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revention

검색결과 1,545건 처리시간 0.041초

대규모 판매시설의 방화관리자의 측면에서 본 피난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Egress Behavior in Respect of the Fire Prevention Manager in the Large-scale Shopping Mall)

  • 박재성;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8-113
    • /
    • 2004
  • 백화점, 할인매장과 같이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대규모 판매시설은 화재시 방화관리 담당자의 비상대응능력 및 방화관리의 적절성이 내부 공간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의 피난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대규모 판매시설의 경우 대부분의 피난계단 등 안전한 피난출구가 평상시 고객이 접근할 수 없는 백스페이스(Back space)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객의 안전한 피난을 위해서는 방화관리자에 의한 신속한 피난개시 및 적절한 피난유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과 할인매장 방화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방화관리측면에서 피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화재 시 방화관리자의 대응행동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건축물의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소 확대 모델 조사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Fire Propagation model for Fire Simulation of building)

  • 이랑;김동은;이재원;홍해리;김동준;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61-66
    • /
    • 2011
  • 본 연구는 건축구조물의 내장재 및 실내장식물 등의 연소 성상 DB를 바탕으로 화재 성상을 예측할 수 있는 기존 모델인 칼슨모델(B.Karlsson) 및 퀸티어리모델(J.G.Quintiere)을 비교, 분석하여 그 절차 및 차이점 등을 분석한 후 국내 가연물 연소성상 DB를 토대로 개구조건 및 건물구조 등을 고려한 화재성상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자료이다. 조사 결과 칼슨모델과 퀸티어리모델의 차이점은 우선 초기 착화영역과 착화의 판단 및 연소면적 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향후 이를 기초로 실험 결과와 대비를 통한 분석을 수행 할 예정이다.

  • PDF

도매시장 화재안전관리 측면에서의 특성 및 취약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Character for Management of Fire Prevention at the Wholesale Markets)

  • 박재성;임재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50-158
    • /
    • 2010
  • 도매시장은 20년 이상의 노후화 된 건물이 많고, 구조적 특성상 건물의 밀집도가 높아 방화구획 등 연소확대 차단시설 및 소방시설의 설치 곤란, 안전의식의 부재, 불특정다수인의 출입 등으로 인하여 대형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시설이다. 이러한 취약요소 등으로 인하여 수백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2005년 서문시장 화재, 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2005년 서울 동문상가 도매시장 화재 등 시장에서 대형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매시장의 현황 및 구성주체별 특성, 화재사례 및 방재적 특성을 통계자료 등을 통해 도출하였고, 도매시장의 방화관리 현황과 화재안전관리 실태 등을 도매시장 방화관리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방화관리업무의 전문성 확보, 건물의 구조적 취약요소 개선 및 소방시설의 성능적 신뢰성 확보, 시장 종사자 소방교육의 내실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소방시설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Fire-prevention Facilities for Wooden Cultural Heritages)

  • 김태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1호
    • /
    • pp.155-171
    • /
    • 2010
  • Wooden cultural heritages have many factors of fir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vulnerable to the fire extinguishing. Also, they are surrounded with forests and so remote from fire stations, which make it difficult to handle it quickly when fires break out. Wooden cultural heritages made of wood materials belong to the general fire in a Class A. Taking characteristics such as a smoldering and a backfire from the that fire of wooden materials into consideration, extinguishing the fire by the cooling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If the fire can't be put out at the early stage,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otect wooden cultural heritages from the fire, because wooden structures can be destroyed in a high temperature and in a short time and it takes around average 7 minutes to reach its peak of flames in the process of a fire.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situ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s, currently, the fire-prevention facilities such as the auto fire detector for the prompt detection, the water mist fire suppression system for the 1st early and urgent fire suppression and the outdoor fire hydrant and the water curtain etc. for the 2nd full-scale suppression and the prevention of the fire gaining force are being installed for the wooden cultural heritages.

  • PDF

건설현장 화재예방에 관한 연구 - 용접작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ire Prevention of the Construction Sites)

  • 목연수;장성록;이영섭;고성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9-75
    • /
    • 2002
  • Current fire safety in the construction sites has developed piecemeal ove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However, the law and regulation of fire safety is insufficient to protect fro in the construction sites. The frequency of fire in the construction sites is very rare but it brings longterm deterioration durability of building structure and large scale industrial calamity. There are many process of works and each work deals with many kind of flammable material, so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proper safety fire prevention. This study executed the questionnaire and fire experiment of the welding work to provide effective fire prevention counterplan.

2005년 낙산사 화재 후 소방대책의 환경변화에 관한 조사 연구(I) - 낙산사 화재전후 소방시스템 변화에 관한 조사 - (A Study on the Environment Change of Fire Protection System After Naksan Temple Fire in 2005 year(I) - A Study on the change of Fire Fighting System before and after Naksan Temple fire -)

  • 구원회;정해준;신호준;백민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38-441
    • /
    • 2011
  • 문화재의 경우 국가의 역사를 대변하고 있는 중요한 시설로서 매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조 문화재의 화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2005년 낙산사 화재의 개요에 대해 알아보고 낙산사 화재 이후 약 6년간의 낙산사 복구 과정 중에 소방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물류창고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개선 방향: 상온창고와 저온창고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f Safety Rules for Accident Prevention of Logistics Center Accidents: Focusing on Room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Warehouses)

  • 정병현;김기홍;박상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7
    • /
    • 2024
  • When a fire breaks out in a distribution center, it causes a lot of damage. And the most casualties are caused by Fire accidents. Therefore, training for fire prevention should be mandatory at the distribution center. Also,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in room temperature warehouses and low temperature warehouses. Fire education in low-temperature warehouses should be more emphasized. This is because many fires occur in low-temperature warehouses.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ortant order of training hours and contents for fire preven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istribution center. The importance of time and content for safety education in all types of warehous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t was first decided that safety prevention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periodically in all types of warehouses

건축물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소확대 모델 개발 및 적용사례(III) - 외장재에 기인한 연소확대모델 -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Combustion Model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III))

  • 권영진;김동은;홍해리;김세종;한정철;서윤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2-36
    • /
    • 2011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중감소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외장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화재 안전성은 고려되지 않아 화재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높은 층수에 의한 바람의 영향이 증가하여 화재 시 큰 변수로 작용될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초고층에서의 화재 안전과 관련 규정이 추진되고 있으나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며 화재 안전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건축물의 화재 시 외장재와 바람이 화재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0년 부산에서 발생한 초고층 주상복합건축물의 화재 사고를 FDS를 통해 분석한 결과, 화재 시 풍속을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빠른 수직, 수평 화염 확대를 보였으며, 높은 최대 HRR값을 보였다.

  • PDF

국외 FDS 연구동향 및 적용사례 분석 (A Study on the Trends of Research and Application of FDS in the Overseas Country)

  • 이랑;김동은;김봉찬;이재원;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9-22
    • /
    • 2011
  • 최근 국내의 경우 FDS를 이용한 성능설계, 화재영향평가 및 피난안전성평가와 더불어 화재조사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반면 FDS의 소스코드의 분석 및 검증등과 관련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며 그결과 또한 구체적인 문제점제시보다는 FDS를 활용하여 실험결과와를 대비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FDS의 검증을 위한 외국사례를 조사분석하여 향후 국내에서 FDS의 활용시에 대한 주의점 및 향후 한국에서의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