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 consistenc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A Note on Linear SVM in Gaussian Classes

  • Jeon, Yongh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0권3호
    • /
    • pp.225-233
    • /
    • 2013
  • The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SVM) is motivated by the maximal margin separating hyperplane and is a popular tool for binary classification tasks. Many studies exist on the consistency properties of SVM; however, it is unknown whether the linear SVM is consistent for estimating the optimal classification boundary even in the simple case of two Gaussian classes with a common covariance, where the optimal classification boundary is linear.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linear SVM can be inconsistent in the univariate Gaussian classification problem with a common variance, even when the best tuning parameter is used.

A model-free soft classification with a functional predictor

  • Lee, Eugene;Shin, Seung J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6권6호
    • /
    • pp.635-644
    • /
    • 2019
  • Class probability is a fundamental target in classification that contains complete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class probability estimation method when the predictor is functional. Motivated by Wang et al. (Biometrika, 95, 149-167, 2007), our estimator is obtained by training a sequence of functional weighted support vector machines (FWSVM) with different weights, which can be justified by the Fisher consistency of the hinge loss. The proposed method can be extended to multiclass classification via pairwise coupling proposed by Wu et a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5, 975-1005, 2004). The use of FWSVM makes our method model-free as well as computationally efficient due to the piecewise linearity of the FWSVM solutions as functions of the weight. Numerical investigation to both synthetic and real data show the advantageous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쇼핑백의 브랜드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숙녀복 정장과 캐주얼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Brand Image Which is Manifested in Package)

  • 김진원;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95-910
    • /
    • 1995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19, No. 6 (1995) p. 895~910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stimate the consistency between brand image and shopping bag image, and also to find out the important factors which constructed the brand imag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female students of moi or universities in Seoul. Frequency,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1-test, ANOVA, Fisher's LSD, Coster analysis, MDS a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Brand image was devised into three factors: personality/modernity, nobility and usability. 2) The rate of consistency of brand image and shopping bag image was high in the brands of Benetton, System, Cresson, Be-art, Tomboy, Guess, Esprit, Anacapri, Mercoledi, Youngwoo in descending order. 3)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represent the brand image was the choice of color. 4) This study found that shopping bags can be advertising media because they think that shopping bag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walking advertising media on the street.

  • PDF

국제 금융위기 이후 KOSPI 상장회사들의 자본구조 결정요인 분석 (Financial Profile of Capital Structures for the Firms Listed in the KOSPI Market in South Korea)

  • 김한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29-844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유가증권시장(KOSPI 시장) 상장회사들의 국제금융위기 전, 후 기간의(2006년부터 2011년 사이)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대한 추세적 변화를 검정함이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국내,외 분석들과 비교하여, 본 연구는 패널자료분석을 이용한 동 시기를 기준으로한 표본회사들에 대한 분석이며, 결과들이 과거 연구들과 유사성을 보인다면 동 위기와 관계없는 일관성있는 결정요인으로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자본구조와 관련된 4가지 가설들(즉, 패널자료모형을 통한 결정요인분석, 미국발 금융위기 전,후의 자본구조의 구조적 변화분석, 수정된 '듀퐁 시스템'분석을 통한 요인별 분석, 그리고 국내 상장회사들의 부채비율 관련 해당산업 평균 또는 중앙값 회귀 등)이 각각 검정되었다. 패널자료 분석결과 장부가와 시장가 기준 모든 부채비율에서 음(-)의 수익성, 양(+)의 자산규모, 그리고 음(-)의 영업이익의 변동성 등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모형 결과 금융위기 전, 후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의 변화요인으로서 외국인 지분율, 기업의 자유현금흐름 등이 유의성있는 요인들로 분석되었다, 국내 KOSPI 상장회사들은 5년의 주기(cycle)로 해당산업 부채비율의 중심경향척도(특히, 중앙값)에 수렴하는 특성도 나타내었다.

Diagnostic Value of Susceptibility-Weighted MRI in Differentiating Cerebellopontine Angle Schwannoma from Meningioma

  • Seo, Minkook;Choi, Yangsean;Lee, Song;Kim, Bum-soo;Jang, Jinhee;Shin, Na-Young;Jung, So-Lyung;Ahn, Kook-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4권1호
    • /
    • pp.38-45
    • /
    • 2020
  • Background: Differentiation of cerebellopontine angle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is often a difficult process to identify. Purpose: To identify imaging features for distinguishing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an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SWI) in differentiating them.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10 and January 2015, this study pathologically confirmed 11 meningiomas and 20 schwannomas involving CPA with preoperative SWI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Generally, the following MRI features were evaluated: 1) maximal diameter on axial image, 2) angle between tumor border and adjacent petrous bone, 3) presence of intratumoral dark signal intensity on SWI, 4) tumor consistency, 5) blood-fluid level, 6) involvement of internal auditory canal (IAC), 7) dural tail, and 8) involvement of adjacent intracranial space. On CT, 1) presence of dilatation of IAC, 2) intratumoral calcification, and 3) adjacent hyperostosis were evaluated. All features were compared using Chi-squared tests and Fisher's exact tests.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imaging features that differentiate both tumors. Results: The results noted that schwannomas more frequently demonstrated dark spots on SWI (P = 0.025), cystic consistency (P = 0.034), and globular angle (P = 0.008); schwannomas showed more dilatation of internal auditory meatus and lack of calcification (P = 0.008 and P = 0.02, respectively). However, it was shown that dural tail was more common in meningiomas (P < 0.007). In general, dark spots on SWI and dural tail remained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P = 0.037 and P = 0.012,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mbination of two features showed 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80% and 100% respectively, with an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9. Conclusion: In conclusion, dark spots on SWI were found to be helpful in differentiating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It is noted that combining dural tail with dark spots on SWI yielded strong diagnostic value in differentiating both tumors.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입원 후 수면의 질과 수면양상의 변화 (Sleep Quality and Sleep Patterns of Patients Treated by the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최소은;박혜령;박호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1호
    • /
    • pp.37-44
    • /
    • 2005
  • 목적: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입원 후 수면양상의 변화 및 수면장애를 파악함으로써,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수면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서울 C대학병원에 2002년 8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조혈모세포이식를 위해 입원한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PSQI와 수면양상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원전과 입원 후의 PSQI 차이는 paired t-test로, 입원시와 퇴원시의 수면양상의 변화는 카이검정과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입원 후 한 달 동안 PSQI점수는 11.8점으로 입원 전 한달 동안의 5.3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11.41, P=0.0000). 7개의 항목 즉 수면의 질, 수면지연, 수면기간, 수면의 효율성, 수면장애, 수면제 복용, 일상생활의 장애 모두에서 입원 후 한달 동안의 PSQI점수는 입원 전 한달 동안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입원시와 퇴원시의 수면양상을 살펴보면 취침시각,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 기상시각, 총 수면시간, 낮잠 시간, 밤에 자다 깨는 횟수, 수면제 사용 횟수, 잠이 안 오면 하는 일, 수면을 취할 수 없는 이유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환자는 입원 후 PSQI에 의한 수면의 질 점수가 입원 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입원기간동안 수면에 어려움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면양상도 입원시에 비해 퇴원시 취침 시간,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 기상시각, 총 수면시간, 낮잠시간, 밤에 자다 깨는 횟수, 수면제사용횟수, 잠이 안 오면 하는 일, 수면을 취할 수 없는 이유의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재형 47명(17.0%), 가정형 34명(12.3%)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호스피스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해야 할 것이다.'(10면)이나, 비참석가족들은 '외로움(7명)', '경제적 문제/역할수행상의 어려움'(7명)의 빈도였다. 대처방법에서는, '영적 승화'(13명), '일상생활에의 몰두'(10명), '애도과정에의 몰입(계속 슬퍼함)'(3명)으로 응답하였다. 병원으로부터 사별가족모임의 초대장을 받았을 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반가움과 고마움'(21명), '슬픔'(4명), '괴로움'(4명), 무응답(11명)이었다. 비 참석 가족들은 '반가움과 고마움'(4명)이었다. 사별가족 모임 참석에 대한 망설임의 유무와 이유에 대해서는, '망설이지 않았다'(34명)가 '망설였다'(6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후의 소감, 개선사항, 아쉬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별가족에 대한 배려와 관심에 대해 감사한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할 수 있는 자리여서 좋았다.' '사별가족모임이 일년에 한 번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있었으면 한다.', '한편은 슬프고 한편은 기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별 후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 참석가족은, '우울감'(10명), '외로움'(7명)의 빈도가 높았고, '그리움'(1명), '경제적/역할상 어려움'(4명), 무응답(6명)으로, '우울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