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pot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Length-weight Relationships for 11 Fishes Caught by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 off Baekya Island, Korea

  • Yoon, Ho-Seop
    • 환경생물
    • /
    • 제31권2호
    • /
    • pp.154-157
    • /
    • 2013
  • Length-weight relationships were estimated for 11 fish species caught in Baekya Island, Korea. Samples were caught in depths of <15 m by fish pots between November 2008 and July 2009. The sampling gear, fish pots, is a widely used as commercial fishing gear in shallow waters of the region. The most abundant families were Hexagrammidae (20.7%), Cottidae (18.5%), Tetraodontidae (14.8%) and Scorpaenidae (13.3%). Estimates for parameter b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W=aL^b$) ranged between 2.454 and 3.361.

어류군집 조사 결과 비교를 통한 최적의 방법 선택 (Optimal selection of fish assemblage survey method through comparing the result)

  • 김재영;엄상민;김병모;최태섭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60권2호
    • /
    • pp.128-141
    • /
    • 2024
  • Fish resource surveys were conducted near Jeju Island in June, August and October 2021 using an underwater camera monitoring system, fish pots, and SCUBA diving methods. The efficiency of the methods used to survey fish resources was compared us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compared to area per unit time (inds/m3/h) and the number of species compared to area per unit time (spp./m3/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compared to the area per unit time (inds/m3/h), the order was underwater camera 214.69, SCUBA diving 124.62, and fish pots 0.57 inds/m3/h. The number of species compared to area per unit time (spp./m3/h) is in the following order: SCUBA diving 0.85, underwater camera 0.38, and fish pots 0.01 spp./m3/h. The fish resource monitoring method using underwater cameras was found to be more efficient in individual counts, and the SCUBA diving method was found to be more efficient in species counts. When considering cost and survey efficiency, the fish resource survey method using underwater cameras was judged to be more eff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estimat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fish, which is the core of future fisheries resource surveys.

동해 남부 연안해역 통발에서 채집된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과 연간변동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Pots in the Southern Coast of East Sea, Korea)

  • 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0-316
    • /
    • 2015
  • 본 연구는 동해 남부 연안해역 통발에서 채집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 및 연간변동을 조사하였다. 어류 시료는 2005년에서 2008년까지 계절별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4과에 속하는 32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붕장어 (Conger myriaster), 미역치 (Paracentropogon rubripinnis), 꼼치 (Liparis tanakae), 쌍동가리 (Parapercis sexfasciata), 먹장어 (Eptatretus burgeri), 청어 (Clupea pallasii pallasii)였으며, 이들 6종은 총채집개체수의 91.9%를 차지하였다. 어류 군집의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 다양도는 계절변동을 나타내었는데, 출현종수와 개체수는 2008년 8월에 가장 높았고, 생체량과 다양도는 2005년 8월에 가장 높았다. ANOSIM 분석 결과, 2008년 어류 종조성은 다른 년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계절별 채집 종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어통발의 깔대기 탄성과 유체역학적 특성 (Elasticity of the Funnel Ribs and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n the Sea Eel Pots)

  • 김용해;하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4호
    • /
    • pp.157-162
    • /
    • 1987
  • 장어통발의 P.P깔때기 살과 대나무 깔때기 살의 탄성을 측정하고 측면 구멍을 막은 통발과 원형의 유수저항, 침강시간 및 미끼의 냄새확산 등을 관찰한 다음 해상어획 시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P 깔때기 살의 탄성은 대나무 살보다 훨씬 작고, 하중이 증가할수록 탄성회복도는 감소하였다. 2. 플라스틱 장어통발의 유수저항 R(kg)는 유속 V(m/sec)에 따라 다음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0.36V 상(2.01) 3. 장어통발의 침강시간은 측면 구멍을 막은 경우 수면상에서의 완전 침수까지 1~2초 정도 원형보다 지연되나 그 후의 침강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4. 통발 내의 미끼 수용액은 측면 구멍을 많이 막을수록 원형보다 입구쪽으로 집중되어 확산되었다. 5. 측면 구멍을 일부 막은 통발과 원형을 가지고 어획시험을 한 결과 통발당 평균 어획미수나 평균어획량의 어획성능에 있어서 뻘로 된 어장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같다.

  • PDF

백령도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caught by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s off Baekryeong-do, Korea)

  • 박준;정경숙;김정년;임양재;김맹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4호
    • /
    • pp.306-314
    • /
    • 2018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at Baekryeong-do,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pots in 2016. A total of 42 species, 90,050 individuals and 2,351,666 g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d. Among them, there were 12 species and 3,826 individuals of fish, 15 species and 51,237 individuals of crustaceans, 2 species and 54 individuals of cephalopods, 7 species and 33,981 individuals of gastropods, 2 species and 757 individuals of echinodea, 2 species and 187 individuals of shellfish, and 1 species and 8 individuals of holothuroidea. The dominant species in number of individuals were Pagurus ochotensis, Neptunea cuming, Cancer gibbosulus, and Buccinum yokomaruae, which accounted for 70.0% of the total number individual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Neptunea cuming, Portunus trituberculatus, Cancer gibbosulus, and Pagurus ochotensis, which accounted for 65.3% of the total biomass collected.

장어통발 어업의 자동기계화에 관한 연구 (Mechanization of Fishing Operation on the Sea Eel Pots)

  • 하정식;김용해;장충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1호
    • /
    • pp.45-50
    • /
    • 1990
  • 장어 통발어업의 어로작업을 자동기계화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통발어선과 어구 및 어로작업시간 등을 설문 조사한 다음 각 단계별 어로작업시간을 측정\ulcorner분석하였으며, 자동기계화에 적당한 통발어구의 구조와 규격 등을 파악하기 위한 해상 시험조업으로 어획성능과 실용성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스틱 장어통발의 직경이 13cm인 대형통발과 11cm인 소형통발의 어획시험 결과 통발당 어획미수나 어획량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소형통발을 사용할 경우 유수저항을 20%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2. 외측돌기물에 의한 회전개폐식 입구의 경우 부설 중의 분실률은 끈으로 고정시키는 입구의 경우와 거의 같아 1% 정도이나, 회전개폐식의 작업시간은 훨씬 짧아서 3인이 하던 작업을 2인으로도 충분하였다. 3. 통발의 모릿줄에 다는 납침자와 돌을 제거하고, P\ulcorner P연심로프를 침강력이 동일하도록 납줄이 2~3가닥 들어 있는 연심로프 대체하면 고달이 부분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요철이 원만하게 되어 자동기계화에 의한 연속작업이 가능해진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3. 꽃게통발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3. Fishes Collected by Crab Pots-)

  • 안용락;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15-722
    • /
    • 2002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꽃게통발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채집된 어류는 26과 49종이었다. 붕장어 (Conger myriaster)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볼락 (Sebastes inermi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노래미(H. agrammus),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등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 6종이 전체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67.1\%$$69.4\%$를 차지하였다. 그 밖에도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 복섬 (Takifugu niphobles), 그물코쥐치 (Rudarisu ercodes),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 횐꼬리볼락 (Sebastes longispinis),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는 11월에 28종으로 가장 많았고, 7월에 14종으로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모두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개체수는 7월에 생체량은 9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종다양도지수는 연중 큰 변동이 없는 편이었으나, 채집 어종수가 적고 쥐치와 말쥐치가 극우점하였던 8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우리나라 경북 연안해역 문어통발 어업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octopus pot fishery in the coastal seas of Gyeongbuk, Korea)

  • 양재형;이수정;김병관;정정모;김성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2호
    • /
    • pp.95-105
    • /
    • 2022
  • In this study, the fishery status of the octopus pot fishery in the east coastal sea were investigated, and the fishing performance of each pot shap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fishery statu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listening surveys at Jukbyeon Port, Uljin Port and Pohang Daebo Port in Gyeongbuk Province, and the amount of fishing gear used, fishing method, size and loss of octopus pot fishery was investigated. On the east coastal sea, octopus is one of the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tocks and is caught in inshore pots, inshore combos, inshore gillnets and offshore pots. Among these fishing methods, pot fishing yields the highest catch. The shape of the pot differs depending on the region. In Uljin (Jukbyeon Port and Hupo Port), Gyeongbuk, rectangular type net pots are mainly used, and in Pohang (Daebo Port) in Gyeongbuk, drum-type pots are mostly used. Enteroctopus dofleini accounts for more than 90% of the catch of octopus. For the octopus fishing performance test by trap type, three types of traps (rectangular pot, drum pot and cylinder pot) were used on the coastal sea of Pohang Daebo. As a result, the total catch by pot shape was shown in the order of rectangular-type pot > drum-type pot > cylinder-type pot. The catch of octopus, the target species, was in the following order: rectangular-type pot > drum-type pot > cylinder-type pot. Such resul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Mann-Whitney test, p<0.05).

제주도 사계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격월별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 김맹진;한송헌;김준상;김병엽;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2-221
    • /
    • 2014
  • 제주도 사계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군집에서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삼중자망과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된 어획물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종조성은 총 10목 35과 60종이 출현하였고, 삼중자망에서 52종이 출현하였고 통발에서 20종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전체개체수는 1,921개체, 생체량은 324,206 g이었다. 이 가운데 개체수에서 우점한 5종은 황놀래기, 쏠종개, 어랭놀래기, 쏨뱅이, 가시복이었으며, 생체량에서는 가시복, 쏨뱅이, 쥐치, 황놀래기, 두줄촉수였다. 조사기간 중 어획된 전체어류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생체량과 이들 어류군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인 수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염분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수온이 올라가거나 염분이 떨어지면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그리고 생체량이 증가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수온기인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그리고 저수온기인 2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IoT를 활용한 가정용 열대어 아쿠아포닉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 Home Aquaponics of Tropical Fish Using IoT)

  • 김경현;한동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24-433
    • /
    • 2021
  • 본 연구는 상업적인 목적으로 미꾸라지, 잉어, 메기 등의 어종을 활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과 다르게 가정에서 반려어로 사육하는 열대 어종인 구피를 활용한 가정용 아쿠아포닉스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 논문이다. 가정에서 아쿠아포닉스의 적용이 쉽도록 사물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수조, 수초, 수경재배 화분, 식물생장용 LED, 아두이노 센서 등을 연결하여 시스템을 갖추었다. 수경재배 작물로는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소비할 수 있는 상추를 선택하였다. 열대어를 활용한 아쿠아포닉스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환경의 수경재배 작물을 대조군으로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열대어를 활용한 아쿠아포닉스 작물의 성장률은 수경재배 작물의 성장률 대비 77.4% 정도였으며 이것은 향후 사육 열대어의 수, 성장에 적절한 산도(pH) 조절 등의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 수경재배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이를 활용하여 가정에서 적용 가능한 아쿠아포닉스 표준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