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 information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비교 연구 (A Competitive Study on the Linkage Effects of Primary Industry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임지원;이상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03-118
    • /
    • 2018
  • 본 논문은 세계산업연관표의 전후방연쇄효과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1차 산업의 산업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본 논문은 1차 산업 분야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의 산업연쇄효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isher(1939)와 Clark(1957)의 1차 산업 분류에 따라 1차 산업을 농림축산업, 임업, 수산업, 광업으로 분류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한국, 중국, 일본 3국간 산업연관모형을 만든 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농림축산업, 광업은 한국, 중국, 일본 각 국가별로 전 후방 연쇄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임업과 수산업의 경우 한국, 중국, 일본의 전 후방 연쇄효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차 산업의 산업의존도 변화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산업의 전방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를 IO 분석을 통해 각 국가별로 비교함으로서 향후 1차 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판 중인 구강청결티슈의 세포 독성 관찰 (The Cytotoxic Effect of Oral Wet Wipes on Gingival Cells)

  • 정임희;박지현;이민경;황영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6-84
    • /
    • 2018
  • 구강위생을 위한 간편성과 편리성 때문에 영유아에서 건강취약자 및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구강청결티슈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본 성분인 정제수 외에도 구강위생에 도움이 될 목적으로 다양한 기능 성분이 첨가된 구강청결티슈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함유 성분에 대한 제공정보가 부족하고 함유량 기준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제품에 대한 연구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도가 높은 시판 구강청결티슈 5종에 대한 구강세포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사용 시 유의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은 구강미생물 S. mutans 및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냈지만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냈다. 항균작용이 제한적인 궁중비책, 마이비, 아이수 제품 성분은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 대한 독성도 낮았다.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에 의한 구강세포 독성은 G2/M phase에서 세포주기 진행 억제와 세포자멸 유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한 반복적이고 빈번한 사용은 구강세포 독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의무기록 정보를 활용한 순사망환자 주호소 증상과 진단명과의 연관성에 관한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ef complaint of pure death patients using medical record information)

  • 김용하;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407-414
    • /
    • 2015
  • 이 연구는 순사망환자의 주진단에 관한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병원 의료의 질 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전광역시 소재 K 대학병원에서 2011년, 2012년, 2013년 3년 동안 사망한 환자 1992명 중 순사망한 428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카이제곱검정 및 fisher의 정확한 검정과 정준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과 주진단 상위 4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주진단 중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J18)과 살충제의 독작용(T60)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J18)에서는 자동차보험, 15-29세 사이, 건강보험, 의료급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p<0.001), 살충제의 독작용(T60)에서는 건강보험, 의료급여, 자동차보험, 45-59세, 세종충남 등의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노인인구의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응급의료전달의 체계적인 구축시켜 순사망환자를 감소시켜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천해 배경잡음 환경에 적합한 과도신호의 특징 및 변별력 분석 (Analysis of Features and Discriminability of Transient Signals for a Shallow Water Ambient Noise Environment)

  • 이재일;강윤정;이종현;이승우;배진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7호
    • /
    • pp.209-2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천해 배경잡음 환경에서 과도신호 분류에 적합한 특징 선택을 위해 특징의 변별력을 분석하였다. 과도신호 분류는 해양환경 특성상 낮은 신호대잡음비(SNR)를 가지므로 잡음변화에 강인한 특징이 요구된다. 천해 배경잡음을 모델링하기 위해 이론적인 잡음 모델과 Wenz의 천해 관측 자료 그리고 Yule walker 필터를 이용하였다. 과도신호의 SNR에 따른 각 특징의 변별력은 Fisher sco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별력이 높은 특징을 선택하여 24 클래스의 과도신호원에 대한 분류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잡음이 없는 환경에서 선택된 특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선택된 특징은 전체 28가지 특징 중 16가지 특징이 선택되었다. 다중 클래스 SVM분류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특징의 인식률 분석결과 과도신호의 SNR 20dB 환경에서 약92%의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원거리 무인기 신호 식별을 위한 특징추출 알고리즘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or Distant Unmmaned Aerial Vehicle Detection)

  • 김주호;이기배;배진호;이종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114-12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의 엔진 음향 신호를 탐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특징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한다. 엔진 음향신호는 기본주파수와 배음이 정수배 관계를 갖는 조화 복합음(Harmonic complex tone)으로 구성되며, 각 주파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연속적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기본주파수의 정수배와 실제 배음 주파수 차이의 평균과 분산, 주파수 변화량 등으로 구성된 특징벡터를 제안하였다. 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한 특징벡터는 목표신호와 다양한 간섭 신호에 대해 우수한 변별력을 보였으며,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변하는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원거리에서 실측된 엔진 음향신호로 부터 특징의 Fisher score를 계산하여 변별력을 비교한 결과, 제안한 특징 중 주파수에 기반한 세 가지 특징들이 신호 대 잡음비가 낮은 상황에서도 높은 변별력을 보였다. ELM 분류기를 이용해 MFCC와의 인식 성능을 비교한 결과, 제안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모의 간섭신호에 대한 오류율이 37.6% 개선되었다. 또한 신호대 잡음비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MFCC에 비해 4.5 dB 낮은 시점에서 목표신호 탐지가 가능하였다.

Cognitive Investigation Study of Patients Admitted for Cosmetic Surgery: Information, Expectations, and Consent for Treatment

  • Barone, Mauro;Cogliandro, Annalisa;La Monaca, Giuseppe;Tambone, Vittoradolfo;Persichetti, Paol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46-51
    • /
    • 2015
  • Background In all branches of medicine, it is the surgeon's responsibility to provide the patient with accurate information before surgery.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in cosmetic surgery because the surgeon must focus on the aesthetic results desired by the patient. Methods An experimental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an original questionnaire given to 72 patients. The nature of the responses, the patients' motivation and expectations, the degree of patient awareness regarding the planned operation, and the patients' perceptions of the purpose of the required consent for cosmetic surgery were all analyzed using Fisher's exact test. Results Candidates for abdominal wall surgery had significantly more preoperative psychological problems than their counterparts did (P=0.035). A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ntage of patients under 40 years of age compared to those over 40 years of age searched for additional sources of information prior to the operation (P=0.046). Only 30% of patients with a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stated that the preoperative information had been adequate, whereas 92% of subjects with secondary schooling or a postsecondary degree felt that the information was sufficient (P=0.00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present between patient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regarding expected improvements in their quality of life postoperatively (P=0.008).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atients require more attention in presurgical consultations and that clear communication should be prioritized to ensure that the surgeon understands the patient's expectations.

식품의 잔류농약 및 유해중금속의 오염인식도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The Recognition Level of Food Contamination with Residual Pesticides and Hazardous Heavy Metals in Taejon Area)

  • 한장일;김성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54-465
    • /
    • 199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 of food contamination with residual pesticides and hazardous heavy metals from 365 male and female adults in Taejon area using questionnaires. Among the recognizing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overall foods, 69.1% were 'serious', 25.6% were 'average' and 5.3% were 'not serious'. Over 94.7% of the subjects recognized residual pesticides pollution infoods. for hazardous heavy metals in food, 47.8% responsed as 'serious', 40.5% as 'average' and 11.8 as ' not serious' . Over 88.3% of the subjects recognized contaminated pesticides seriously in fruits, 72.1% in vegetables and 51.7% in cereals, whereas 55.7% of the subjects recognized hazardous heavy metal contamination seriously in fruits, 53.4% in vegetables, 40.8% in fishes and shellfishes and 35.0% in seaweeds. The subjects recognized residual pesticides contamination more seriously in overall foods, cereal, potatoes and starches, bean, vegetables and fruits, whereas hazardous heavy metal contamination was recognized more seriously in fishes and shellfishes, and seaweeds food groups. Comparisons were shown based on individuial's occupation. Farmer, forester, iner and fisher showed the lowest recognizing level of food contamination in most food groups. The mean score of the dietary effect by mass media's information on food contamination from residual pesticides and hazardous heavy metals were 3.51±0.96 out of 5 point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ex, age, marriage, food cost per month, concerns about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effect score at p<0.05. According to a pesticides contamination in several food groups were affected by food cost per month, mass media's information on food contamination, health status, and concerns about health, But a recognition level of hazardous heavy metals in food were affected by income and, food cost per month mass media's information on food contamination, health status, concern about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People who need to take extreme precautions of food contamination were in order of producers, government officials, homemakers, the consumer's association and consumers.

  • PDF

유전자 발현 메트릭에 기반한 모수적 방식의 유의 유전자 집합 검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arametric Methods for Significant Gene Set Identification Depending on Various Expression Metrics)

  • 김재영;신미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10
  • 최근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두 개의 샘플 그룹간에 유의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생물학적 기능 그룹을 검출하기 위한 유전자 집합 분석(gene set analysis) 연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유의 유전자 검출 연구와는 달리, 유전자 집합 분석 연구는 유의한 유전자 집합과 이들의 기능적 특징을 함께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PAGE, GSEA 등과 같은 다양한 통계적 방식의 유전자 집합 분석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PAGE의 경우 두 샘플 그룹간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스코어의 분포가 정규 분포임을 가정하는 모수적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GSEA 등과 같은 비모수적 방식에 비해 계산량이 적고 성능이 비교적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PAGE에서 유전자 발현 차이를 정량화하기 위한 메트릭으로 사용하고 있는 AD(average difference)의 경우, 두 그룹간에 절대적 평균 발현 차이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실제 유전자의 발현값 크기나 분산의 크기에 따른 상대적 중요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제 유전자의 발현값 크기나 그룹 내 샘플들의 분산 정보 등을 스코어 계산에 함께 반영하는 WAD(weighted average difference), FC(Fisher's criterion), 그리고 Abs_SNR(Absolute value of signal-to-noise ratio)을 모수적 방식의 유전자 집합 분석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유의 유전자 집합 검출 결과를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Assessment of the proximity between the mandibular third molar and inferior alveolar canal using preoperative 3D-CT to prevent inferior alveolar nerve damage

  • Lee, Byeongmin;Park, Youngju;Ahn, Janghoon;Chun, Jihyun;Park, Suhyun;Kim, Minjin;Jo, Youngserk;Ahn, Somi;Kim, Beulha;Choi, Sungbae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30.1-30.7
    • /
    • 2015
  • Background: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AN) may be injured during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causing seve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ny methods have been described for evaluating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inferior alveolar canal (IAC) on panoramic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but conventional radiography provides limited information on the proximity of these two structur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benefits of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prior to surgical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to prevent IAN damage.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4917 extractions in 3555 patients who presented for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The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ular third molars and the IAC on panoramic radiography and whether 3D-CT was performed. Symptoms of IAN damage were assessed using the touch-recognition test. Data were compar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Among the 32 cases of IAN damage, 6 cases were included in group I (0.35 %, n = 1735 cases), 23 cases in group II (1.1 %, n = 2063 cases), and 3 cases in group III (0.27 %, n = 1119 cases). The chi-square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IAN damage between groups I and I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I and III using Fisher's exact test. In the 6 cases of IAN damage in group I, the mandibular third molar roots were located lingual relative to the IAC in 3 cases and middle relative to the IAC in 3 cases. The overlap was ${\geq}2mm$ in 3 of 6 cases and 0-2 mm in the remaining 3 cases.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third molar and IAC was 2.2 mm, the maximum distance 12 mm, and the minimum distance 0.5 mm. Greater than 80 % recovery was observed in 15 of 32 (46.8 %) cases of IAN damage. Conclusions: 3D-CT may be a useful tool for assessing the three-dimensional anatomical relationship and proximity between the mandibular third molar and IAC in order to prevent IAN damage during extrac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s.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Obesity of the Elderly)

  • 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4-2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적정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J시에 위치한 2개소의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1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4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지 조사와 신체계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CES-D, RULS, BP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2-test$, Fisher' exact test, Pearson's correlation, Logistic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23.59{\pm}3.48$이었으며, 31.9%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과 비만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는 연령(${\chi}^2=8.16$, p=.003), 성별(${\chi}^2=9.27$, p=.002), 흡연 유무(${\chi}^2=7.78$, p=.004), 우울(t=2.54, p=.012)과 사회적 고립감(t=2.98, p=.003)이었고, 우울 (OR,1.04; 95% CI,1.00-1.09)과 사회적 고립감(OR,1.06; 95%CI,1.02-1.11)은 비만의 위험을 높이는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인구에서의 비만관리를 위하여 우울과 사회적 관계를 적절히 파악하고 측정해야 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체중관리 프로그램 및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