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Official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1초

소방공무원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resilience of firefighters)

  • 김진우;송효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8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resilience, traumatic events,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alling reported by firefight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firefigh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200 fire officials working in D city were enrolled as the sub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the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F=4.33, p=.014) and job satisfaction (F=6.13, p=.003). The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were identified as calling (β=.25,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for resilience was 19.2%.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alling in order to increase resilience. Therefore, we suggest that professional education and programs that consider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calling.

지진 재난관리를 위한 지식경영시스템이 재난관리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on the Disaster Management Job Performance)

  • 신광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53-363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진 재난관련 지식경영시스템의 요인인 평가 및 보상체계 요인, 정보기술 요인, 지식품질 요인 및 지식경영활동 요인이 지진 재난관리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소방방재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진 재난 관련 지식경영시스템 요인 중 지진 재난 관련 정보기술, 지진 재난 관련 지식품질, 지진 재난 관련 지식경영활동 요인이 지진 재난관리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진 재난 관련 평가 및 보상체계 요인은 지진 재난관리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진 재난 관련 정보기술과 지진 재난 관련 지식품질이 높고, 지진 재난 관련 지식경영활동이 적절하게 잘 이루어질수록 지진 재난관리 업무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시재난관리체제 운영실태 분석 연구 - 소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 Focusing on Fire Service -)

  • 백동승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7-12
    • /
    • 2004
  • 이 연구는 재난관리체제의 운영실태를 소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도시와 6대 광역시 그리고 경기도지역에서 소방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난관리체제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재난관리상의 문제점은 법 제도운영체제, 행정조직, 단계별 대응체제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와 광역시를 포함하는 대도시지역과 경기도 시군지역에서 느끼는 재난관리체제 실태의 거의 상반되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도시와 시군지역에 대해서는 차등적인 재난관리체제를 마련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웹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을 이용한 산불 현황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ing Forest Fire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Web GIS Technology)

  • 조명희;김준범;김현식;조윤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3-105
    • /
    • 2002
  • 본 연구는 시 공간적 유동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산불 현황정보를 인터넷상에 시각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일반 사용자 누구나 쉽게 산불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산불관련 공무원들이 이들 정보를 실시간에 효율적으로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도록 웹상에서 정보의 입력 및 검색, 출력이 가능한 실무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의 웹 서버는 MS사의 IIS 5.0을 이용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상에서 동적인 웹 페이지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Oracle 8i와 ASP(active server page)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웹상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지도데이터로 서비스하기 위한 맵 서버로는 ESRI사의 ArcGIS IMS(internet map server)와 이들을 제어하고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언어로는 Java, VB 6.0, HTML을 이용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는 12년 간의 다양한 산불관련 현황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산불 경향과 현황을 쉽게 파악할 뿐만 아니라 이들 정보의 시각화는 국내 산불관련 정책결정 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서도 그 활용성이 클 것이라 사료된다. 나아가 일반국민들에게는 산불예방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관련 공무원들에게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산불 행정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하리라 기대된다.

  • PDF

IDENTIFICATION OF EROSION PRONE FOREST AREA - A REMOTE SENSING AND GIS APPROACH

  • Jayakumar, S.;Lee, Jung-Bin;Enkhbaatar, Lkhagva;Heo, Joon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251-253
    • /
    • 2008
  • Erosion and landslide cause serious damage to forest areas. As a consequence, partial or complete destruction of vegetation occurs, which leads to many cascading problems. In this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forest areas, which are under different risk categories of erosion and landslide, in part of Eastern Ghats of Tamil Nadu. Relevantthematic maps were generated from satellite data, topographical maps, primary and secondary data and weights to each map were assigned appropriately. Weighted overla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erosionprone forest areas. The result of erosion and landslide prone model reveals that 4712 ha(17%) of forest area is under high risk category and 15879 ha(58.65%) isunder medium risk category. The results of spatial modeling would be very much useful to the forest officials and conservationist to plan for effective conservation.

  • PDF

Pushing the Boundaries of Mass Timber Construction and Building Codes

  • Dubois, Jean-Marc;Frappier, Julie;Gallagher, Simon;Structures, Nordic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61-271
    • /
    • 2020
  • The 2020 National Building Code of Canada (NBC) and the 2021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BC) both include Tall Wood Buildings (TWB) and are hailed as documents responsible for the proliferation of Mass Timber construction. Mass Timber construction is critical to reduc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 sector acknowledged as being one of the greatest contributors of global annual CO2 emissions. Origine, a 13-storey multi-residential building erected in 2017 in a previously unsuitable site, is currently the tallest all-wood building in North America.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llenges overcome by the designers and client as they engaged with code officials, building authorities, and fire-service representatives to demonstrate the life-safety performance of this innovative building. It also traces the development of the "Guide for Mass Timber Buildings of up to 12 Storeys" published in Quebec and how it has enabled other significant Tall Wood projects across North America.

유비쿼터스 119시스템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119 Reported the Ubiquitous System of Condition Evaluation Analysis and Measures to Improvement - Focused on the Perceptions of Fire Officials -)

  • 채진;우성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8-66
    • /
    • 2010
  •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재난관리체제의 강화를 위해서는 최근에 급속히 진보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활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2008년 지령관제 GPS시스템과 유비쿼터스 119 신고시스템이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지만 그 효과성은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119 신고시스템의 실태 분석과 선행연구, 실증분석 등을 통해 효과적인 재난관리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활용도, 적합성, 정보획득 용이성, 사용의향은 높은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난관리 분야에 UIT를 확대 적용하여도 큰 문제점이 없을 것이다. 지령관제 GPS시스템은 정보 전달에 있어 신속성이 확보된다면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소방공무원의 치유농장 체험 활동에 따른 심리·생리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he Care Farm of Fire-fighters)

  • 장혜숙;유은하;김정희;정순진;김재순;류두영
    • 농촌계획
    • /
    • 제27권1호
    • /
    • pp.71-83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saliva cortisol and psychological questionnaire in order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he care farm targeting fire-fighters. In the program to experience care farms, the total cortisol concentration as a stress hormone decreased after participatio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z = 2.858, p <.01). As a result of the risk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firefighting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experience care farms, the high-risk group was found to be as high as 31.2%. In addition,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oyalty of the care farm experience activi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in the order of program satisfaction, age, and reliability, and among them, program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care farm experience activities as the application of the healing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care farms in each region and the relief of stress symptoms of fire-fighters.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과 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ary Spaces and Area Standards of Integration Fac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조진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37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집 간 격차 완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시설 질 균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이 갖추어야 할 필요공간과 면적기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공간의 종류를 표15와 같이 반드시 필요한 필수공간과 교육 보육 활동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추가되면 좋을 권장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별 면적기준(안)을 표23과 같이 제시하였다. 아울러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영유아 1인당 대지면적과 연면적, 연면적 대비 공용면적의 비율을 각각 제시하였다.

국내발전소 소방안전관리 운영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mprovement Plan and Real Condition Estimation of Fire Protection Safety Management for Power Plants in Korea)

  • 강길수;최재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61-73
    • /
    • 2017
  • 2011년 후쿠시마 원전참사나 2001년 캘리포니아 정전사태 등은 전력관련 대형재난사고로 국가적인 막대한 손실을 가져온 발전소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사례로 손꼽고 있다. 인간이 지구상에 살고 있는 한 전기가 없이 살 수 없는 상황에서 원자력, 석탄 및 가스 등 대용량의 위험물질을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가 안전관리의 소홀로 인한 화재폭발사고나 방사능누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지진 등 자연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손실예방 및 안정적 경제성장을 위해서도 체계적인 소방안전관리의 강화노력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력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남부발전 등 5개 발전사 및 한수원의 소방안전관계자를 대상으로 발전소 소방안전관리 운영실태를 조사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체계적인 발전소 소방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소방안전경영시스템의 구축을 바탕으로 소방담당자를 위한 실효적인 업무매뉴얼 및 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소방안전교육의 내실화 및 지진에 대비한 내진설계의 강화를 개선방안으로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