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tula, arteriovenou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9초

Treatment of Scalp Arteriovenous Malformation

  • Jung, Sung-Hoon;Yim, Man-Bin;Lee, Chang-Young;Song, Dal-Won;Kim, Il-Man;Son, Eun-I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4호
    • /
    • pp.269-272
    • /
    • 2005
  •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reatment experience of the 6cases of scalp arteriovenous malformations[AVMs] focus on treatment strategy. Methods : Six patients with scalp AVM were treated during past 12years. We analysi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sions, treatment methods and management outcomes. Results : The lesions were located on temporal in 2patients, parietal in 2patients, frontal and occipital area in each one. Four of six patients had a trauma history on scalp.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progressive enlarged pulsating mass with or without bruit. Four of the six lesions had the large fistula in the lesion. 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alone, three patients with proximal feeding artery balloon[s] occlusion followed by surgical resection, and one patient with coil embolization through trans-venous route alone. We obtained good results in all patients. Conclusion : Most of scalp AVM can be completely cured by Judicious selection and a combination of treatment modalities, i.e., surgery only, or embolization only, or embolization plus surgical therapy. Although embolization became a primary therapy for this sort of scalp AVM recently, the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y should be chose based on the size, angioarchitecture, and clinical presentations of the lesion.

관상 동정맥루의 외과적 치험 (Surgical Treatment of 25 Patients with Congenital 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

  • 박종호;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2호
    • /
    • pp.1563-1569
    • /
    • 1992
  • From Jan. 1981 to Dec. 1991, we had treated 25 patients with congenital 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s [CAVF]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 retrospective review was made to delineate the course and the management of CAVF and to clarify the role of surgical treatment. Fifteen patients were male and 10 were female with The mean age of 17.4 years[from 3 months to 58 years].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dyspnea on exertion[56%]. Other symptoms were angina and palpitation. Sixty-eight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symptomatic. Fifty-three percent of patients less than 20 years old were symptomatic and 100% of patients over 20 years old were symptomatic. Three patients had multiple CAVFs. The fistula drained into the right ventricle in 13, pulmonary artery in 9, left ventricle in 4, right atrium in 2, and left atrium in 1. Thirteen patients had other associated cardiac lesions. The mean pulmonary-to-systemic blood flow[Qp /Qs] in the isolate CAVF group was 2.19. All patients were operated on to correct the fistulas and other associated cardiac lesions. All patients were followed from 1 month to 11 years without late death.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24% -significant arrhythmia [3], recurred CAVF[1], psychosis[1], pneumonia [1]. Symptomatic improvement was evident postoperatively. Below 20 years old, 94% of patients were asymptomatic, but above 20 years old, symptoms persisted in 25%. In summary, early elective repair of CAVF is indicated in all patients because of higher complication rate and frequent persistent symptoms in older patients.

  • PDF

상지에서 revision에 의한 동정맥루조성술의 결과 (Results of Arteriovenous Fistula Revision in the Forearm)

  • 이선훈;김재욱;정재일;윤찬식;윤영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894-897
    • /
    • 2000
  • 배경: 의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만성신부전 환자의 생존율이 향상되고 2차적인 동정맥루술을 시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이 논문은 2차적인 동정맥루 조성술의 하나인 Revision이 다른 방법과 마찬가지의 성공률 및 개존율을 나타내는가를 알고자 작성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총 365례의 동정맥루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revision하여 동정맥루를 만든 6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Revision한 62명의 6개월 개존율이 78.8%, 12개월 개존율이 72%, 24개월 개존율이 63%, 36개월 개존율이 56.9%이었다. 결론: Revision에 의한 수술방법은 2차적 재수술시 우선적으로 고려해보아야할 수술방법이다.

  • PDF

Concomitant Dual Origin and Fenestration of the Left Vertebral Artery Resembling Dissection

  • Kim, Dae-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5호
    • /
    • pp.498-500
    • /
    • 2009
  • Dual origin and fenestration of the vertebral artery (VA) are very rare anomalies. Understanding of these variations, however, is important because they can be misdiagnosed as a VA dissection. A 42-year-old woman presented with motor weakness and sensory disturbance of the right upper extremity. Radiologic evaluations showed ectatic change in the right VA and an arteriovenous fistula between the right VA and the vertebral vein. We decided on endovascular occlusion of the proximal right VA and its fistulous portion. During the endovascular procedure, we had misunderstood the dual origin and fenestration of the VA as a dissection. Thus, failure to recognize these anomalies might result in unnecessary anticoagulation or therapeutic intervention. Clinicians should be alert to such VA variations when making a diagnosis and when planning any intervention or surgery involving the proximal VA.

Renal Subcapsular Hematoma after Percutaneous Transfemoral Angiography

  • Yi, Jin-Seok;Lee, Hyung-Jin;Lee, Hong-Jae;Yang, Ji-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5권2호
    • /
    • pp.96-98
    • /
    • 2014
  • Vascular complications after percutaneous angiography include hematoma, pseudoaneurysm, arteriovenous fistula, thromboembolism, arterial laceration and infection. Hematomas may occur in the groin, thigh, retroperitoneal, intraperitoneal, or abdominal wall. A 54-year-old female underwent percutaneous transfemoral angiography for the evaluation of cerebral aneurysm. Renal subcapsular hematoma developed 3 hours after the procedure. Renal subcapsular hematoma after percutaneous angiography is very rare.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causes of renal subcapsular hematoma. To avoid this rare complication, we need to perform guide-wire passage carefully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cedure under full visual monitoring.

Exacerbation of spasticity in ipsilateral shoulder after right brachial plexus block in a patient with right hemiplegia

  • Park, Sang-Jin;Baek, Jong-Y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22-25
    • /
    • 2015
  • Spasticity is a common impairment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Clinical observation has demonstrated that spasticity can be aggrava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emotional state as well as noxious stimuli. A 51-year-old male patient was scheduled for arteriovenous fistula surgery. He had right hemiplegia including motor weakness and spasticity. It was decided that the surgery would be performed under an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BPB). He appeared nervous when blockade was terminated. The spasticity of the right shoulder increased after ipsilateral BPB. However, when we administered sedative drugs and performed interscalene BPB 2 days later, spasticity did not occur. Exacerbation of spasticity might be evoked by an anxious emotional state. Thus, it seems to be good to consider removing of anxiety and using an appropriate approach when it is tried to perform nerve blocks in individuals with spasticity.

세퍼드 잡종견에 발생한 복합적 선천성 심장기형의 일예 (A Case of Complicated Congenital Cardiac Anormaly Occurred in Shepherd Mongrel Dog)

  • 김덕환;김교준;권오덕;전무형;박청희;이병철;최희인;박경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118
    • /
    • 1988
  • One four-month-old female shepherd mongrel dog with chief complaints of abdominal distension and dysponea was referred. The authors performed physical examination, hematological examination, X-ray examination, exploratory laparotomy, electrocardiography and angiography as antemortem investigation in addition to postmortem examination. This patient revealed complicated congenital cardiac anormaly including patent ductus arteriosus, both atrial and ventricular hypertrophy, distension in the base of the pulmonary artery, pulmonary stenosis, aortic insufficiency, patent foramen ovate and 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

  • PDF

이소성증후군에서의 심장외도관 폰탄 수술의 결과 (The Results of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 in the Patients with Heterotaxy Syndrome)

  • 임홍국;김수진;이창하;김웅한;황성욱;이철;오삼세;백만종;나찬영;김재현;서홍주;정성철;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29-537
    • /
    • 2005
  • 배경: 이소성증후군과 기능적 단심실을 동반한 환자들은 체정맥 또는 폐정맥의 연결이상, 폐쇄부전을 동반한 공통 방실판막, 우심실형의 단심실과 부정맥이 많이 동반되어 폰탄 수술의 결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환자들에 대한 심장외 도관 폰탄 수술의 치근 결과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5년까지 기능적 단심실로 폰탄 수술을 받은 62명(연령: $54.79\pm33.97$개월)의 이소성증후군 환자들에 대하여 심장외 도관 폰탄 수술을 시행하였다. 좌측 이소성 환자가 21명이었고, 우측 이소성 환자가 41명이었다. 2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들에서 양방향성 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을 시행하였으며, 천공은 좌측 이소성에서 더 적게 필요하였다. 걸과: 좌측 이소성 군에서 하대정맥 단절과 폐동정맥루가 더 많았으며, 우측 이소성 군에서 페정맥의 연결 이상,공통 방실판막과 우심실형의 단심실이 더 많았다. 병원 내 사망은 3예$(4.8\%)$였으며, $48.8\pm31.0$개월간 추적 관찰하여 만기 사망은 3예$(5.2\%)$였다. 누적생존율은 8년에 좌측 이소성에서 $90.5\pm6.4\%$와 우측 이소성에서 $88.6\pm5.4\%$로 차이가 없었다(p=0.94). 재수술의 자유도는 8년에 좌측이소성에서 $73.9\pm11.3\%$와 우측 이소성에서 $82.3\pm6.7\%$ 로 차이가 없었다(p=0.87). 술 후 이소성증후군에서 방실판막 페쇄부전이 진행하였으며, 좌측 이소성 군에서는 폐동정맥루에 대한 재수술과 동결절 기능장애에 의한 인공심박조율기 삽입이 더 필요하였다. 걸론: 이소성증후군이 있는 기능적 단심실 환자는 심장외 도관 폰탄 수술, 천공, 단계적 수술과 동반된 기형의 적극적인 수술로 폰탄 수술 후 생존율은 호전되었다. 그러나 수술 후 방실판막 폐쇄부전, 부정맥, 그리고 페동정맥루에 대한 술 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척수 원추부에 발생한 척수내 병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감별 진단 (Intramedullary Spinal Lesions Involving the Conus Medullaris: MR Imaging Features for Differential Diagnosis)

  • 은나래;안성준;정태섭;조용은;김근수;구성욱;서상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2호
    • /
    • pp.144-150
    • /
    • 2014
  • 목적: 척수 원추부에 국한된 척수내 병변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드물다. 이 논문에서는 척수 원추부에 국한된 척추내 병변인 상의세포종, 혈관모세포종, 유피낭종, 종말 뇌실, 척추 동정맥류 등 6 증례의 자기공명영상의 다양한 소견을 보고하고 감별점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본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총 6명의 환자 (남:여 = 4:2, 평균연령 = 44.3세)가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의 방사선학적소견과 임상증상 등을 각각 검토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술 전 후 가돌리늄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종양 크기, 위치, 자기공명 신호강도, 혈관성 유동공백의 유무, 관 혹은 낭의 존재 유무, 부종의 존재 유무, 조영증강 양상에 따라 영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조영 증강은 모든 척수내 병변에 나타났다. 2 증례의 혈관모세포종에서 편심적 조영증강 결절이 보였으며 종말 뇌실 증례에서 흔치 않은 테두리 조영증강과 격막이 보였다. 척추 동정맥류에서는 반점형 조영증강이 관찰되었다. 3개의 증례에서 척수내 병변에 근접하여 광범위한 척수 부종과 수관이 보였다. 2 증례의 혈관모세포종과 1 증례의 척추 동정맥류에서 혈관성 유동공백이 관찰되었다. 결론: 척수 원추부에 있는 척수내 질환을 평가하는데 있어 이러한 드문 자기공명영상의 특징과 다양한 병리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부전에서의 비피복형 스텐트: 접근로 종류와 스텐트 위치에 따른 개통률 평가 (Bare-Metal Stent in Dysfunctional Hemodialysis Access: An Assessment of Circuit Patency according to Access Type and Stent Location)

  • 이경민;원제환;권요한;이수형;방준배;김진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197-211
    • /
    • 2023
  • 목적 기능장애 혈액투석 접근로에서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접근로 유형과 스텐트의 위치에 따른 개통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과 2019년 12월 사이에 159명의 환자(평균 연령, 64.1 ± 13.2세)가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장애를 치료를 위해 나이티놀 스텐트를 설치하였다. 스텐트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18개 팔머리 정맥, 51개 노쪽피부정맥궁, 40개 위팔 정맥, 10개 문합부위 인접 정맥, 7개 동정맥 문합부 및 33개 인조혈관-정맥 문합부. 12개월 개통률은 카플란-마이어 방법과 콕스 회귀 모델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159개의 스텐트가 103개의 자가동정맥루와 56개의 인조혈관접근로에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 인조혈관접근로는 자가동정맥루에 비해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이 더 낮았다(일차 개통률; 25.0%대 44.7%; p = 0.005, 이차 개통률; 76.8%대 92.2%; p = 0.014). 스텐트 설치 후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12개월 일차 개통성이 불량하였다. 결론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자가동정맥루는 인조혈관접근로와 비교하여 더 좋은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을 보인다.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의 스텐트는 다른 위치의 스텐트에 비해 더 낮은 12개월 일차 개통률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