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s test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25초

강릉시 5세 아동의 "조기 유아기 우식증" 관련 추정요인의 기술 역학적 연구 (A DESCRIPTIVE STUDY ON THE CONTRIBUTING FACTORS OF EARLY CHILDHOOD CARIES OF 5 YEARS CHILDREN IN KANGNUNG CITY)

  • 박진아;마득상;박덕영;박호원;이광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6-23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조기 유아기 우식증의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일치된 조기 유아기 우식증의 정의를 수립하는데 기초연구로서 층화집락추출법으로 선출된 강릉시 만 5세 유치원 아동들의 보호자 364명을 대상으로 이들 아동들의 조기 유아기 우식증과 관련된 행동 식이 요인, 태아기나 출생기의 상태에 대한 설문조사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의 4분의 3이상(76.1%)의 아동이 생후 12개월 이후까지 연장된 수유를 하였으나 수면과 연관된 부적절한 수유의 빈도는 21.3%로 낮게 나타났다. 2. 대부분 보호자들(91.3%)이 이가 날 때부터 이를 닦아 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맹출 직후 이를 닦기 시작한 경우는 35.1%에 지나지 않고 특히 2세 이후에야 이닦기를 시작하는 경우가 약 40%이상으로 조사되었다. 3. 현재 하루 칫솔질 회수는 1회 이상이 90%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5명 중 3명의 아동(61.4%)이 보호자의 도움 없이 혼자 이를 닦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식섭취 빈도는 하루 1-3회가 약 60%, 수시로 섭취하는 대상이 약40%를 차지하여 비교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x^2-test$, p<.05 or Fisher's exact test, p>.05). 4. 대부분(87%)의 첫 치과방문시기가 3세 이상인 경우로 나타나, 조기 유아기 우식증 예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5세 아동의 예방적 치과방문 경험이 비교적 높은 것(40.2%)으로 보아 강릉지역 보호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높은 의식수준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5. 보호자의 구강환경관리상태와 아동의 일일 평균 칫솔질 회수, 예방적 치과방문, 최초 치과 방문 시기와의 상관관계 및 지역별, 공사립 유치원별 및 남녀별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x^2-test$, p>.05 or Fisher's exact test, p>.05).

  • PDF

일 지역 보건소 내원 영유아의 발달지연의심 예측요인 (Predicting Factors of Developmental Delay in Infant and Early Children)

  • 주현옥;박유경;김동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2-20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의 발달지연의심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영유아의 성장발달 지연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B시 16개구 보건소를 방문한 0-6세까지의 영유아와 그의 어머니로 총 133명이었고, 영유아의 발달검사를 위해서는 한국형 덴버 II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chi}^2$-test와 Fisher's exact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신체계측 결과 체중 3백분위 미만은 7.5%였고, 현재체중 백분위가 출생시 체중백분위보다 성장곡선 두 칸 이상 감소한 경우는 8.4%였다. 한국형 덴버 II 결과에 의한 발달지연의심 비율은 9.8%였다. 영유아의 발달지연의심 예측요인은 체중백분위 변화, 경제상태,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발달상태였다. 즉, 출생시 체중백분위가 '감소'하는 경우가 '유지'되는 경우보다 발달지연의심이 나타날 확률이 6.69배 높았고, 경제상태가 '하'인 경우가 '중'인 경우보다 발달지연의심이 나타날 확률이 6.26배 높았으며, 어머니가 지각한 아기의 발달상태가 '의심'인 경우가 '정상'인 경우보다 발달지연의심 비율이 4.99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영유아들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출생 시부터 주기적으로 아동의 성장발달상태를 관리하는 정부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특히 저소득층 및 1세 이하의 영아들을 위한 보다 짧은 주기의 성장발달평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사를 위한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 최수경;김진;김세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67-77
    • /
    • 2019
  • 본 연구는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G 광역시 C대학의 간호학 학사학위과정 중에 있는 간호사 63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이었다. 실험군은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에 7회기 동안 참석하였으며, 회기는 회당 90분, 주 1회, 7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군의 자료 수집과 실험 처치는 2017년 10월 10일부터 12월 5일까지 시행되었고 대조군은 2018년 4월 24일에 사전조사, 6월 5일에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존적 안녕(p<.025)과 영적간호역량(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실존적 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액원 노동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 관련 요인: 긍정심리자본,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job stress Among Korean Red Cross Workers)

  • 김정애;황지원;박민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75-83
    • /
    • 2020
  • 본 연구는 혈액원 노동자들의 건강한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작성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설문지는 2020년 9월 8일부터 10월 31일까지 215부가 수집되었다.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으로 카이제곱검정 및 피셔정확검정(Chi-squared test or Fisher's extract test), 독립표본 t-test,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Mutiple Logistic Regression)을 하였다. 관련 요인 보정 후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업무특성과 주관적 건강 상태와는 관련성이 없었으며, 불건강군과 건강군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각각 보였다(p<.001, p<.001). 긍정심리자본이 한 단위 증가할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의 양호한 건강군의 오즈비는 1.1배[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직무스트레스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의 양호한 건강군의 오즈비는 0.9배로[95% confidence interval (CI): 0.8-0.9]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의 신체·심리기능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ultifactorial Fall Prevention Program on Physical·Psychological Function and Home Environmental Hazards in Community Dwelling Low-income Elderly)

  • 김소남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377-395
    • /
    • 2012
  • 본 연구는 열악한 생활환경과 신체적·심리적 기능의 저하로 인해 낙상 사고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저소득층 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에 대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MFPP)을 개발하고, 개발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신체적·심리적·환경적 요인과 낙상횟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노인에게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근력강화운동, 낙상예방 효능감 증진을 통한 심리적 기능 강화를 위한 정서지지, 낙상예방과 운동행위에 대한 인지적 변화 유도를 위한 낙상예방교육, 안전한 가정환경 유지를 위한 가정환경관리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주 1회 하루 70분~90분씩 총 8주 동안 제공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직접 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각각의 다면적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시 1개구 보건소에 등록된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선정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6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Fisher's exact test,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COVA,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낙상횟수가 감소하였으며, 균형감과 낙상예방효능감이 증진되었고, 가정환경위험요인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노인 간호 현장에서 활용한다면 저소득층 노인의 낙상예방에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저소득층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urse Presence 프로그램이 산부인과 수술환자의 불안 및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e Presence Program on Anxiety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Surgery)

  • 김윤정;조계화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26-333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urse Presence (NP) program on anxiety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surgery. Methods: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The patients were 25-65 years old who had undergone gynecological surgery with general anesthesi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30) and the control group (n=30).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one sample t-test.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and heart rate and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pressure or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 NP program. Conclusion: Nurse Presence program decreased pulse rate which is a physiological indicator by relieving the anxiety of the patients before gynecological surgery. Thus, this intervention is effective to relieve anxiety of the patients before gynecological surgery and should be utilized in clinics.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 서인주;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8-2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o evaluate its efficacy. Method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comprised of eight 100-minute weekly sessions. Each session included understanding of health responsibility, nutrition, physical ac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stress management, and self actualiz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s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The outcome variables were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status, acculturation, self efficacy, and perceived barrier. The participants were 15 immigrant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Data was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 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U=-3.08, p=.002), left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right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low back flexibility (U=-3.37, p=.001), social health status (U=-3.38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U=-2.17 p=.030)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physical health status, soci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the developed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s to be applied to married immigrant women in other kinds nursing care settings in future research.

기마사지요법이 고혈압 환자의 생리·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Qi Massage Program on the Physio-psychological State of Industrial Employees with Hypertension)

  • 한윤주;강경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73-80
    • /
    • 2014
  •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hysio-psychological effects of applying a qi massage program as an independent complementary intervention for employees with hypertension in a workplace.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pre- and post-tests.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August 18 to October 10, 2008 on hypertensive employees being treated with a qi massage program in a company. The control group was recruited first to prevent treatment diffus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sequently recruited and received individual treatment for 30 minut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16.0 version. ${\chi}^2$-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 Fisher's exact test and paired t-tes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intervention on patients who are treated with the qi massage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in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pressu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an di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qi massage progra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lementary intervention to effectively treat hypertensive persons.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이 산후조리원 이용 초산모의 양육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 김현경;정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5-134
    • /
    • 2007
  •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Method: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ubjects were 29 primiparas selected from a postpartum care center in D and P hospitals in Ulsan. The intervention was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education with a booklet, demonstration, watching a video, and verbal encouragement. The outcome variables were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Data was collected from Feb. 1 to Mar 22 in 2005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by researcher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chang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in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this program should be applied in postpartum care centers.

설계유형에 따른 향기요법의 효과 (Comparing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Dysmenorrhea by Research Design)

  • 최은희;서지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4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dysmenorrhea by research design. Methods: Findings from the two different research design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NCG] design vs. two-group crossover design) were compared in regard to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dysmenorrhea. The subjects of the NCG design and the crossover design were a total of 58 female nursing students. The treatments (aroma essential oil inhalation and carrier oil inhalation) were given using a neckla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t-test, Mann-Whitney test, paired t-test, and Shapiro-Wilk test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The effect size for the two research designs was calculated. Results: In both research designs, the level of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after the aroma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after the placebo treatment. The effect size of the NCG desig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rossover design. Conclusion: Aroma inhalation may not be effective in managing dysmenorrhea and menstrual pain. In order to further clarify the efficiency of research design and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discomfort during menstruation, replication studies are necessary.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research design on non-interva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