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Modul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선박의 화재안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afety Assessment of a Ship)

  • 이정훈;이재옥;양영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16-12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화재안전공학에서 사용되는 모델링 기법과 통계자료들을 검토하고 구조 신뢰성 분야의 확률론적 안전도 평가방법을 도입하여 선박에 대한 방화설계나 선급 규정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FSEM(Fire Safety Evaluation Module)은 화재안전도의 척도로서 마지막으로 대피하는 사람의 사망확률을 산정하는 프로그램이며, 이를 이용해서 규정에 의한 방화설비를 갖춘 소규모의 화재실에서 대피자에 대한 사망확률을 추정해 보았고, 민감도 해석을 통해 선박에 대한 정량적인 화재안전 평가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계산결과와 검토로부터 선박화재에 대한 새로운 설계지표와 대피상황에서의 인간행동에 대한 폭넓은 연구의 필요성 및 선박의 특수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재진척 모델에 대한 개발이 수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주거공간 에어로 시스템 배치에 관한 화재시뮬레이션 연구 (A Study on Fire Dynamics Simulation on the Arrangement of Aero System in the Residential)

  • 최두찬;고민혁;이두희;박계원;최정민;이용권;김길남;선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890-896
    • /
    • 2021
  • 연구목적: '에어로 시스템'이란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화재 특성상 신속한 감지가 무엇보다 중요함으로 개발하고 있는 제품을 주거 공간 어느 지점에 배치를 하였을 때 신속하게 감지를 할 수 있는지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8평형의 주거 공간에서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화재 환경이 빨리 노출되는 지점을 찾고자 침실, 거실 별로 측정점을 높이 0.6m, 1.5m 지점으로 설치하여 빨리 감지 되는 지점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 1.5m 지점으로 설정한 온도 및 일산화탄소 센서가 기준 치에 빨리 감지 되는 지점을 확인하였다. 결론: 소화모듈과 AQI모듈이 분리된 제품을 벽에 부착형으로 설치할 경우 화재 감지가 상대적으로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A parametric study on the use of passive fire protection in FPSO topside module

  • Friebe, Martin;Jang, Beom-Seon;Jim, Yanli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826-839
    • /
    • 2014
  • Fire is a continuous threat to FPSO topside modules as large amounts of oil and gas are passing through the modules. As a conventional measure to mitigate structural failure under fire, passive fire protection (PFP) coatings are widely used on main structural members. However, an excessive use of PFP coatings can cause considerable cost for material purchase, installation, inspection and maintenance. Long installation time can be a risk since the work should be done nearly at the last fabrication stage. Thus, the minimal use of PFP can be beneficial to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 and the avoidance of schedule delay. This paper presents a few case studies on how different applications of PFP have influence on collapse time of a FPSO module structure. A series of heat analysis and thermal elasto-plastic FE analysis are performed for different PFP coatings and the resultant collapse time and the amount of PFP coating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수/배전반의 부분방전 검출 모듈 설계와 상관관계 (Design o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Sensor Module and Correlation for Power Incoming/Distributer)

  • 조도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243-247
    • /
    • 2014
  • 본 논문은 수/배전반에 대한 오류 및 전기 화재를 일으키는 부분 방전을 측정하기 위한 두 가지 형태의 센서 모듈 설계하고 이들의 성능을 평가한다. 설계한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전류의 관계와 부분 방전 및 과열을 분석한다. 수/배전반의 고장이나 전기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보를 분석 및 이용을 이용하여 안정성 지수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RTSP 모듈을 이용한 원격 화재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Design of Remote Fire Video Monitoring System using RTSP Module)

  • 임종천;이재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2-88
    • /
    • 2018
  • 기존의 원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은 화재 현장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기능이 충분하지 않아 화재 발생 시 실제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여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RTSP 모듈을 이용한 원격 화재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화재 현장을 실시간으로 문자와 경보음 및 영상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RTSP 모듈, 전용서버와 클라이언트 그리고 원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한다. 이동형로봇 등에 부착된 카메라에서 송수신하는 영상을 Wi­Fi를 이용하여 RTSP 기능이 포함된 서버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동한다. 설계한 실시간 동영상의 수신이 가능한 일체형 원격 화재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 시험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동영상이 수신됨을 확인 하였다.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화재사례와 실험을 통한 화재위험성 분석 (Analysis of Fire Risk through Battery Fire Cases and Experiments of Wearable Devices)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7-55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ignition probability about Lithium-polymer batteries of what variously were being produced wearable devices recently. The study analyzed ignition probability by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operating state and overcharged, over-discharged,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of Lithium polymer batteries, analyzing wearable devices on the market. Then it classified experimental results to implement analysis comparison about weight, X-ray imaging, battery decomposition. With these experiments, the study analyzed combustion-possibility and fire patterns. These statistics will be used to measure and verify the cause of a fire when identify wearable devices using Lithium-polymer batteries.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한 화학공장 방류벽 높이의 적정성 평가 (Appropriateness Assessment of Dike Height of a Chemical Plant through Development of a Hazardous Chemical Leakage Trajectory Evaluation Module)

  • 유병태;김형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121-129
    • /
    • 2019
  • 정부는 2015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화학물질을 관리하고 취급 할 수 있도록 법 제명 변경과 함께 「화학물질관리법」을 전부개정 하였으며, 특히 유해화학물질을 제조·저장·보관하는 취급시설의 설치 및 관리 기준을 대폭 강화하였다. 하지만, 일부 취급시설 기준의 경우 물리적인 공간부족과 시설개선과정 중 사고발생우려 등의 이유로 강화된 기준을 이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김에 따라 이러한 시설에 대해 2018년부터 "안전성평가"라는 특례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누출궤적 평가모듈 개발을 통해 현장에 설치된 염산과 황산 저장탱크의 방류벽 높이 적정성을 검증하고 이격거리에 따른 방류벽 높이를 제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산업현장에서는 보다 손쉽게 해당 취급시설의 안전성 평가 특례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설계에도 활용하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박화재의 인명안전평가 해석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sment under Ship′s Fire)

  • 양영순;정정호;이재옥;공수철;여인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1-247
    • /
    • 2001
  • A Fire Safety Evaluation Module(FSEM), which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risk of evacuees when fire occurs in buildings or ships,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developed FSEM can be applied to multi-room structure. Basic input data for the FSEM are prepared by fire model and evacuation model. CFAST which is one of the existing fire models is used as fire model and MonteDEM evacu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evacuation model, respectively. MonteDEM evacuation model makes use of distinct element method and Monte-Carlo simulation, and it can also take into consideration ground inclination by ship motions in order to simulate the real situation of evacuation. Some typical situations are modelled for illustrative examples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evacuee's risk under fire accident is carried o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