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erformance

검색결과 2,063건 처리시간 0.024초

강구조 내화성능의 이론적 평가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 성시창
    • 방재기술
    • /
    • 통권20호
    • /
    • pp.42-47
    • /
    • 1996
  • Prior to real fire test, theoretical of the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the structural ele-ments is often less time consuming and less costly to calculate it, than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experimentally. This study is aimed at introduction of estimating methods of the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the steel structural elements not by the actual fire tests but by the mathematical models.

  • PDF

자율형 초동진압용 소화체계 성능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standards of autonom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 김남균;김휘성;박진욱;박병직;김양균;유용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55-667
    • /
    • 2020
  •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자율형 초동진압 소화체계의 성능평가 기준(안) 제시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단계에 있는 자율형 초동진압 소화제계의 성능기준 제시를 위해 현재 국내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방설비의 법적 성능기준 및 국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유사 제품의 성능기준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자율형 초동진압용 소화체계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성능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자율형 초동진압용 소화체계의 성능평가를 수행 후 현장적용 시 화재에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CC로 피복된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저감 및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Anti-Spalling ECC Layers in High-Strength Concrete Structures)

  • 이재영;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9-20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fundamental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ECC) under fire temperature in order to use the fire protection material in high-strength concrete structur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he experiment to simulate fire temperature by employing of ECC and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explosion and cracks in heated surface of these ECC. In the experimental studies, 3 HSC specimens are being exposed to fire,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such as depth of layer=20, 30, 40mm; construction method=lining type) on the fire performance of HSC structures. Employed temperature curve were ISO 834 criterion(3hr), which are severe in various criterion of fire temperature in building structures. The numerical regressive analysis and proposed equation to calculate ambient temperature distribution is carried out and verified against the experimental data. By the use of proposed equation, the HSC members subjected to fire loads were designed and discussed.

  • PDF

폭렬현상을 고려한 RC구조물의 PBD기반 구조내화설계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II) - PBD기반 구축을 위한 조사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Fire Resistance Performance Design of RC Structural according to the Explosive Spalling - The Investigate Study on the PBD for Fire Resistance -)

  • 이재영;김세종;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2-209
    • /
    • 2008
  • Performance based fire engineering design is being adopted around the world as a rationed means of providing efficient and effective fire safety in Building. This development is being supported by the adoption of performance based codes which specify the objective and minimum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fire safety traditional design for fire safety which is still practiced in many countries, relies on "prescriptive" codes which specify how a building is to be built, which no statement of objective and little or no opportunity to offer more rational alterative design.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search direction of structural fire resistance design of RC structures for recommendation of PBD in Korea.

  • PDF

내화유리를 적용한 강재 유리벽의 내화성능 평가 (The Evaluation of Fire-Resistant Performance of the Non-bearing Steel Wall Using Fire Resistant Glass)

  • 이재승;임현창;양승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2-81
    • /
    • 2018
  • 방화구획 내 벽체에는 콘크리트, 조립식 패널, 건식벽체 등을 사용한 내화구조가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근래에 들어 시야 확보 및 미적 관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유리로 구성된 벽체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열 유리를 적용한 스틸 내화벽체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 방화구획에 적용 가능한 60분 내화벽체와 외부 벽체 및 커튼월에 적용 가능한 90분 내화벽체에 대하여 내화시험 및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각 시험체의 요구 내화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유리벽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1차적으로 시험체의 내화성능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전설비용 소화시스템의 성능 예측을 위한 CFD기법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CFD Method to Performance Prediction of Fire-Suppression System for Electric Power Utilities)

  • 정희택;배강열;김찬희;정인수;배진수;한용식;김종진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6-299
    • /
    • 2008
  • In the present research, the exclusive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CFD method were suggested to predict the fire-suppression performance of water mist fire-suppression equipments for design applications. The computing scope is ranged from starting pump to fire-suppression equipments, composed of three parts that calculation of flow rate and pressure distribution at each nozzle, examining of spray performance and predicting of fire-suppression performance in the fire space. Application were done to the fire-suppression system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plant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mparison between numerical results and initial design conditions in terms of thermal and fluid mechanics.

  • PDF

100MPa급 내화피복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인증 (Fire Performance of 100MP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Fire Protection Cover)

  • 송영찬;김용로;김욱종;이도범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2부
    • /
    • pp.21-22
    • /
    • 2010
  • In this research, the purpose is to share fire resistance method to secure 3 hours fire resistance performance which is regulation noticed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for 100MPa high strength concrete which is predicted to apply to high rise building and to propose the guideline for confirmation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 to which fire resistance method is applied and field application in advance.

  • PDF

설계도서 전수조사를 통한 소방시설분야 성능위주설계 현황조사 (A Survey on the Performance-based Design Status of Fire-fighting Facilities through the Whole Design Drawings and Specifications)

  • 전은구;배영훈;안성호;황철홍;홍원화;최준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155-162
    • /
    • 2019
  • 우리나라에서는 건축물의 화재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법령을 개정하여 2011년 이후 대규모 특정소방대상물을 대상으로 성능위주설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 성능위주설계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보았을 때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명안전성평가가 추가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성능위주설계 의무화 이전부터 관련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주로 행정·제도적 개선방안이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치우쳐 소방시설의 설계나 시공 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아쉬움이 큰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행 초기단계인 2016년까지 전국적으로 수행된 91편의 성능위주설계 사전심의도서를 수집하여 소방시설에 대한 성능위주설계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소화설비를 제외한 소방시설들은 성능위주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고, 설계자들은 기존의 법규위주설계에 비해 추가적으로 해당설비를 더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된 성능을 가진 상위설비를 설치하면 성능위주설계를 수행하였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성능위주설계의 시행현황 분석 - 화재시나리오 및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omestic PBD (Performance 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Fire Scenario and Simulation)

  • 안성호;문선여;류일현;최준호;황철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40
    • /
    • 2017
  •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Based Design (PBD) implemented in 4 wide areas (Seoul, Gyeonggi, Incheon and Busan) over the past 5 years was reviewed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PBD implementation and target buildings. Then, detailed status related to fire scenarios, input information for fire simulation, and grid size were analyzed with the pre-review for the PBD. As a result, the domestic PBD was mainly applied to the mixed occupancy. In the fire simulations performed on the identical fire scenario and fire space,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BD designer. Various combustibles were also considered for the identical fire source, and their combustion properties also showed considerable uncertainty.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accurate input information for predictive models of heat and smoke detectors was examined. Finally, the average grid size for the fire simulation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FDS) was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of PBD to minimize designer dependency was proposed.

룸코너 시험을 이용한 배관용 보온재의 난연성능 분석 (Evaluation of the Reaction-to-fire Performance of Pipe Insulation Material using Small Room Test)

  • 임옥근;남동군;장효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1-8
    • /
    • 2019
  • 천장이나 배관에 설치된 보온재의 연소로 인해 화재가 확산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수계소화설비의 배관보온재는 난연재료 성능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배관보온재의 일부분을 시편으로 가공하여 난연성능을 평가하고 있지만 설치환경을 고려한 실규모시험을 통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발포폴리에틸렌폼 및 고무발포보온재를 실규모 시험기준인 ISO 20632에 따라 시험하고 유럽의 난연성능 분류 기준과 비교하였다. 배관보온재 재료별로 상이한 난연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발포폴리에틸렌폼보온재의 경우 시공방법에 따라 화재성장율 및 열방출율이 달라졌다. 화재발생 시 배관보온재로 인한 연소확산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설치하는 대상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난연성능 적용이 필요하며, 시공 시 사용하는 접착제와 테이프 등 부자재의 난연성 또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