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farm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4초

양식장 생육 환경관리를 위한 수중 드론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Underwater Drone for Fish Farm Growth Environment Management)

  • 유승혁;주영태;김종실;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59-966
    • /
    • 2020
  • 수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양식 산업이 급성장한 가운데 수산 양식 분야 ICT 융합을 통한 스마트 양식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양식장 현장에서 생육 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수중 드론의 구동부, 영상 수집 장치, 자세 안정화를 위한 통합 컨트롤러, 실시간 수중 영상을 통한 드론 조정 및 제어가 가능한 원격 관제 장치를 제안하고 설계, 개발 및 시험을 진행하였다. 수중 드론 활용을 통해 양식 산업에서 문제 되는 인력 수급 및 고비용 작업을 대체 할 수 있으며, 양식 폐사 확률을 줄여 안정적인 양식장 관리가 가능하다.

해산 어류 양식장 가두리의 DO수지 -곤리도 방어 양식장의 경우- (Dissolved Oxygen Budget in Floating Net Cage of Fish Farm at the Coastal Area -In case of yellow tail farm in Konli-Do-)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4
    • /
    • 1988
  • 본 연구는 1987년 9월 8일, 9일 양일간에 걸쳐 24시간 동안 곤리도 금성수산 방어 가두리 양식장에서 해산어류 양식장${\cdot}$가두리의 방양한도를 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는 용존산소 수지를 해석해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가두리에 수용된 당년생 방어 2,800kg이 1일간 소비하는 산소량은 $3.09g/m^3$였고, 가두리 안의 수체에 의하여 소비되는 산소량은 $1.24g/m^2{\cdot}day$였으며, 수중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생산공급된 산소량과 대기로 부터 해수중으로 녹아 들어간 산소량의 합계는 수중 유기물의 분해와 플랑크톤의 호흡을 포함하는 수조자체의 산소소비량의 $43\%$를 감당하는 수준이었고, 그 나머지 $57\%$와 사육어가 소비하는 다량의 산소는 가두리 안밖으로 교류하는 해수유동에 의하여 공급되고 있었다. 이 어장의 가두리에 수용할 어체량은 해수교환율에 의해 결정되는 듯이 보이며, 어장내의 조류에 대한 가두리 배치방식에 따라 해수교환율이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가두리마다의 해수유통에 따라 수용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위성영상 기반 해양수산 양식장의 경계 데이터 추출 (A Study on Extracting Boundary Data of Marine Fish Farms Based on Satellite Images)

  • 정성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77-883
    • /
    • 2023
  • 선박의 안전 운항과 해양수산 양식장 관리를 위해 해양수산 빅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해양수산 양식장의 경계를 추출한 데이터 셋은 어장 허가 구역과의 일치 여부 조사를 통해 선박의 운항 경로에 불법 설치 시 장애물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양 사고 등에 의한 피해보상을 위해 필요한 양식장 조업 여부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지자체에서는 어장도와의 중첩 비교를 통해 어장 관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한 전자해도에 물표 표시를 통해 운항 경로상의 장애물 파악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로써 활용이 높다. 이 연구에서는 양식장의 경계 추출을 위해 충분한 공간해상도를 가지며 짧은 주기로 반복하여 촬영하는 유럽항공우주국 (ESA; europe space agency)의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를 사용하였다. 영상 이미지에서 양식장의 주기별 현황 데이터의 생산을 위해 해상의 구역별 데이터를 부산권, 울산권, 거제·창원권, 고성·통영권, 남해·사천권의 5개 관리 구역으로 나누어 처리하였으며, 구역별 위성영상의 수집과 영상의 강조 처리 과정을 거쳐 양식장의 경계 데이터와 메타정보를 추출하였다.

스마트 양식장 깊이 제어 시스템 (Smart Fish Farm Depth Control System)

  • 김경수;김은혜;이용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29-23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해수면 온도에 따라 양식장의 깊이를 연장하여 어족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양식장 깊이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가두리 양식장의 경우 이상 고온현상에 의하여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 어족자원의 집단폐사를 가져온다. 해수면 온도가 어족자원의 폐사를 유발할 수 있는 온도에 이르면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양식장의 깊이를 5m 연장시켜 어족자원이 뜨거운 해수면을 피할 수 있도록 하며, 어족자원의 수확을 필요로 할 때에는 양식장을 해수면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시스템이다.

  • PDF

여윔증상 넙치 및 사육수 내 검출된 점액포자충(Enteromyxum leei and Parvicapsula anisocaudata)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myxosporean parasites (Enteromyxum leei and Parvicapsula anisocaudata) detected from emaciat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rearing water)

  • 이영준;전려진;김예지;한지은;이응준;정준범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1-168
    • /
    • 2021
  • Quantitative analysis of myxosporean parasites (Enteromyxum leei and Parvicapsula anisocaudata) were performed using real-time PCR on the internal organs (head kidney, body kidney, intestine, spleen, brain, liver, heart, muscle, blood, and eye) of emaciated Paralichthys olivaceus from farm-A. The highest DNA copy number of E. leei was shown in the intestine (1.3 × 108 copies/mg tissue) of emaciatied P. olivaceus and DNA copy number in the other internal organs (1.3 × 103~4.6 × 105 copies/mg tissue) showed lower than in intestine. From the result of real-time PCR for P. anisocaudata, it was considered mildly infected, due to the low DNA copy numbers of the head kidney (1.3 × 103 copies/mg tissue) and body kidney (9.1 × 103 copies/mg tissue).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myxosporean parasites can be detected in a non-invasive way, quantitative analysis of E. leei and P. anisocaudata from rearing water of three farms were performed by real-time PCR. The DNA copy number of E. leei from rearing water of farm-A and farm-B were 8 × 104 and 5 × 105 copies/L, respectively. However, it was not detected in farm-C. For P. anisocaudata from rearing water, farm-A, farm-B and farm-C showed 0, 2.0 × 106 and 5.1 × 106 copies/L, respectively.

2016년 소양호에서 채집한 자연산 잉어과 어류와 갑각류의 법정전염병 및 기생충성 질병 모니터링 (Monitoring Pathogen Infection of Freshwater Cyprinid Fish and Crustacean in Soyang Lake in 2016)

  • 문성희;허준욱;차승주;황성돈;손맹현;권준영;권세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7-53
    • /
    • 2018
  • The presence of pathogens in wild fish is a potential threat to the fish being raised nearby fish farm. Surveillance of these pathogens in the wild is, thus, highly important to keep fish in the farm safe from serious communicable diseases. Fish and crustacean were sampled 4 times at Soyang Lake in 2016. Pathogens for five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KHVD (koi herpesvirus disease), SVC (spring viraemia of carp), EUS (epizootic ulcerative syndrome) and WSD (white spot disease), and parasites were investigated. In Soyang Lake, pale chub Zacco platypus was the most abundant. Forty seven pale chub, 8 Korea piscivorous chub Opsarichthys uncirostris, 3 oily shiner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and 2 crucian carp Cyprinus carassius were investigated for detection of target diseases of fish. Seventeen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12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and 1 Chinese 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were used for detection of WSD. As the result,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were not detected in all the freshwater animals. Dactylogyrus was detected in Korea piscivorous chub. Copepoda was also detected in pale chub and Korea piscivorous chub. Metacercaria was detected in the pale chub sampled in September and October. Those were not metacercaria of liver fluke Clonorchis sinensis.

스마트 양식을 위한 딥러닝 기반 어류 검출 및 이동경로 추적 (Deep Learning based Fish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for Smart Aqua Farm)

  • 신영학;최정현;최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52-560
    • /
    • 2021
  • 현재 국내 수산 양식업은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여전히 양식 단계의 많은 과정에서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산 양식업 스마트화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양식장 내 물고기들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어류 개체 수, 크기, 이동경로, 이동속도 등을 파악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면 사료 자동 급이, 질병유무판단 등 다양한 양식자동화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촬영한 어류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어류의 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어류 객체검출을 위해 딥러닝 기반 최신 객체검출 모델들을 적용하여 검출 성능을 비교 평가 하였고,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비디오내의 연속적인 이미지 프레임에서 어류 객체 ID부여, 이동경로 추적 및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객체 검출 성능 92%(F1-score 기준)를 보였으며, 실제 테스트비디오 상에서 실시간으로 다수의 어류 객체를 효과적으로 추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향후 사료 자동 급이, 어류 질병 예측 등 다양한 스마트양식 기술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피볼낙(Sebastes schlegeli)에 유행(流行)한 Lymphocystis병에 대(對)하여 (Studies on Lymphocystis Diseases in Sebastes schlegeli)

  • 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3-76
    • /
    • 1988
  • There prevailed lymphocystis disease with 1 to 2cm in size in the skin and pins of cultured Sebastes schlegeli in fish farms in Tongyoung-gun, Sanyang-myeon, Kon-ri from summer, 1987 to fall, 1988.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each fish farm, this disease prevailed widely from immature fish to mature fish, less than 10cm to 30cm in body length with about 8 through 80% of infection rate. Sebastes schlegeli with the lymphocystis disease showed combined nipple-shaped mass by doubly, triply propagated lymphocystis. But the author considered that lymphocystis disease was not a direct cause of death of Sebastes schlegeli, the fish showed marked inflammation by seconary infection of pathogenic organisms.

  • PDF

가두리 양식장의 Vibrio vulnificus 검출 및 제어 방법 (Detection of Vibrio vulnificus in Fish Farm and Bactericidal Methods on this Bacteria)

  • 성치남;송계민;이규호;양성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1-286
    • /
    • 2002
  • 2000년 1 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가두리 양식장에서 Vibrio vulnificus를 검출하였고 이들의 억제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세균의 검출은 선택적 분리법과 vvhA 유전자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V. vulnificus는 수온이 $17^{\circ}C$이상인 5월부터 검출되었고 $19^{\circ}C$ 이상인 6월부터 9월까지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V. vulnificus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중 냉동 및 냉장 처리는 살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Citric acid도 균의 생장을 억제하지 못했으나, 500 mg/1이상의 EDTA가 첨가될 경우 균이 완전히 사멸되었다. 분말 광촉매인 산화티타니움은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15분~1 시간 이내에 이 세균을 완전히 사멸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화티타니움을 유리 구슬에 코팅한 광촉매 장치를 이용하여 0.2/min의 turnover rate로 사멸효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