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assemblag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3초

마산만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in Masan Bay)

  • 곽성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2-141
    • /
    • 2007
  • 마산만 해역에서 유자망을 이용하여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7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전어(Konosirus punctatus), 숭어(Mugil cephal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샛돔 (Psenopsis anomala),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등줄숭어(Chelon affin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였는데, 이들 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87.6%와 총 생체량의 95.4%를 차지하였다.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출현 개체수는 2005년 3월과 7월, 생체량은 2005년 9월과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한편 출현개체수 및 생체량은 모두 2005년 11월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온이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유자망은 어획대상 어종이나 어획 체장에 강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상업성어종의 채집에 효율적이었다.

봄과 여름철 남해안 자치어의 시·공간적 분포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Larva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Spring to Summer)

  • 문성용;이미희;정경미;김희용;정진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61-477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performed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fish larvae assemblage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21. The total abundance of fish larvae varied from 193.6 to 1,915.6 ind. 10 m-3. The species were distributed across 10 orders with 23 families, and 41 taxa. The dominant taxa were Gobiidae spp., Engraulis japonicus, Nibea albiflora, Sebastiscus spp., Callionymus valenciennei, Pennahia argentata, Sebastes thompsoni, Parablennius yatabei, and Platycephalus indicus. Engraulis japonicus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August and their presence contributed greatly to the total abundance of fish larvae. The total number and abundance of species peaked in early summer and the Shannon-Weaver index was in the range 0.11-1.49. Redundancy analyses revealed that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fish larvae assemblage differed according to the dominant taxa. Water temperature, zooplankton density, and Paracalanus parvus s. l. density were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larva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spring and summer.

Influene of aquatic macrophytes on the interactions among aquatic organisms in shallow wetlands (Upo Wetland, South Korea)

  • Jeong, Keon-Young;Choi, Jong-Yun;Jeong, Kwang-Se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185-194
    • /
    • 2014
  • Seasonal monitoring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acrophyte bed structure on the composition and trophic interaction of aquatic organisms (algae, zooplankton, macro-invertebrate, and fish) in a shallow wetland (Upo Wetland, South Korea). Distinct division of the plant assemblage (reed zone and mixed plant zone) was observed. The reed zone was composed solely of Phragmites communis, whereas the mixed plant zone comprised a diverse macrophyte assemblage (Salvinia natans, Spirodela polyrhiza, Trapa japonica, Ceratophyllum demersum, and Hydrilla verticillata). Most of the aquatic organisms were more abundant in the mixed plant zone than in the reed zone, and thi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easonal development of macrophyte cover. Stable isotope analysis showed seasonal interactions among aquatic organisms. The majority of aquatic animal (zooplankton, Odonata, and Ephemeroptera) were dependent on epiphytic particulate organic matter (EPOM), and the dependence on EPOM gradually increased toward autumn. Interestingly, Lepomis macrochirus consumed Ephemeroptera and zooplankton in both macrophyte zones, but Micropterus salmoides depended on different food items in the reed zone and the mixed plant zone. Although, M. salmoides in the reed zone showed food utilization similar to L. macrochirus, it consumed Odonata or small L. macrochirus in the mixed plant zone. Based on these results, it appears that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the two macrophyte zones support different assemblages of aquatic organisms, strongly influencing the trophic interactions between the aquatic organisms.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 분포하는 치어(稚魚)의 군집구조(群集構造)와 섭동(燮動) - 1. 일변동(日變動) (Community Structure and Variation of Juvenile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Shinsudo, Samchonpo - 1. Diurnal Variation)

  • 김영혜;강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95
    • /
    • 1992
  •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 분포하는 치어군집(稚魚群集)의 일변동(日變動)을 파악하기 위해 1986년 12월, 1987년 1월, 7월 및 8월에 RN 80net를 사용하여 1일 4회(回)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4과(科) 32종(種)이 채집되었다. 개체수에 있어서 우점종은 베도라치, 문절망둑 및 동갈양태속에 속하는 한 종(種)이었으며, 이들 3종(種)은 총 개체수의 55.3%를 차지하였다. 낮과 밤간에 류사도(類似度)는 개체수 보다 생체량이 더 높았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변동은 1월과 5월에 낮과 밤간에 차가 있었으며, 낮 보다 밤에 크게 나타났다. 여명(黎明)이고 저조위(低潮位)일 때 출현하는 치어(稚魚)의 종수(種數)와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 PDF

The mechanisms leading to ontogenetic diet shift in a microcanivore, Pterogobius elapoides(Gobiidae)

  • Choi, Seung-Ho;Suk, Ho-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4호
    • /
    • pp.343-349
    • /
    • 2012
  • A variety of fish species undergo an ontogenetic change in prey selectivity, and several potentially interacting factors, including nutrient requirement, microhabitat change, and foraging ability, may account for the occurrence of the shift. Here we examine the foraging ecology and ontogenetic diet shift of a micro-carnivorous goby, Pterogobius elapoides (serpentine goby), dominant component of fish assemblage in shallow rocky areas off the coast in Korea and Japan. Although most other gobies are primarily benthic carnivores, P. elapoides is a semipelagic fish;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ose species change their foraging tactics with growth. In our diet analyses, the most common diet was pelagic copepods and benthic amphipods, and diet shift was observed from pelagic to benthic with growth. The ontogenetic diet shift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for energetically more profitable prey in larger-size classes as well as the results of different prey availability due to among-habitat variation in diet. However, differential food preference does not appear to affect individual scope for searching food. Several factors such as predation pressures and interspecific resource partitioning might contribute to the changes in diet observed among size classes, which were included in our ongoing tests.

Overfishing and recent risk for collapse of fishery in coastal Mediterranean lagoon ecosystem (Karavasta lagoon, southeastern Adriatic sea)

  • Spase Shumka;Yukio Nagahama;Sarjmir Hoxha;Koji Asan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294-303
    • /
    • 2023
  • Beside that the fish species and their sub-populations are highly important as a keystone species in the coastal and marine ecosystem,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their presence,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s within and around the lagoon ecosystems in Albania. This paper provides an updated review on the life cycle, fishery, exploitation state and management of the main species that are subject of commercial fishing in the Karavasta lagoon, southeastern Adriatic coast of Albania. Due to the fact that lagoons represent a continuum between continental and marine aquatic ecosystems they play a crucial role in species life cycles. Further on in the circumstances of rapid utilizations and environmental changes, anomalies in salinity and temperatures, accelerated anthropogenic influences their rate of vulnerability is highly increased. Following the requirements of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transitional water, coastal lagoons and estuaries there is a need for urg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approaches. The commercial species includ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species of Family Mugilidae (Mugil cephalus, Liza ramada, Liza salienes and Chelon labrosus), Seabream (Sparus aurata), Seabass (Dincentrarchus labrax), etc. Fish productivity is oscillating from maximum value of 61.95 kg/ha is recorded in period of 1975-80 and lower value of 31 kg/ha in year 2020. Our study highlights importance of fish and fishery long-term monitoring,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driving factors in productivity, migration patterns and species ecology in the vital coastal ecosystems.

동해 감포 주변해역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 강필준;김종관;황선완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27-33
    • /
    • 2015
  • 2005년 6월, 9월, 12월 및 2006년 3월에 동해안의 감포연안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종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1과 32종, 695마리, 180,012.0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망상어 (Ditrema temminckii)로서 채집 개체수의 52.4%, 생체량의 40.4%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 주요 종으로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탁자볼락 (Sebastes taczanowskii),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 등이었다. 이들 6종은 전체 개체수의 77.6%, 전체 생체량의 77.5%를 차지하였다.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다. 종수는 2005년 6월에 가장 많았고 2006년 3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6월에 가장 낮았다.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따른 어류상 분포 특성 (Distribution Dynamics of Fish Community in Shallow Wetland by Environmental Variables)

  • 최종윤;조현빈;김성기;라긍환;주기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1-400
    • /
    • 2015
  •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대한 어류의 분포와 종 조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2년 봄철(5~6월)에 경상남도에 위치한 24개의 습지에서 이화학적 요인, 수생식물, 어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0종의 어류가 동정되었으며, 잉어과 어류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요인 및 수생식물 생물량은 조사 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특히 수생식물 생물량은 어류 풍부도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었다(df=1, F=32.00, P=0.001). 조사 지점간에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사 지점들은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또한 수생식물 생물량에 대한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집단의 습지에서는 검정우럭과 어류인 블루길에 의해서 우점되었으며, 그 외 어류 군집은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두 번째 집단은 주로 잉어과 어류인 붕어가 우점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에 속한 습지에서는 첫 번째 집단과 비슷하게, 블루길이 우점하였으나, 다른 어류 종 또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얕은 습지에서 어류 군집의 분포와 종 다양성은 수생식물의 생물량에 의해 강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수생식물의 높은 생물량은 어류의 높은 풍부도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습지를 복원하거나 새롭게 조성할 때 수생식물의 적절한 식재는 어류의 종 다양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어류가 수생태 먹이망 내에서 최상위포식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먹이망의 건강성 유지에도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세존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저어류 군집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the demersal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f Sejon island, Korea)

  • 고은혜;안영수;백근욱;장충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630-636
    • /
    • 2015
  • The study aims at analyzing a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live in bottom of the coastal waters off Sejon island, Korea. To reach the goal of the study, a species composition and it's seasonally fluctuation, a seasonally fluctuation of the dominant species and it's appearance type were analyzed with the fishes caught by the bottom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Sejon island from May, 2011 to March, 2012.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sh caught in this area composes 10 orders, 25 families, and 37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n number of fish was Pennahia argentata which was occupied at 42.1% from the whole number, the second most dominant species was Konosirus punctatus which was occupied at 14.2%.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 biomass of fish was Pennahia argentata which was 31.3% out of the whole catch, the next dominant species was Lophius litulonwhich which was 18.2%. The first group (Trichiurus lepturus, Zeus faber, Pennahia argentata, Chelidonichthys spinosus and Lophius litulon) was appeared at May, August, October, the second group (Sphyraena pinguis) was appeared at May and November, the third group (Pampus argenteus) was appeared at August, the fourth group (Pampus echinogaster, Leiognathus nuchalis, Konosirus punctatus and Engraulis japonicus) was appeared at March.

낙동강 신규조성 습지의 어류 분포와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관리방안 (Fish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trategy for Improve Biodiversity in Created Wetlands Located at Nakdong River Basin)

  • 최종윤;김성기;박정수;김정철;윤종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4-288
    • /
    • 2018
  • 낙동강 유역에 조성된 신규습지에서 서식환경에 대한 어류의 분포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관리방안 도출을 위해 42개 습지에서 환경요인의 측정과 어류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30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며, 이 중에서 배스(Micropterus salmoides)와 블루길(Lepomis macrochirus)과 같은 외래어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밀어(Rhinogobius brunneus)나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피라미(Zacco platypus) 등의 어류는 흐름이 있는 환경을 선호하기 때문에 배스가 우점하는 습지(정체수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SOM (Self-Organizing Map)을 활용한 패턴분석 결과, 각 습지의 서식환경 특성에 따라 어류 종의 출현빈도가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류 종의 분포는 각 습지의 수심 변화와 수생식물 피도에 민감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온이나 pH, 용존산소 등의 이화학적 요인 변화에 대한 영향은 적었다. 특히 수생식물의 피도는 어류의 종다양성이나 밀도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변식생이 부족한 습지에서는 어류가 적은 풍부도와 다양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평가할 때 어류 등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호안사면의 높은 인공성이나 수변식생의 부족한 습지 등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건강성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