N retention were measured on days 19, 20 and 21.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feed intake, feed efficiency and body weight gain were all affected by treatment (p<0.05). Diets 1, 2 and 3 gave similar body weight gains and all were better than diets 4 and 5 (i.e. 504, 517, 473 g, vs. 256, 267 g). Similarly, feed efficiencies were higher (p<0.05) for diets 1, 2 and 3 compared to diets 4 and 5 (0.4, 0.42, 0.39 vs. 0.21, 0.23). When 0.25% PVP was added to the dark brown sorghum (diet 6)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ck performance (p>0.05). However, addition of 0.5% PVP (diet 7)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in body weight gain compared to the untreated dark brown sorghum. Overall, PVP did not completely overcome the deleterious effects of tannins. The results of Experiment 2 indicate that sorghum inclusion level and subsequent tannin level had no effect on feed intake, feed efficiency, weight gain, DMD and N retent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annin level should be limited to below 2.71% CE in broiler chick diets containing 20% CP and 0.4% methionine. However, in diets with 23% CP and 0.8% methionine tannin level of up to 3.2% will not affect performance. Consequently high tannin sorghum (5% CE) can be used to substitute for white maize by up to 100% in broiler chick di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