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ding Characteristics of Basalt Fiber Sheet as Strengthening Material for Railway Concrete Structures

Basalt 섬유쉬트의 철도시설 콘크리트구조물 보강재로서의 부착거동 연구

  • 박철우 (강원대학교 건설공학부 토목공학) ;
  • 심종성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
  • Published : 2009.10.30

Abstract

Concrete structures become more common in railway systems with an advancement of high speed train technologies. As the service life of concrete structures increases, structural strengthening for concrete structures may be necessary. There are several typical strengthening techniques using steel plate and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materials, which have their own inherent shortcomings. In order to enhance greater durability and resistance to fire and other environmental attacks, basalt fiber material attracts engineer's attention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s bonding performance of basalt fiber sheet as a structural strengthening material. Experimental variables include bond width, length and number of layer. From the bonding tests,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bonding failure modes: debonding, rupture and rip-off. Among the variables, bond width indicated more significant effect on bond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bond length did not contribute to bond strength in proportion to the bond length. Hence this study evaluated effective bond length and effective bond strength. The effective bond strength was compared to those suggested by other researches which used different types of FRP strengthening materials such as carbon FRP.

최근 철도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철도시설물에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공용년수의 증가에 따라 필연적으로 구조적인 보강이 요구된다. 강판보강법 및 섬유복합체(FRP)를 활용한 보강법 등이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실정이지만 각 공법마다 나름대로의 단점 역시 존재 한다. 최근 화재나 기타 환경적인 공격에 대하여 강한 내구성을 가진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현무암으로부터 추출한 Basalt 섬유를 활용한 섬유보강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asalt 섬유쉬트를 보강재로 사용할 경우 중요한 특성인 콘크리트와의 부착특성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보강폭, 길이, 보강겹수를 포함한다. 실험결과, 파괴형태는 계면파괴, 섬유파단, 그리고 rip-off의 형태가 관측되었으며 보강길이보다는 보강폭이 보강강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보강길이가 전부 유효하게 작용하지는 않았으며 이에 유효보강길이를 산정하고 이에 따른 부착강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다른 종류의 FRP재료를 활용한 경우에 유효 보강길이와 비교하여 Basalt 섬유쉬트의 부착특성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종성, 홍영균, 최완철, 황의승, 이차돈, 배인환, 박성재(1995), "강판 및 탄소섬유sheet로 보강된 R/C보의 피로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7권, 1호, pp.319-324
  2. 심종성, 배인환, 박성재(1996), "손상된 R/C보의 보강 후 피로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학토목확회 논문집, 제16권, 제 I-2호, 대한토목학회, pp.135-142
  3. 백승덕(2000), "강판과 탄소섬유를 이용한 부착식 보강공법의 조기탈락방지공법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4. 박칠림 황진석, 박형철, 백명종(1997), "탄소섬유쉬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보의 부착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9, No. 6, pp.157-164
  5. 임동국(1997), "탄소섬유시트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6. De Lorenzis, L., Miller, B. and Nanni, A.(2001), "Bond of Fiber-Reinforced Polymer Laminates to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American Concrete Institute, Vol. 98, No. 3, pp.256-262
  7. Nakaba, L., Kanakubo, T., Furuta, T. and Yoshizawa, H.(2001), "Bond Behavior between Fiber-Reinforced Polymer Laminates and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American Concrete Institute, Vol. 98, No.3, pp.359-367
  8. Sim, J., Park., C. and Moon, D. Y.(2005), "Characteristics of Basalt Fiber as a Strengthening Material for Concrete Structures," Composite Part B: Engineering, Elsevier, Vol. 36, pp. 504-512 https://doi.org/10.1016/j.compositesb.2005.02.002
  9. BASALT 섬유를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기술 개발 (20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프리믹스형 보수재료를 적용한 R/C 구조물의 보수 및 섬유보강공법 개발(1999), 건설교통부
  11. 최기선, 류화성, 최근도, 이한승, 유영찬, 김긍환(2001), "탄소섬유쉬트로 보강된 RC보의 휨 부착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997-1002
  12. 유영준 조정래, 정우태, 박종섭, 박영환 (2003). "콘크리트 표면처리와 CFRP 단부정착 방법에 따른 부착특성실험,"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579-584
  13. Chajes, M. J., Finch, Jr., W. W., Januszka, T. F. and Thomson Jr., T. A.(1996), "Bond and Force Transfer of Composite Material Plates Bonded to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American Concrete Institute, Vol 93, No. 2, pp.208-217
  14. 최근도,류화성, 최기선, 이한승, 유영찬, 김긍환(2000), "탄소섬유쉬트와 콘크리트의 부착,"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019-1024
  15. 이정훈(2000), "섬유시트와 콘크리트간의 부착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16. 박영환(2003), "콘크리트 표면처리와 CFRP 단부정착방법에 따른 부착특성 실험," 한국콘크리트 학회 봄 학술발표회, 2003, pp.579-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