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Model

검색결과 1,374건 처리시간 0.024초

방화구획에 있어서 수막설비의 이론적 고찰 (An Analytical Study of Water Curtain in Fire Partition)

  • 김화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9
    • /
    • 1989
  • This paper is study that the mathemetical model of water mebrane splinklikler capacity in fire prevention block. The methmetical investigation are performed about prediction of five temperature in room and water membrane splinkler capacity by use of experimental model. The good correlation between predicted and experimental results is indication the adequacy of the mothemetical model. However. further experimental and analytical worke are needed before a more general mathemetical model can be proposed.

  • PDF

A Room-Corner Fire Model을 적용한 건축내장재의 화재확산 특성 평가(1)

  • 김운형
    • 방재기술
    • /
    • 통권24호
    • /
    • pp.32-39
    • /
    • 1998
  • A room-corner fire scenario of ISO 9705 with flame spread model developed by Quintiere is applied to the interior finish materials to show the sensitivity of properties derived from AST, E-1321 and ASTM E-1354 is investigated and various range of thermal properties by the author were analyzed in the model. There are including flame heat flux and thermal inertia, lateral flame spread parameter, heat of combustion and effective heat of gasfication. The time for total energy release rate to reach 1MW is examined. Though some areas are neede for improvements, The model appears to predict good results with all the range of input properties and could be

  • PDF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전통시장 화재 감지에서 YOLOv8 객체 탐지 모델의 성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YOLOv8 Object Detection Model Performance in Fire Detection in Traditional Markets Using Thermal Cameras)

  • 고아라;조정원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17-126
    • /
    • 2023
  • Traditional markets, formed naturally, often feature aged buildings and facilities that are susceptible to fire. However, the lack of adequate fire detection systems in these markets can easily lead to large-scale fires upon ign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tecting fires in traditional markets, utilizing thermal imaging cameras for data collection and the YOLOv8 model for object detection experiments. Data were collected in the night markets within traditional markets of xx city and by simulating fire scenario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ano and XL models of YOLOv8 revealed that the XL model is more effective in detecting fires. The XL model not only demonstrated higher accuracy in correctly identifying flames but also tended to miss fewer fires compared to the Nano model. In the case of objects other than flames, the XL model showed superior performance over the Nano model. Taking all these factors into account, it is anticipated that with further data collection and improvement in model performance, a suitable fire detection system for traditional markets can be developed.

케이블 화재의 화염전파 해석을 위한 FDS 모델의 격자민감도 평가 (Assessment of Grid Sensitivity in the FDS Field Model to Simulate the Flame Propagation of an Electric Cable Fire)

  • 김성찬;이성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35
    • /
    • 2008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grid resolution on the predicted results for electric cable fire using pyrolysis model in FDS(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The grid independent test for different grid resolutions has been performed for a PE coating cable and the grid resolution is defined by the non-dimensional characteristic length of fire and mean grid size. The calculated maximum heat release rate and mean flame spread rate were almost constant for higher grid resolution of 20${\sim}$25 and the computing time for the grid resolution takes approximately 20hours to solve flame propagation with pyrolysis model. The geometrical simplification of a electric cable dose not greatly affect on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and flame spread rate and the rectangular approximation of cable shape gives acceptable result comparing with the round cable with stepwise grid.

필드모델에서 연료소모에 기초한 화학적 화염높이 산정 (Estimation of Chemical Flame Height based on Fuel Consumption in a Fire Field Model)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92-97
    • /
    • 2016
  • 본 연구는 필드모델에서 소모된 연료에 기초하여 화학적 화염높이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높이 방향으로 HRRPUL의 누적값과 연료농도에 따른 계산 알고리즘을 FDS 해석결과에 적용하였으며 평균화학적 화염높이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순간화염높이의 시간평균을 통해 산정하였다. 연료농도에 기초한 평균화염높이는 HRRPUL의 누적값에 의해 계산된 화염높이와 10% 이내의 상향예측범위에서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전산화재해석모델에서 정량적인 화염높이를 산정하고 보다 상세한 화재거동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지하역사 축소모델을 이용한 연기확산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moke Spread Using a Reduced-scale Subway Building Model)

  • 김명배;최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9-56
    • /
    • 2008
  • 대구 지하철 화재가 발생한 중앙로 역사를 1/20 축소모델로 제작하여 연기확산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하역사의 양쪽으로 연결된 터널을 모델 실험에서도 구현해야 하지만 실험실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짧은 길이의 덕트에 유동저항을 줄 수 있는 메쉬를 부착하여 터널을 대신하였다. 방화로 인해 좌석에서 화재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화재 시나리오는 좌석의 가연물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고 가시화 장치와 온도 측정으로 역사로의 연기 전파 시간을 측정하였다. 현재 지하역사 화재시 보편적 개념으로 확립되어있는 급기형태의 제연 방식이 연기확산을 촉진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화재 환기가 없을 때 지하 3층 승강장에서의 화재발생으로부터 지하역사 전체에 연기가 확산되는 데에는 약 10분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불티의 성상을 고려한 도시화재 시뮬레이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rban Fire Simulation on Firebrand Scattering)

  • 구인혁;서동구;김봉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67-72
    • /
    • 2015
  •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재성장 및 도시화로 인해 도시지역의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강풍에 의한 불티의 비산으로 화재가 확대될 위험성이 존재한다. 하지한 현재 불티의 성상에 대한 모델 구축 및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건축연구소(BRI)의 풍동 시설을 이용한 불티의 성상 실험을 통하여 비산모델을 구축하고 기존의 도시화재 시뮬레이션을 개선하였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a BACnet-based Fire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use in Buildings

  • Song Won-Seok;Hong Seu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4권1호
    • /
    • pp.70-76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reference model of a fire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using MS/TP protocol. The reference model is designe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response time and flexibility. The reference model is operated on the basis of BACnet, a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for building automation systems. Validity of the reference model was examined using a simulation model.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BACnet-based fire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in terms of network-induced dela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ference model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fire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건물 내 고체연료 화재에 대한 설계화재곡선 예측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Design Fire Curves for Solid Fuel Fire in a Building Space)

  • 백빛나;오창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47-55
    • /
    • 2019
  • 건물형태의 공간 내에서 발생한 고체연료 화재에 대해 Fire dynamics simulator (FDS)을 이용하여 설계화재곡선의 예측성능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FDS의 연소모델로서는 EDC 2-step mixing controlled를 적용하였으며 검토된 설계화재곡선들은 기존 연구들에서 제안한 2-stage design fire (TDF) 곡선, Quadratic 및 Exponential design fire 곡선들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건물 내 연기 전파과정이 설계화재곡선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계화재곡선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건물 내 실험온도결과에 대해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TDF가 가장 온도를 무난하게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설계화재곡선의 화학종 농도에 대한 예측은 실험과 충분히 예측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점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소모델은 고체연료 화재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적합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고체연료의 예측에 대한 FDS 연소모델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스프링클러 분무가 화재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 of Sprinkler Spra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duced by Fire)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105-110
    • /
    • 2012
  • 본 연구는 수치적 접근방법을 통해 스프링클러 분무가 화재공간내부 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화재유동 및 분무유동장 해석을 위해 적용된 수치해석모델은 FDS 5.5.3이며 격자독립성시험을 통해 최적 격자를 선정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Magnone 등이 수행한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FDS 모델에 의해 계산된 화재공간 내부의 온도분포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나 스프링클러 분사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차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전 연구와 같이, FDS 계산결과는 스프링클러 분무에 의해 화재실 출입구를 통한 연소생성물의 유출질량유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프링클러 분무가 포함된 화재유동장에 대한 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