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job succes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조건과 직업탐색행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Good Job Condition of Which Young People Think and the Impact of Job Search Behavior on Employment)

  • 장욱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51-368
    • /
    • 2021
  • 본 논문은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조건과 직업탐색행동이 취업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과변수로는 취업여부와 더불어 구직성과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조건으로는 기업측면에서는 임금·급여, 환경측면에서는 직업안정성, 개인측면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탐색행동이 취업여부 및 구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핵심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들이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구직스트레스는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에 대한 경험은 취업 및 구직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년들의 취업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청년구직자의 적극적인 직업탐색행동 빈도를 높여주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청년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청년정책 서비스 모델개발과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000년대 전문직 드라마의 특징과 발전 양상 (Specialized Job Drama's Traits and Aspects of Development in 2000's)

  • 이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68-75
    • /
    • 2012
  • 2000년대 후반기에 지상파 방송은 기존 드라마 소재의 진부함을 극복하고 전문직을 선호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전문직 드라마를 대거 편성하였다. 일부 전문직 드라마는 좋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마니아층을 형성할 만큼 성공하였다. 하지만 전반적인 시청률은 낮은 편이며 폭넓은 시청층을 껴안는데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전문직 드라마의 특성은 우선 매우 다양한 전문직 소재를 다루고 있고 직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매우 세부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 전문직 소재는 전문직업의 삶과 성공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의 창작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멜로 중심 서사구조에서 직업 중심의 서사구조로 유인하는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사구조의 특징과 맞물려 전문직 드라마만의 고유한 캐릭터 창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IT서비스에 있어서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의 업무 및 역할 상호 평가 비교 연구 (Reciprocal Job and Role Assessments of Planners, Designers, and System Developers of IT Services)

  • 이동희;이정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1-79
    • /
    • 2022
  •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knowledge revolution, user-centered IT services are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modern business. However, in order to lead IT services into success, traditional capabilities and competences are not good enough. Development of IT services involve service planners and designers as well as traditional systems developers. This detailed segmentation of job and corresponding competences among involved in IT service development brings in new type of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that may require special attention for IT services to be properly development and implement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define competences and roles of newly emerging job groups in IT services: planners, designers, and developers. In order to identify underlying competences of these emergeing groups, two stage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first stage, general competence framework is developed across these groups with different skills for similar competence catogories. Using the categories developed at the first stage, members of each groups were asked to rate and assess the competences of other groups. Comparisons of these reciprocal assessment revealed the conceptual differences and biases across these groups. Detail difference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 the career success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 이달엽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185-216
    • /
    • 2003
  • 본 연구에서 지체장애근로자들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직업성공과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여 가설적 이론모형을 검증하려는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지체장애를 가진 근로자 374명과 일반근로자 45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의 직업성공을 구성하는 요인은 개인, 가정, 조직의 측면에서 나타났다. 개인적인 측면은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으로 구성되었고, 가족적인 측면은 다중역할스트레스와 자녀의 수로 구성되었다. 조직적인 측면은 자원활용능력, 네트워킹, 그리고 조언자로 구성되었다 이 밖에도 주관적인 직업성공과 객관적인 직업성공이라는 잠재변수에서 종 10개의 측정변수가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직종이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측변수에서는 두 집단에서 직업성공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서로 다르게 나왔다. 장애근로자집단은 이직을 했을 때 평균적으로 근속한 년수와 임금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집단은 조언자와 근속년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관측변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장애근로자와 일반근로자 집단 모두 연령과 이직 경험이 이직 (이직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집단은 친구의 수, 일반집단은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망이 각각 이직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두 집단의 자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관측변수에서도 장애집단은 배우자의 직업과 근속년수, 일반집단은 다중역할 스트레스와 이직평균 근무년수에서 각기 다르게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적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 제 1모형은 어느 정도 타당하고 직업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2모형은 카이스퀘어와 자유도 ($x^2=64950$, df=61, P=0341), 기초부합치 (AGFI)는 .954, 비적합지수 (CFI)는 997, 그리고 원소간의 평균차이 (RMR)도 .038로써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모두 허용된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매우 적합한 모형으로 직업 성공을 보다 높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종이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성공을 예측하는데 주요한 변수로 나타나 장애근로자들의 학력을 높이고 계속해서 전문화 육에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임금정도와 같은 객관적인 직업성공 보다는 임금과 진급에서의 만족과 같은 주관적인 직업성공에 더욱 더 많은 고려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장애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 내에서 유용한 인적 자원과 네트웍의 수를 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장애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대인관계에 대해서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SW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속가능성과 개방형 관점에서의 산업클러스터 사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dustrial Cluster Cases for Job Creation from the Viewpoint of Sustainability and Open Innovation)

  • 임규건;이지윤;최진호
    • 경영과학
    • /
    • 제34권2호
    • /
    • pp.85-101
    • /
    • 2017
  • Currently, the SW industry is the center of digital economy and it is very important industry in terms of market scale and ripple effect. Due to the suffering from poor working environment of the SW industry and the disproportion of manpower supply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d SW manpower, it is hard to create jobs of high quality for the SW professionals who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vergence industries.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benchmarking cases of successful foreign industrial innovative clusters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SW industry and to create high quality SW jobs. First, the comparison criteria are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on of high quality SW jobs through an analysis of SW environment by using expert FGI (Focus Group Interview) techniqu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a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industrial cluster cases in terms of SW job cre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desirable implications of the cluster of SW industry that can generate SW jobs continuously from the viewpoint of ecosystem environment infrastructure.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meaningful direction of SW clusters for job creation, and solve the business inconsistency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core competence manpower.

단기 금연성공자와 장기 금연성공자의 특성 비교 - 인천광역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moking Cessation Success between Short-term and Long-term Success Groups)

  • 김영숙;이군자;이여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1-258
    • /
    • 2009
  • Purpose: The study aimed to compar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those who had succeeded in smoking cess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June, 2008. The subjects were 9,819 smokers who were registered at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s in Incheon. Four characteristics (demographic, health promotion, smoking, smoking cessation) were compared between 6-week (short-term) and 6-month (long-term) success group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6-week and 6-month success groups for smoking cessation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job, social security), health promotion (BMI, alcohol dependency, BP), smoking (first smoking age, smoking duration, expiration CO concentration, nicotine dependency), and smoking cessation (attempt to quit smoking, reason for smoking cessation, information source for registration). Conclusion: The group of short-term smoking cessation success was younger than the other. Also, short-term success group was of lower socioeconomic class than the other. The 6-month success group had a larger number of attempts to quit smoking. Therefore, smoking cessation policy should be focused more on younger people and those in lower socioeconomic status. These groups should be given advice on smoking cessation motives and more frequent counseling for smoking cessation.

  • PDF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ttribution of Career Success on the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이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84-9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직업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 성공에 대해 노력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서도 노력 귀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운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 업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나 직업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과 직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사원이 자신의 노력에 따라 직업적 성공이 좌우된다고 인지할수록 직무를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고 믿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더 많은 노력과 인내심을 가지고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서 신입사원에게 직업적 성공에 대한 노력 귀인을 습득할 수 있도록 내재적 및 외재적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직업적응도를 높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A Study on Job Satisfaction by Medical Information System Accomplishment

  • Kim, Chung-Gun;Sohn, Chang-yong;Chung, Yun-kyung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6-113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model related to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ccomplishmen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uccess model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ccomplishment. Method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150 copies of the entire survey data were distributed and 135 copies were collected, showing a collection rate of 90%.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Cronbach's Alpha was used to test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vergence of various items. In order to grasp the convergence of various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that were proven to have a single dimensionality before calculating factor loadings and regression analysis by Orthogonal Rotation by Varimax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ystem quality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Second, the information quality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user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information quality improves user satisfaction. Third, service quality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user satisfaction. Finall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who use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higher the accomplishment of the organiz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ccessful model of D & M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accomplishment in connection with it can be found significant.

A Big Data Study on Viewers' Response and Success Factors in the D2C Era Focused on tvN's Web-real Variety 'SinSeoYuGi' and Naver TV Cast Programming

  • Oh, Sejong;Ahn, Sunghun;Byun, Ju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7-18
    • /
    • 2016
  • The first D2C-era web-real variety show in Korea was broadcast via tvN of CJ E&M. The web-real variety program 'SinSeoYuGi' accumulated 54 million views, along with 50 million views at the Chinese portal site QQ. This study carries out an analysis using text mining that extracts portal site blogs, twitter page views and associative terms. In addition, this study derives viewers' response by extracting key words with opinion mining techniques that divide positive words, neutral words and negative words through customer sentiment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uccess factors of the web-real variety were reduced in appearance fees and production cost, harmony between actual cast members and scenario characters, mobile TV programing, and pre-roll advertising. It is expected that web-real variety broadcasting will increase in value as web contents in the future, and be established as a new genre with the job of 'technical marketer' growing as well.

시간가치와 중요도 기반의 분류 작업 스케쥴링 (Time Value and Importance based Classified Job Scheduling)

  • 심정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3호
    • /
    • pp.71-77
    • /
    • 2013
  • 정보가 폭주하고 해야할 일들이 많은 상황에서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서는 효율적인 에너지와 시간관리가 매우 중요한 일로 여겨지고 있다. 이미 효율적인 시간관리 스케쥴링 방식은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사건중심의 기존의 단순한 스케쥴링 방식보다 더 정교하게 이러한 기능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지능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작업을 시간가치와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시간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는 분류 작업 스케쥴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시간가치가 높은 작업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동시에 시간가치는 높지 않으나 미래의 성공의 열쇠를 쥐고 있는 매우 중요한 일들을 꾸준히 수행할 수 있도록 시간 프레임에 일정부분을 고정 할당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