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re-resistance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32초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분말도 및 치환율에 따른 염해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Chloride Penetration in Concrete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onsidering Fineness and Replacement Ratio)

  • 이현호;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6-34
    • /
    • 2013
  • RC 구조물의 내구성능 피복두께의 변화뿐 아니라 배합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유용한 혼화재료이며, 최근들어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30~70%로, 분말도를 $4,000{\sim}8,000cm^2/g$으로 변화시키면서 공극률, 압축강도, 확산계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조밀한 공극구조, 높은 강도발현과 확산계수 감소를 확보하였으며, 분말도보다 치환율에 더욱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에서 재령이 3일에서 91일로 증가함에 따라 공극률은 77.47%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압축강도는 373%로 증가하였다. 또한 염화물 확산계수는 OPC 콘크리트의 64.4% 수준으로 감소하여 내구적 저항성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방호·방폭 보강용 복합섬유 패널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n Fiber Composite Panel Production for Impact·Blast Resistant)

  • Kim, Woonhak;Kang, Seokwon;Yun, Seunggyu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35-243
    • /
    • 2015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호 방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방법으로 배면보강이나 콘크리트 재료의 물성보강에 따른 방법과, 구조 부재나 지지물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저항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하였을 때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의 각 단층 구성 재료에 고인장, 경량화, 부착성능, 내화성능 등을 향상시켜 단층 각각의 개별적인 특수 성능과 복합패널 구성물로서의 방호방폭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섬유복합패널 외피와 충전제로서 나노복합소재 및 접착제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섬유복합패널 외피(아라미드-폴리에스터 비 6:4, 6.5:3.5)의 최대 인장강도 2,348MPa, 최대 신율 1.8%의 값을 얻었고, 나노복합소재와 접착제를 혼합한 충전제의 최대 인장전단접착강도 4MPa을 얻었다. 또한 나노복합소재로 제작한 충전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의 30%의 경량화의 결과를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폭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lling Properties of Polymer Modified Cement Mortar Using Polypropylene Fiber)

  • 김민성;심상락;류동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5-311
    • /
    • 2020
  • 기존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PCM)는 일반적인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해 부착강도, 휨강도, 내약품성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철근콘크리트(RC)구조물의 보수·보강 시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PCM은 화재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 폭렬발생 가능성이 높아 구조안전성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폭렬저감 PCM 개발을 목적으로 폴리머 혼입률(2%, 4%, 6%), PP 섬유길이(6mm, 12mm, 6+12mm), PP 섬유혼입률(0.05 Vol%, 0.1 Vol%)을 실험인자로 선정하여 전기로 가열실험(600℃, 800℃)을 진행하였다. 폭렬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폴리머 혼입률이 6% 이상인 경우에는 섬유혼입에 따른 폭렬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Basalt 섬유쉬트의 철도시설 콘크리트구조물 보강재로서의 부착거동 연구 (Bonding Characteristics of Basalt Fiber Sheet as Strengthening Material for Railway Concrete Structures)

  • 박철우;심종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641-648
    • /
    • 2009
  • 최근 철도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철도시설물에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공용년수의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구조적인 보강이 요구된다. 강판보강법 및 섬유복합체(FRP)를 활용한 보강법 등이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실정이지만 각 공법마다 나름대로의 단점 역시 존재 한다. 최근 화재나 기타 환경적인 공격에 대하여 강한 내구성을 가진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현무암으로부터 추출한 Basalt 섬유를 활용한 섬유보강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asalt 섬유쉬트를 보강재로 사용할 경우 중요한 특성인 콘크리트와의 부착특성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보강폭, 길이, 보강겹수를 포함한다. 실험결과, 파괴형태는 계면파괴, 섬유파단, 그리고 rip-off의 형태가 관측되었으며 보강길이보다는 보강폭이 보강강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보강길이가 전부 유효하게 작용하지는 않았으며 이에 유효보강길이를 산정하고 이에 따른 부착강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다른 종류의 FRP재료를 활용한 경우에 유효 보강길이와 비교하여 Basalt 섬유쉬트의 부착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출력 테라헤르츠파 발생을 위한 새로운 구조의 Yagi-Uda 안테나 (A New Type of Yagi-Uda Antenna for High Terahertz Output Power)

  • 한경호;박용배;김상인;박익모;임한조;한해욱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동작하는 새로운 구조의 Yagi-Uda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Yagi-Uda 안테나는 안테나의 driver를 반 파장 다이폴이 아닌 전 파장 다이폴을 사용함으로써 공진주파수에서 $2000{\Omega}$ 정도의 높은 입력 저항을 얻을 수 있었다. 바이어스 선에 Photonic Bandgap 구조를 적용하여 바이어스 선로로의 전류누설을 최소화 하였고, 안테나를 얇은 기판에 설계함으로써 기판의 비유전율로 인한 안테나의 임피던스 저하를 막고 Yagi-Uda 안테나 고유의 단방향 지향적인 복사특성을 나타나게 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Yagi-Uda 안테나는 포토믹서와의 임피던스 부정합 문제를 개선하여 테라헤르츠파의 출력을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복합섬유가 혼입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가열에 따른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Composite Fibers in Accordance with High Temperature)

  • 김승기;김우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63-71
    • /
    • 2015
  • 본 연구는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온도 변화에 따른 내화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로 고강도 콘크리트에 고온이 가해질 경우 발생되는 폭렬현상에 대하여 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하이브리드섬유와 강섬유를 함께 혼입하여 만든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온도 변화($100{\sim}800^{\circ}C$)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 및 역학적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폭렬현상을 막는 대책 중의 하나인 섬유 혼입을 통한 방법을 사용하여 SEM 및 XRD 분석 등의 방법으로 고온을 받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 및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Up and Down법(法)에 의(依)한 목재(木材) 연소시험(燃燒試驗)에 있어서의 산소지수(酸素指數) (Oxygen Index for Wood in Burning Test by the Up and Down Method)

  • 엄영근;이필우;김현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255-259
    • /
    • 1990
  • 10종(種)의 침엽수재(針葉樹材)와 10(種)의 활엽수재(闊葉樹材)에 있어서의 상대적(相對的) 연소도(燃燒度)를 측정(測定)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변재(邊材) 판일재(板日材)의 산소지수(酸素指數)를 ASTM D 2863-77에 의거 Up and Down 법(法)을 통하여 구하였다. 산소지수(酸素指數)는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경우 스트로부스잣나무가 21.0으로 그리고 잎갈나무가 28.2로 각각 초소치(最小値) 및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냈으며 활엽수재(闊葉樹材)의 경우 사시나무가 20.7로 초소치(最小値)를 그리고 상수리나무가 27.6으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냈다. 따라서, 연소(燃燒)가 용이한 재료(材料)일수록 낮은 산소지수치(酸素指數値)를 지닌다는 사실(事實)에 근거하여 볼 때 침엽수재(針葉樹材)와 활엽수재(闊葉樹材)별로 잎갈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연소성(燃燒性)이 가장 낮으며 스트로부스잣나무와 사시나무가 연소성(燃燒性)이 가장 큰 소재(素材)임을 구명할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결함에 대한 폴리에틸렌 배관의 음향방출 특성 (AE Characteristic of Polyethylene Pipe under various defects)

  • 남기우;이시윤;안석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
    • /
    • 2004
  • 최근 가스관용으로 압력손실이 큰 동관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한편으로는 폴리에틸렌관이 신소재배관재료로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폴리에틸렌관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아 부식에 강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좋아 설치와 유지관리가 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열화되므로, 주로 저압가스용 매설배관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매설배관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관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비파괴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결함을 상정하여 볼 베어링 충격시험에 따른 음향방출에 의한 신호특성을 평가하였다. 폴리에틸렌 배관의 결함 형상에 따라 파형 및 중심주파수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노치결함이 있는 경우 노치의 각도와 깊이에 따라 AE신호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

열매체유의 인화성과 열안정성 (Flammability and Thermal Stabilities of Heat Transfer Oils)

  • 이근원;이정석;최이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2-87
    • /
    • 2011
  • 열매체유는 화학공장의 가열시스템, 열교환 시스템, 가스플랜트 공정, 사출성형 시스템 및 펄프제지 공정 등에 사용된다. 열매체유는 고열이나 산화분해에 아주 안정하고 저항성이 있으며, 누출이나 방출의 경우 점화원을 만나면 쉽게 발화한다. 본 논문은 열메체유의 신유와 사용유에 대해 인화성과 열적 안정성을 고찰하였다. 열매체유의 인화성은 인화점과 자연발화점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열적안정성은 열안정성시험기와 시차주사열량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열매체유의 적절한 사용과 취급과 관련된 안전대책 수립을 위해 화재 위험 특성을 제시하였다.

고인성 모르타르의 내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urability of High-Ductile Mortar)

  • 노형남;김주상;황남순;김재환;이상수;송하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1-74
    • /
    • 2007
  • With the changes of times the building materials tend to extend the demand for application under the special environment. Since high-ductile mortar is developed, the building materials show excellent performance like toughness, compression, tensile, and bending, etc. in the general concrete from the existing brittle point. And, recently they are widely used as repairing and reinforcing materials both at home and abroad because they are recognized as excellence like durability and fire-resistance. However, it is in a situation of creating problems in durability because it frequently happened deterioration of buildings that have already repaired and reinforced at a time when it requires reconstruction of recently deteriorated construction structure rec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improved with a more repair Material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the second high-ductile mortar products for a variety of basic materials were presented want, research plans used include traditional repair materials and the newly developed PCM (polymer cement mortar) structural reinforcement type indicated that comparison. PCM analysis in order to present a rate depending on the types fiber 0, 1.2 and 2.0(%) at three levels and mixture water according to ratios of weight to Plain in the 2.0 and 1.85(kg) at two levels is se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is study has shown that PCM had excellent strain hardening behavior at the same time that the bending stress increased according to the fiber contents. 2) This study has shown that it had the durability performance due to the high substanc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fiber cont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