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Extinguisher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1초

공사현장 근로자의 임시소방시설에 대한 집단 간 Ambivalence 차이분석 (Analysis of Ambivalence Differences among Groups for Temporary Firefighting Facilities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 문필재;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765-778
    • /
    • 2021
  • 이 연구는 공사현장 근로자의 임시소방시설에 대한 집단 간의 사전 지식을 비교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맞는 개선방안을 강구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화기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소화기 관리책임자를 지정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시공사 공종별로 소화기 관리책임자를 지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소방관리자 87%, 설비감독자 70%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근로자들이 임의로 화기 작업장으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작업 후 그냥 방치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소화기 관리책임자를 지정하고 수시로 점검하고 재배치하는 관리지정이 필요하다. 둘째, 간이소화장치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간이소화장치 무단사용 시 벌칙적용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비상경보장치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임시방송설비로 비상경보음 발생 적용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유도등의 경우 시공사, 감리원, 협력사 근로자와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연계 적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협력사 공종별로 피난구 유도등과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연계 적용은 건축근로자 65%, 전기근로자 55%가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연계 적용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건축물 구조상 피난구 유도등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서 통로유도등 및 비상조명등과 연계 적용하여 출입문의 방향을 먼 거리에서도 쉽게 구별하여 작업자가 인지하여 안전하게 대피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스마트 홈 가스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및 현장시험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Smart-home Gas Safety Management System)

  • 박규태;김은정;김인찬;김희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28-13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가스안전에 적합한 무선 ZigBee통신모듈과 스마트 홈 가스안전기기 및 관리시스템 개발하여 가스안전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마이컴가스미터, 자동식소화기, 감지기 및 월패드로 구성된다. 마이컴미터는 가스압력, 가스유량, 지진을 모니터링한다. 자동식소화기는 가연성 가스의 누출상태, $100^{\circ}C$(차단)와 $139^{\circ}C$(화재)의 온도를 측정하며, 감지기는 연기와 일산화탄소(CO)를 검지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 가스사용중 이상상태발생시 마이컴가스미터는 경보와 함께 내부밸브를 차단시키고, 자동식소화기는 중간가스밸브를 차단하거나 소화약재를 분사시킨다. 감지기는 연기와 CO를 감지할 경우 각각 신호를 발생시켜 후속조치를 취하게 한다. 가스안전기기와 센서들은 자동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그 정보를 월패드로 전달한다. 월패드는 실시간 상황정보를 서버에게 전달하고 사용자는 웹이나 모바일 앱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가스의 상황정보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반 가스안전 및 위험관리의 시나리오를 고안하고 현장적용시험을 통하여 그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중발포 소화약제 소화성능 분석을 통한 중발포기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dium Expansion Foam Extinguisher by a Fire Performance Analysis used Medium Expention Foam Agent)

  • 이장원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02-408
    • /
    • 2019
  • 연구목적 : 포소화설비에 사용되는 중발포 소화약제는 기류에 영향이 적어 방출거리를 유지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화약제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중발포기를 이용하여 발포배율 및 소화성능을 실험으로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중발포 시험장치를 제작하여, 합성계면활성 제포를 대상으 로 유류화재(B급) 소화성능 및 발포배율 분석과 포소화약제 소모량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발포기로 발포배율을 측정한 결과 팽창율이 26.1배의 중발포 배율로 나타났으며, 유류화재 20단위 소화모형 실험결과 소화시간이 고발포 및 저발포 보다 빠르게 나타나, 수동식설비인 호스릴 또는 중발포기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발포 포소화약제 발포성능 및 소화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점을 고려하여 중발포 소화약제를 활용한 호스릴 또는 중발포기의 기술기준 도입이 필요하다.

태양광 접속반의 자동 화재 예방 및 진압 시스템 설계 (Design of Automatic Fire Prevention and Suppression System for Photovoltaic Connection Module)

  • 이강원;양오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38
    • /
    • 2022
  •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es a solar module that collects solar radiation energy, a connecting board that collects DC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module, and a diode to prevent reverse current from flowing from an inverter to the solar module. The existing photovoltaic connection module consists of only fuses and diodes for reverse polarity and overcurrent blocking, and does not have fire diagnosis, prevention, and suppression functions in the event of a fi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monitor the internal state of the photovoltaic connection module using several sensors and to prevent and extinguish a fire using solenoid valves and fire extinguishing agents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normally suppresses the fire in event of a fire.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의 B, C급 소공간 화재 소화성능 연구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Condensed Aerosol Extinguisher on the B,C Class Fire in a Small Cabinet)

  • 박용환;김범규;이성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39-146
    • /
    • 2009
  • 현재 배전반, 소규모 유류저장고 등은 법적 의무 대상 공간이 아니어서 화재시 초기소화 실패로 인해 큰 재산상의 피해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소공간 화재에 대응할 수 있는 적합한 소화장치의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소공간용 소화장치에 대한 KFI 인정기준은 제정되어 있는 상태지만 다양한 새로운 기술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어 소공간 소화장치에 대한 세분화된 법적기준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KFI 인정기준으로도 제정되어 있는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가 B,C급 배전반, 분전반 등의 소공간 화재에 미칠 수 있는 소화성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고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의 소공간화재 적합성 여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Methods of Flame Retardants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 Son, Dong Won;Han, G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90-596
    • /
    • 2014
  • Wooden cultural heritages of Korea have been destroyed by fire in many cases. As a result, a number of methods to protect wooden cultural properties against fire were introduced. A way of protecting wooden cultural properties installations of fire equipments such as sprinkler, fire alarm system, or fire extinguisher. Another way of protecting wooden cultural properties is to treat them with flame retardants for their safety. Development of a very effective flame retardant with a good performance without affecting danchung and wood quality is required. At the same time, methods of evaluating flame retardant treated woods should be devised to assess their efficacy. In this study, combustion characteristics using cone-calorimeter, limit oxygen index, moisture absorption, iron corrosive and weathering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flame resistance efficacy and performance of flame retardants treated woods. The evaluation methods of flame retardants for wooden cultural heritage were suggested.

안전체험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afety education, safe experience for students to develop research simulreyiteo)

  • 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6-59
    • /
    • 2010
  • In this study, the safety training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Korea's safety training and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practical training for the safety experience of a virtual reality simulator, the development of safe conduct as a controlled motion simulator system, image H / W and the control system works, sound effects H / W and the control system works, 4D special effects (smoke, heat, wind, vibration) and a control system integration, mission control system for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posal, and safety training on Game S / W of development as we have never experienced an earthquake action plan and evacuate to escape the power of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an earthquake (vibration + video), Also the collapse and a fire escape on the experience of following second disaster, the building collapsed during an escape experience in the field, in case of fire According to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extinguisher usage experience - experience of smoke and heat to escape in, Moreover, the Daegu subway fire in public places such as subway and evacuated to escape the experience, considering the suggested Simulator.

주거용 건축물의 화재 예방에 관한 고찰 (A Study to Prevent the Fire in Residential Buildings)

  • 박경진;김혜리;이봉우;박신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2_2호
    • /
    • pp.307-312
    • /
    • 2020
  • 본 연구는 주거용 건축물에 설치하는 단독경보형감지기와 소화기의 보급률의 문제점과 개선대책을 제시한 연구이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최근 8년간 전체 화재의 18%, 사망자의 45%가 주거용 건축물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2019년 현재 주거용 건축물에 설치하는 기초 소방시설의 보급률은 60%에도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안전에 대한 대책의 수립을 위해 관련 법령 및 화재 발생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첫째 60세 이상의 노인 계층 및 소방차량 진입 곤란 지역의 재난 약자를 대상으로 무상보급, 둘째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재난 안전 수당의 도입, 셋째 공인중개사법의 개정을 통한 보급 확대, 넷째 각종 안전교육을 통한 기초 소방시설의 자율적 설치유도 및 Data base system의 구축을 통한 기초 소방시설의 보급률 증가, 다섯째 공동주택 국가 화재안전기준의 제정을 제안하였다.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 방재를 위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 장형순;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25-32
    • /
    • 2008
  •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cultural property is very important management and historical duties. The reason can't be measured values with monetary scale of our contemporary. Therefore, this paper was considered fire-safety as one of terrible threat-disasters about the wooden buildings. This research deal with 47 cases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 by whole investigation(field survey and interview) in Gangnung province. The most buildings have basic fire extinguisher; ABC powder. A few buildings are rarely installe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s; outdoor fire hydrant, heat sensor, ground sprinkler, CO2-hose-reel. But these state is very insufficient for the fire-safety in cultural property wooden buildings. Specially as particular attention in province, forest fire of regional characteristic have close relation with cultural property fire. The majority of factor against forest and building fire is to provid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CCTV, Fence, Sensor, Alarm and paid guard man against incendiar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the organic cooperation such a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est Servic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gional citiz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