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esidue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1초

유류화재증거물의 정성적 분석 기법 연구 (Qualitative Analysis of Ignitable Liquid Residues in Extracts from Fire Debris Samples)

  • 한동훈;이성룡;김수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4-20
    • /
    • 2011
  • 다양한 원인과 우연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에 관하여, 화재조사관이 현장의 증거물, 화재패턴으로부터 화재원인을 밝혀내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다양한 화재 원인 중의 하나인 유류화재와 관련된 화재증거물에서 잔존물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ASTM E 1618에 근거한 유류화재 증거물 속에 잔존유류를 분석하는 기술(다양한 전처리법을 통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매스스펙트로미터 분석)을 이용하여 시중에서 유통되는 유류를 먼저 분석한 후, 유류화재 실험을 통한 증거물을 채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화재 후 채집 시간, 전처리 방법에 따라 토탈이온크로마토그램의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machine-learning model for fire accelerant classification from GC-MS data of fire residue

  • Park, Chihyun;Park, Wooyong;Jeon, Sookyung;Lee, Sumin;Lee, Joon-Bae
    • 분석과학
    • /
    • 제34권5호
    • /
    • pp.231-239
    • /
    • 2021
  • Detection of fire accelerants from fire residues is critical to determine whether the case was arson or accidental fire. However, to develop a standardized model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re accelerants was not easy because of high temperature which cause disappearance or combustion of components of fire accelerants. In this study, logistic regression,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 models were trained and evaluated from a total of 728 GC-MS analysis data obtained from actual fire residues. Mean classification accuracies of the three models were 63 %, 81 %, and 84 %, respectively, and in particular, mean AU-PR values of the three models were evaluated as 0.68, 0.86, and 0.86, respectively, showing fine performances of random forest and support vector machine models.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의 연소 확대 및 발화원인 분석 (Analysis of Propagation of Deflagration and Fire Cause in the Busan lndoor Shooting Range)

  • 송재용;사승훈;남정우;김진표;김동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7
    • /
    • 2011
  • 본 논문은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와 관련하여 불과 수 초 이내에 급격하게 연소 확대된 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급속한 연소 확대 원인 분석을 위하여 실내사격장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스펀지형 흡음재의 연소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음재 연소 실험결과, 일반형의 경우, 착화와 동시에 급속히 연소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난연 처리된 흡음재는 착화와 동시에 자체 소화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화약잔사를 난연 흡음재에 부착시키는 경우, 착화와 동시에 급격히 연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발화원인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총기사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탄의 비산거리 및 크기를 실측하였으며, 화약잔사에 대한 충격 강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소 착화 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유탄의 충격 후, 탄속 감소 및 유탄의 크기에 따른 운동에너지 계산을 통하여 유탄이 화약잔사에 충격하는 경우, 충분한 발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GC/MS를 이용한 화재증거물속의 인화성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Ignitable Liquid Residues from Fire Debris Samples with GC/MS)

  • 이성룡;한동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148-151
    • /
    • 2010
  • 화재증거물 속의 인화성물질을 분석하는 기술은 현재 다양한 추출 및 농축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Tenax TA를 이용하여 화재증거물 속의 인화성물질을 농축한 후 자동열탈착 장비를 사용하여 Tenax TA관 속에 농축되어 있는 인화성물질을 자동열탈착시켜 GC로 보낸 후 MS 분석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이러한 전처리과정을 사용하여, 화재증거물속의 인화성물질(경유, 등유 등)을 분석하였는데, 물로 화재증거물을 물을 이용하여 소화하여도, 시간이 오래지난 화재증거물이라도 열탈착 장비를 이용한 분석은 경유, 등유등을 확인하는데 유용하였다.

  • PDF

자동차 방화사례의 분석 (Analysis of an Arson fire of Motor Vehicle)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12-119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보험금을 사취하기 위해 자신의 승용차에 방화한 사례에 대해 구체적으로 화재원인분석을 하였다. 이 자동차화재의 원인규명을 통해 (1) 화재현장의 바닥에 낙하된 부품이나 잔재물(residues) 등의 수거 시스템 구축, (2) 경찰서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자동차화재의 원인규명 의뢰 시에 구체적인 화재현장정보의 제공 시스템의 구축, (3) 불탄 자동차에 방화혐의가 있을 때 소방서와 경찰서의 상호협조 체제의 유지, (4)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자동차방화 화재의 원인규명 절차의 개선, (5) 화재원인 규명과 분석장비와의 상관성에 대한 인식 전환 등 현행 관행의 개선이나 제도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플라스틱류의 연소 잔류물 분석 (Thermal residues analysis of plastics by FT-near infrared spectroscopy)

  • 이소연;조원보;김효진
    • 분석과학
    • /
    • 제30권5호
    • /
    • pp.234-239
    • /
    • 2017
  • 화재 현장에서 완전 연소하지 않은 잔류물의 성분을 규명하는 것은 화재 원인을 추적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화재 현장에서 많이 발견되는 플라스틱 연소 잔류물의 종류를 규명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수지와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수지의 연소 후 잔류물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Cone calorimeter)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시료를 200, 300, 350, 400, $500^{\circ}C$로 각각 3분 동안 연소시킨 후 변화된 무게와 연소생성물을 얻었다. 각 온도에서 얻어진 연소생성물을 동결 건조 후 분쇄한 분말 시료를 FT-near infrared (NIR) spectrometer로 스펙트럼을 측정 하였다. 폴리에틸렌 수지 시료를 연소시켰을 때 $350^{\circ}C$까지는 무게의 변화가 없었으나 $400^{\circ}C$ 이상에서는 급격한 무게의 변화를 측정 할 수 있었다. 각 온도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및 ABS 수지 시료의 FT-NIR 측정 스펙트럼을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를 통해서 연소 잔유물이 폴리에틸렌과 ABS 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근적외선 분광법으로 화재현장에서 발견되는 불연소 플라스틱의 종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유류화재의 감식기법의 실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in Fire Investigation Techniques of Flammable Liquids)

  • 황태연;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7-1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유류와 관련되어 실화나 방화의 매개체로 사용되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석유류의 정확한 분석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발화지점 주변의 온도분포, 연소되고 남은 물질의 흔적과 GC/MS 분석으로 물질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을 가연성 고체와 비교해서 실험하였다. 연구결과 천장에 도달하는 온도는 휘발유와 시너는 점화되자마자 불꽃이 생성되어 천장의 온도가 매우 빠르게 상승하여 그곳에 물질이 있을 경우 2차 화재발생이 전개될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된 후에 바닥에는 가연성 고체와 유류가 상이한 특징적인 패턴을 형성하였다. 연소된 장판은 탄화수소계열이지만 가스검지관을 통해 반응을 확인한 결과 가연성 고체는 아무런 반응을 띠지 않았으나 유류는 즉시 반응을 하였고 그 연소물질을 7일이 경과된 후에 GC/MS로 분석한 결과 유류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재조사가 복잡한 과정이지만 물질의 특성을 통한 세밀한 조사는 유류화재를 입증하는 데 중요하고 GC/MS분석기기를 통해 실체를 확인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화재 실험을 통한 에어컨 실내기의 화염확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lame Spread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by Fire Tests)

  • 최승복;이승훈;최민기;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9-9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소 실험을 통하여 에어컨 실내기의 화염확산에 관한 형상을 관찰하여 화재원인 및 발화지점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실험은 화염이 주변으로부터 에어컨 상단에 옮겨 붙는다는 것을 가정하여 실내기 상단을 n-햅탄을 적신 천으로 착화시켰으며, 동일한 조건으로 2회의 반복실험을 하였다. 착화 후 559 s와 734 s 사이에 실내기와 연결된 냉매관이 파열되면서 내부에 충입되어 있던 냉매와 함께 윤활유가 커다란 폭음을 내며 고온 고압의 화염이 급격히 분출되었으며 연소 잔류물을 확인한 결과, 증발기 일부와 모터, 금속함 등을 제외한 대부분은 소실되었다. 에어컨 자체에서 발화되었을 경우와 외부 화염에 의해 소훼되었을 경우 배선의 합선흔적 위치는 유사하였다. 따라서 연소 잔류물의 형상만으로 발화원인과 지점을 특정 짖는 것은 불확실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화약제 잔류물질에 대한 공기 중 노출평가 사례 (Example of Air Exposure Assessment for Fire Extinguishing Agent Residues)

  • 임대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17
    • /
    • 2024
  • Objectives: This is a case of air exposure assessment conducted after researchers complained of headaches and odor due to residual substances from fire extinguishing agents spread throughout the laboratory due to a malfun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Methods: A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idual substances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spread in a laboratory using Py-GC-MS (pyrolysi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t the research institute's own central equipment research center. As a result of the component analysis, several types of substances were detected. Among these, five types of substances subject to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in the aromatic hydrocarbon series, which can affect headaches and odor, were selected as substances subject to exposure assessment in the air, an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s of the target substanc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OSHA Guide for each substance. Conclusions: The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all 5 types of substances were not detected at locations A, B, and C. This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residual substances i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being measured when approximately two months had elapsed after being exposed to the test bench, and the substances already exposed had volatilized and disappeared. In this survey, it is believed that the measuremen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measurement results.

인화성액체를 촉진제로 사용한 방화화재의 감식기법에 관한 연구 (Arson Fire Analysis Involving the Use of Flammable Liquilds as Accelerants)

  • 최민기;한동훈;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64-7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연소잔류물에 남아있는 미세한 인화성액체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해 가스검지관,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GC/MS), 열분해분석장비를 활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연소했을 경우와 인화성액체를 첨가하여 연소된 경우의 성분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인화성액체를 첨가하지 않고 연소 후 생성된 화재잔해물에서도 가스검지관이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연소와 열분해를 통해 생성된 화학성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연소 환경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표적인 석유화학제품인 우드데코타일(PVC) 시료는 인화성액체를 첨가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연소시켰을 경우에도 감정인의 정확한 판단을 방해할 수 있는 방해물질인 Toluene, Ethylbenzene, Undecane, Dodecane 등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