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bacteria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43초

Probiotic Bacillus amyloliquefaciens B-1895 Improved Growth of Juvenile Trout

  • Elena N. Ponomareva;Marina N. Sorokina;Vadim A. Grigoriev;Mariya Mazanko;Vladimir A. Chistyakov;Dmitry V. Rudoy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805-816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new Bacillus amyloliquefaciens B-1895 probiotic as a feed additive for farmed trout. Final weight, absolute and average daily gain of fish, and average daily growth rate were higher in the group that received the probiotic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Moreover, the probiotic-fed trout had more intense growth rates than the control group (higher by 15.7%; p<0.05). A decrease in feed ratio was also observed in the group that received probiotic (25% decrease; p<0.05), indicating more efficient digestion and assimilation of feed. In general, the introduction of probiotic in the feed did not adversely affect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fish. In young trout of the control group, when assessing the general chemical composition of the organism in the muscle tissue revealed significantly (p≤0.001) higher level of moisture content by 5.1% and lower by 11.0% dry matter content. In muscle, the protein content was higher by 1.33% (p≤0.001) and fat content by 2.1% (p≤0.001) in experimental fish. Generally, Lactobacilli, Enterococcus, Vibrio, Bacillus, and coliform bacteria were found in the intestinal samples of rainbow trout. Significant reliable difference (p≤0.05) between the sampl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noted in the content of Bacillus bacteria. In the control group, 5.0±0.4×103 CFU/g was detected, while in the experimental group 8.4±0.8×104 CFU/g. Overall, the data indicate that probiotic bacteria B. amyloliquefaciens B-1895 has no adverse effect on selected microorganisms in the study fish.

과실 및 채소류의 저장에 있어서 Lactic Acid Bacteria의 이용 (Lactic held Bacteria for the Preservation of Fruit and Vegetables)

  • 김건희;배은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45-254
    • /
    • 1999
  • Lactic aicd bacteria(LAB)는 전통적으로 식품의 발효과정 중에 사용되는 미생물이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bacteriocinogenic culture와 lactic acid bacteria에서 생산되는 산물은 식품의 부패에 원인이 되는 미생물과 병원성균에 대한 생육억제효과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생선제품, 유제품. 육제품과 발효되지 않은 냉장식품 등의 식품저장에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어져 오고 있었으나 과실 및 채소류에서의 lactic acid bacteria에 대한 효용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된 것이 없다. 따라서 lactic acid bacteria의 과일 및 채소류의 저장시 효과적이고 적용성이 넓은 보존제로서의 성공적인 이용을 위해서 식품저장과 lactic acid bacteria에 대한 특성, lactic acid bacteria의 대사산물, lactic acid bacteria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과일 및 채소의 식품성분 및 구성요소와 미생물의 생육저해효과가 있는 대사산물과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의 수행이 과일 및 채소제품에서 lactic acid bacteria의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점으로 사료된다.

  • PDF

시판 수산식품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2. 생선회의 위생지표 세균에 관하여 (BACTERIOLOGICAL STUDIES ON MARKET SEA FOODS 2.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in Slices of Raw Fish)

  • 장동석;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92-96
    • /
    • 1973
  • 우리가 즐겨 먹고 있는 생선회의 위생지표 세균의 오염도를 파악하고 나아가서 식품의 위생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71년 3월부터 5월까지 부산시내 각종 음식점에서 손님에게 제공된 상태의 생선회 25종류를 수집하여 위생지표 세균인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 분변계연쇄상구균, 장구균 및 일반생균수를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ecal streptococci나 enterococci MPN은 coliform group이나 fecal coliform MPN보다 매우 높았다. 2. 대장균군과 장구균의 중앙치는 각각 3,300, 5,400 이었으며 일반생균수의 중앙치는 $1.8\times10^5$이었다. 3, 분변계대장균 MPN 230이상인 것이 시료의 $52\%$였다. 4. 생선회의 위생지표 세균으로서는 장구균보다 분변계대장균이 보다 합리적이었다. 5.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음식점의 우열과 세균 오염도는 일치하지 않았다. 6. 각 위생지표 세균과 일반생균수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 PDF

Interaction of Apidaecin Ib with Phospholipid Bilayers and its Edwardsiella Species-specific Antimicrobial Activity

  • Seo, Jung-Kil;Go, Hye-Jin;Moon, Ho-Sung;Lee, Min-Jeong;Hong, Yong-Ki;Jeong, Hyun-Do;Nam, Bo-Hye;Park, Tae-Hyun;Park, Nam-Gy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호
    • /
    • pp.115-122
    • /
    • 2012
  • Apidaecin Ib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tested Gram-negative bacteria including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cloacae, and Shigella flexneri (MECs; $0.3-1.5{\mu}g/mL$), but showed no activity against all the tested Gram-positive bacteria including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one yeast, Candida albicans (MECs; > $125{\mu}g/mL$). Interestingly, this peptide showed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only against Edwardsiella species (MECs; $0.6-3.6{\mu}g/mL$) among the tested fish pathogenic bacteria through a bacteriostatic process and showed no significant hemolytic activity. Apidaecin Ib took an unordered structure in all environments and also had very weak membrane perturbation activity even at $25{\mu}M$. Anti-Edwardsiella activity of apidaecin Ib is stronger than those of other antimicrobial polypeptides or antibiotics, but its activity is salt-sensi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idaecin Ib has Edwardsiella speciesspecific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uld be applied as new preventive or control additives for Edwardsiella species infection in freshwater fish aquaculture.

제주도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한 병원균 3종에 대한 Mixed Oxidant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살균효과 (Effect of Mixed Oxidants and Sodium Hypochlorite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on Jeju Island)

  • 박천만;김기혁;문혜나;여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89-396
    • /
    • 2018
  • Marine pathogenic bacteria, such as Streptococcus parauberis, Edwardsiella tarda and Vibrio harveyi, can cause lethal infections in farmed fish, ozone and antibiotics, are employed to sterilize waters used for rearing fish to mitigate this threat.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treatment with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However, the maintenance of a constant concentration of chlorine in rearing waters can be difficult.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a mixed oxidant (MO) solution generated by electrolysis of sea water to improve water quality. We measured the survival rates of fish pathogenic bacteria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O (0.5, 1.0, 1.5 and 2.0 MO) and sodium hypochlorite (0.5, 1.0, 1.5 and 2.0 ppm) for various lengths of time (0, 5, 10, 15, 20, 25 and 30 min). We found a time-dependent decrease in the survival rates of the tes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MO solution on pathogenic organisms was greater than that of sodium hypochlorite for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We conclude that MO solution produced by electrolysis could be used to maintain a constant chlorine concentration in aquaculture systems.

항생제 사용과 세균성 어류질병의 치료 (The utilization of antibiotics and the treatment of bacterial diseases in fish)

  • 정현도;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7-48
    • /
    • 1992
  • 항생제란 어떤 미생물의 생성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4000여종의 항생제중, 수산용으로는 약 20여종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항생제의 분류는 화학적 구조와 부수되는 기능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효과는 적용되는 병원성균의 종류와 어류가 처해있는 환경에 따라 대단히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항생제의 종류와 적용방법은 정확한 질병에 대한 원인 규명이 있은 후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무절제하게 사용된 항생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존재하고 있는 내성균을 선택적으로 증식 가능케 한다. 이미 일본의 수많은 양어장에서 내성균 출현의 보고가 있었고, 많은 종류의 내성균은 R plasmid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양어장에서도 내성균 출현과 R plasmid에 의한 내성균 확산은 곧 문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므로 전반적인 역학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상용항생제의 어류에 대한 약동력학, 잔존량, 임상적용 실험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되어 있어 적절한 이들 항생제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수산용 항생제에 대해서는 연구해야 될 부분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어류질병 치료와 항생제의 정확한 사용을 위해서는 양식사업을 하고 있는 현장과 진단을 할 수 있는 실험실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 PDF

2008년 우리나라 연근해산 어류에 대한 병원체 모니터링 (Monitoring of fish pathogens in wild marine fish of Korean coastal offshore water in 2008)

  • 조미영;지보영;박경현;이창훈;이덕찬;김진우;박미선;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5-83
    • /
    • 2009
  •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포되는 자연산 어류를 대상으로 주요 어류 병원체의 검출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2008년 2월부터 10월까지 질병 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항, 거제, 여수 및 제주 지역의 정치망, 양망에 채포된 어류 및 공동어시장에서 판매되는 어류를 구매하여 총 401마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체 조사 시료 중 152마리에서 17종의 병원체가 분리되었다. 기생충, 세균 및 바이러스의 검출률은 각각 21.4%, 17.0% 및 2.7%로 나타났다. 분리된 기생충류는 Scutica, Trichodina, Cryptocaryon, Dactylogyrus, Microcotyle, Benedenia, Bivagina, Heteraxin, Caligus, Epistylis 및 nematode 이며, 세균류로는 Vibrio, Streptococcus, Photobacterium, Psuedomonas가 우점적으로 분리되었고 바이러스는 조사대상인 6종중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및 lymphocystis disease virus(LDV)가 검출되었다. 과(科)별로 검사시료가 30개체 이상인 어류 중에서 양볼락과, 쥐치과, 가자미과, 도미과 및 전갱이과의 검출률이 59.2%, 48.4%, 34.2%, 30.6% 및 18.2%로 나타났다.

한약재 추출물에 배양된 유산균 배양액이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로서 성장과 비 특이적 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ulture Broth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d in Herb Extracts on Growth Promotion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f Aquacultured Fish)

  • 전봉근;김만철;김영후;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3
    • /
    • 2009
  • 양식 어류의 항생제 투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약재 추출물을 기질로 한 유산균 배양액을 양식 넙치와 돌돔의 사료에 첨가하여 성장, 혈액학적 분석, 식세포 활성, lysozyme 활성 및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공격실험을 실시하였다. 성장의 결과 넙치는 실험구와 대조구강의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돌돔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약 20 g 높은 어체중 증가를 보였다. 넙치의 사료효율은 실행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 25% 높았으며, 돌돔은 사료효율은 두 그룹 간에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어류의 혈액학적 분석 결과, GOT와 GPT는 8주 이후에 감소현상을 보였으나 glucose와 total protein은 두 그룹 간에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식세포 활성 또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ysozyme 활성은 넙치의 경우 8주부터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돌돔은 실험 12주에 대조구보다 약 3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어류 질병 유발세균에 대한 공격실험은 넙치의 복강에 V. anguillarum을 투여하였을 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18%, S. iniae을 투여하였을 시, 실험구가 23%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돌돔의 경우, V. anguillarum의 투여경과 대조구의 비해 17%, S. iniae의 투여경과 대조구의 비해 16%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Chloramine-T의 넙치에 대한 독성과 어병세균 및 Blue Green Algae에 대한 살균 효과 (Toxicity of Chloramine-T on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Bactertcid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nd Blue Green Algae, Tetraselmis suecica)

  • 황은아;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4
    • /
    • 2000
  • 강한 산화력에 의하여 살균력을 나타내는 CT(Sodium N-chloro-para toluenesulfonamide, Chloramine-T)의 어류에 대한 독성과 수서 미생물에 대한 살균력을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해산어 양식현장에서 새로운 수산용 소독제로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주 양식어종인 넙치는 해수에서 16 ppm 이상의 CT 농도에 계속 노출되면 48시간 이내에 폐사되는 급성독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CT의 세균사멸 효과는 매우 탁월하여 2ppm농도로 15분 이상 해수를 처리하였을 때 인위적으로 첨가시킨 어류질병관련 세균을 모두 사멸시킬 수 있었고 이러한 사멸효과는 세균의 종과는 큰 연관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므로 CT는 사육수를 통한 세균감염 방지 또는 병어로부터 유출된 병원균의 확산 방지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blue green algae(Tetraselmis suecica)에 대한 사멸효과는 10 ppm이상의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처리하였을 때 나타남으로서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을 나타내는 농도와 매우 근접하였으므로 동 식물성 플랑크톤의 효과적 제거를 위하여서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구나 CT는 해수중에 유기물질의 농도가 10ppm 정도만 존재하고 있어도 그 살균효과는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현장 적용 시에는 이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