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afety Modul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Concept Design of Fire Safety Module for SV20 Service in the Korean e-Navigation System

  • Kim, Byeol;Moon, Serng-Bae;Hwang, Kwang-Il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23-330
    • /
    • 2018
  • The Korean e-Navigation system is a Korean approach to correspond with implementation of IMO e-Navigation. It provides five services, among them SV20 service, a ship remote monitoring system that collects and processes sensor information related to fire, navigation, and seakeeping performance safety. The system also detect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fires, capsizing, sinking, navigation equipment failure during navigation, and calculates the safety index and determines the emergency level. According to emergency level, it provides appropriat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for the onboard operator. The fire safety module is composed of three sub-modules; each module is the safety index sub-module, the emergency level determination sub-module and emergency response guidance sub-module. In this study, operational concept of the fire safety module in SV20 service is explained, and fire safety assessment factors are estimated, to calculate the fire safety index. Fire assessment factors included 'Fire detector position factor,' 'Smoke diffusion rate factor,' and 'Fire-fighting facilities factor.'

한국형 e-Navigation 시스템에서 화재안전모듈 범용화를 위한 선박구역 식별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the Identification of Ship Zone for Generalize of Fire Safety Module in Korean e-Navigation System)

  • 김별;황광일;문성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6-347
    • /
    • 2018
  • 이 연구는 한국형 e-Navigation 시스템에서 화재안전모듈 범용화를 위한 선박구역 식별에 관한 사례연구로, 화재안전모듈에 적용하기 위해 대상선박의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선박의 구역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 PDF

ABS 모듈의 접속부 및 전원배선 손상으로 인한 차량화재 사고사례 분석 (Analysis on the Fire Accident of Vehicle Due to Damage of Connector and wiring on an Anti-lock Brake System(ABS) Module)

  • 박남규;김진표;남정우;박종택;송재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3-19
    • /
    • 2017
  • In this paper, study of vehicle fire cases caused by connector and power wiring of anti-lock brake system(ABS) module damage is presented. The purpose of ABS module is to improve braking and steering ability under sudden stop of the vehicle by repeatedly activating and releasing the brake with electric signal via electric control unit. The electric control unit for ABS may experience incomplete contact between power line and signal line or electrical breakdow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undergoing repetitive signal change which would consequently result in electrical heat and spark, eventually leading to automotive fi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by analyzing connector and power wiring of ABS module damage conducive to the precise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vehicle fire.

선박의 화재안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afety Assessment of a Ship)

  • 이정훈;이재옥;양영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16-12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화재안전공학에서 사용되는 모델링 기법과 통계자료들을 검토하고 구조 신뢰성 분야의 확률론적 안전도 평가방법을 도입하여 선박에 대한 방화설계나 선급 규정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FSEM(Fire Safety Evaluation Module)은 화재안전도의 척도로서 마지막으로 대피하는 사람의 사망확률을 산정하는 프로그램이며, 이를 이용해서 규정에 의한 방화설비를 갖춘 소규모의 화재실에서 대피자에 대한 사망확률을 추정해 보았고, 민감도 해석을 통해 선박에 대한 정량적인 화재안전 평가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계산결과와 검토로부터 선박화재에 대한 새로운 설계지표와 대피상황에서의 인간행동에 대한 폭넓은 연구의 필요성 및 선박의 특수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재진척 모델에 대한 개발이 수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여객선 화재발생 시 대응가이던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in Case of Passenger Ship Fire)

  • 김별;황광일;정은석;문성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37
    • /
    • 2018
  • 이 연구는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중 하나인 화재안전모듈에서 화재안전지수에 따른 대응가이던스 개발에 대한 연구로, 서비스 선박 중 하나인 여객선을 대상으로 화재센서 위치에 따른 구역을 식별하고, 구역에 따른 대응가이던스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대피 유도 연구 (A Study of Fire Shunt Guidance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용우;김도현;곽호영;박희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547-1554
    • /
    • 2008
  • 본 논문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건물 내부의 화재 정보를 감시하고, 화재 발생 시 적절한 대피 경로를 제안하는 화재 대피 유도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 모델은 센서 경보 모듈(sensor alert module), 행위 제안 모듈(behavior suggestion module), 비상 장치 제어 모듈(emergency device control module) 등으로 구성된다. 센서 경보 모듈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규칙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행위 제안 모듈은 센서 경보 모듈이 생성한 위험 센서 목록(danger sensor list)을 가지고 화재지역을 파악하여 화재 위치에 따른 비상등의 방향을 제시하고, 비상 장치 제어 모듈은 제시된 비상등의 방향에 따라 관련 비상 장치를 제어하거나 화재 상태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가상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터넷 웹 기반의 화재 대피 유도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험한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하여 대형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할 경우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방용품의 강제인증을 위한 위험도평가 및 품목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Fire Equipments for Certification)

  • 최기흥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12
    • /
    • 2009
  • This study focuses on the classification of fire equipments for certification based on the risk evaluation. In general, known statistics on fire equipment-related accidents needs to be used for risk evaluation. When statistics is not available, however, expected frequency and severity of accident for individual equipment can be taken into account in evaluating the related risks. Based on the level of inherent risks, each equipment is then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certification. For equipments that risk evaluation is not possible, characteristics of those products such as reliability are considered for classification. Once classified, each equipment is assigned an appropriate certification module.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한 화학공장 방류벽 높이의 적정성 평가 (Appropriateness Assessment of Dike Height of a Chemical Plant through Development of a Hazardous Chemical Leakage Trajectory Evaluation Module)

  • 유병태;김형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121-129
    • /
    • 2019
  • 정부는 2015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화학물질을 관리하고 취급 할 수 있도록 법 제명 변경과 함께 「화학물질관리법」을 전부개정 하였으며, 특히 유해화학물질을 제조·저장·보관하는 취급시설의 설치 및 관리 기준을 대폭 강화하였다. 하지만, 일부 취급시설 기준의 경우 물리적인 공간부족과 시설개선과정 중 사고발생우려 등의 이유로 강화된 기준을 이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김에 따라 이러한 시설에 대해 2018년부터 "안전성평가"라는 특례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염산과 황산 저장탱크의 방류벽 높이 적정성을 검증하고 이격거리에 따른 방류벽 높이를 제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산업현장에서는 보다 손쉽게 해당 취급시설의 안전성 평가 특례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설계에도 활용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화재사례와 실험을 통한 화재위험성 분석 (Analysis of Fire Risk through Battery Fire Cases and Experiments of Wearable Devices)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7-55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ignition probability about Lithium-polymer batteries of what variously were being produced wearable devices recently. The study analyzed ignition probability by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operating state and overcharged, over-discharged,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of Lithium polymer batteries, analyzing wearable devices on the market. Then it classified experimental results to implement analysis comparison about weight, X-ray imaging, battery decomposition. With these experiments, the study analyzed combustion-possibility and fire patterns. These statistics will be used to measure and verify the cause of a fire when identify wearable devices using Lithium-polymer batteries.

HTML5 웹 기반 가연성 물질 누출 피해영향평가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Consequence Analysis System for Combustible Materials Release Events Based on HTML5 Web)

  • 이우귀연;지현민;오정석;조완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39-60
    • /
    • 2019
  •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진단 기반기술 국산화와 진단 역량 강화를 위해 자체적인 피해영향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유사 프로그램인 DNV PHAST나 TNO EFFECTS와 달리, API-581 기준을 근간한 ETA 분석을 통해 최종 피해영역 산출 기법을 구현하였으며, HTML5 기반 차세대 웹 기술을 기반으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혼합물질 분석이 가능하도록 3차 상태방정식(Peng-Robinson, SRK, RK)과 퓨게시티를 활용한 상평형 모듈이 구현되었고,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에 대한 확산 분석을 위해 SLAB Dispers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CCPS와 TNO Yellow Book에서 소개된 피해영향평가 알고리즘을 채용하여 누출분석 모듈, Fireball, Pool Fire, Jet Fire, Flash Fire, Vapor Cloud Explosion 영향 평가 모듈을 개발하였다. 그 외 EIGA 기준, PAC 기준 농도, Bevi Reference Book 등에서 제시된 기준 값들을 활용하여 안전거리 산출 조건을 마련하였다. 현재 전체 계산 모듈의 알고리즘 구현은 완료되었으며, 기본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 구축까지 완료되었다. 향후,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완과 더불어, 모듈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검증과 동일한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유사 프로그램 구동 결과를 비교하여 전체 시스템의 정확도를 보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