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Extinguisher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3초

자동차 엔진 화재용 자동 소화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he Engine Compartment Use Of Automobiles)

  • 임성묵;정기창;김홍;강영구;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7-61
    • /
    • 1996
  • Our goal was to make a cost-effec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he engine compartment use of automobiles. We designed this system for the engine compartment. This system consists of 1)foam extinguisher, 2)four nozzles, 3)a pipe arrangement, and 4)an extinguish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a glass bulb as detector. First and foremost, the extinguishing device was carefully designed to keep the system cost to a minimum. Second, a AFFF foam extinguisher was used because no other fire-fighting agents proved effective against fire in the engine compartment. The AFFF(Aqueous Film Forming Foam) agent which was used in the extinguisher is the 3M company's Light Water. We sought, however, to make other foams by using Halon 1301 and Halon alternatives such as HCFC Blend A, HFC-227ea. We selected these alternatives instead of air in order to raise the expansion ratio of the AFFF agent. By these means we discovered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pansion ration of the AFFF agent up to 44:1. We then demonstrated that ou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and lowest cost-system yet devised for passenger cars.

  • PDF

음파 소화기를 이용한 안전 스토브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afe Stove System using Sound Wave Fire Extinguisher)

  • 서윤원;이석재;박형주;김기남;최용래;황형준;한승한;심동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34-3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초로 음파 소화기를 이용한 자동 화재진압 기능을 가진 안전 스토브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개발하였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센서와 연동된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화재를 감지하고 음파 소화기를 구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구조를 가진다. 음파 소화기는 스피커와 콜리메이터로 구성되며, 오디오 증폭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에 의해 구동된다. 스토브를 둘러싸는 인클로저를 사용해 거리에 따른 음파의 확산을 막아 음파의 감쇠를 줄일 수 있었다. 이때, 사용된 음파의 주파수는 50 Hz이며, 음압은 소화기로 부터 0.5 m 거리에서 93 dBA로 측정되었다. 7 cc 및 14 cc의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한 화염에 대해 진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최대 8 s와 15 s로, 각각 자연소화 시간의 24%와 42%에 해당한다. 제안된 안전 스토브는 기존 안전 스토브와 비교하여 무해하고 잔여물질이 남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되어 원활한 초기 화재 진압 및 화재 확산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의 적합성 실증분석을 통한 가정용 소화기의 디자인 개선방안 (Methods to Improve the Design of Household Fire Extinguisher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 Compatibility)

  • 이성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58-66
    • /
    • 2020
  • 주택의 경우에는 소방법에서 제외 대상으로 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초기 소화에 골든타임을 놓쳐 대부분 인명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주택에서 화재와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소방법을 개정하여 정부에서는 2017년부터 단독 주택에도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하였다. 소방청 2018년 주택용 기초 소방시설 설치 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체 비치율이 34.8%에 불과하다. 소화기는 화재 시에는 꼭 필요한 기구이지만 가정집에서는 기피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투박하고 빨간 색상으로 되어 있어 집안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소화기도 평상시에는 장식품과 팬시용품처럼 집안에 비치해 두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심플하면서도 디자인이 다양한 소화기가 있어야 한다. 집안 어디에 두어도 장식물처럼 어울릴 수 있는 제품이라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이제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심플한 소화기가 개발되도록 관련업체의 디자인 개발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 상품화를 기대한다.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xed Aerosol Auto Fire-Extinguishing Systems)

  • 최병오;홍창수;권성원;박선규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77-282
    • /
    • 2008
  • 기존의 범용적인 분말 소화기 또는 가스계 소화장치와는 달리, 특정 성분의 고체 물질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알칼리 금속염이 함유된 에어로졸 형태의 고농도 소화성분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는 화재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되며, 이때 방출되는 에어로졸은 입자 크기가 $1.0{\mu}g$ 이하로 매우 작아 우수한 소화성능을 나타내며, 또한 지구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차세대 자동소화장치이다.

  • PDF

Long Jet Monitor의 소화수 분사 거리에 대한 유동 해석적 연구 (A Study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for the Water Spray Distance of Long Jet Monitor)

  • 조재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907-913
    • /
    • 2023
  • Currently, the sprinkler method is widely used as an initial suppression method in existing firefighting systems. However, this method can cause significant damage to both equipment and facilities in the hydration area. To minimize this damage, fire extinguishing monitors are being developed that can spray fire extinguishing water directly at the point of fire. These monitors are installed on the top floor of the ship, such as the Living Quarter and Ventilation System. While conventional fire extinguishing monitors focus on lightweight research with a short spray port and require a spray distance of about 40 to 45m, recent developments necessitate a longer spray port, similar to a water cannon, requiring a spray distance of about 70 to 75m.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injection distance of both the existing ship-installed fire extinguisher and the long spray port fire extinguisher through hydrodynamic computer analysi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injection distance has increased.

국내 자동차 관련 화재발생 위험성 분석 및 초기소화의 효과성 연구 (The Analysis of the Risk of Vehicle Fires in Korea and the Effectiveness of Initial Fire Extinguishing)

  • 류주열;이창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0-27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동차 관련 화재발생 현황 및 위험성을 평가하고 초기 소화기구의 사용에 따른 피해저감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자동차 화재의 발생 빈도에 대한 위험성 분석과 화재발생시 자동차에 비치되어 있는 소화기를 사용하여 초기 소화에 적용한 사용에 따른 인적 및 재산피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자동차 화재 발생에 따른 건당피해액은 연평균 증감률이 4.74%이고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화재현황 중 승용자동차에서 발생한 인명피해를 연도별 화재발생 건당 인명피해로 분석한 결과, 화재발생 100건당 재산피해액은 424.65만원에서 473.06만원으로 과거 5년간(2012년~2016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결론: 승용자동차 화재시 소화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화재발생 1건당 평균 재산피해액은 약 307.5만으로 산정되어 초기 자동차 화재에 차내에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한 초기소화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요구된다.

딥러닝 기반 지하 공동구 내 소화기 객체 탐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Deep Learning-based Fire Extinguisher Object Detection Model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s)

  • 박상미;홍창희;박승화;이재욱;김정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922-929
    • /
    • 2022
  • 연구목적: 본 논문은 지하공동구 내 CCTV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소화기를 탐지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딥러닝 기반 지하공동구 내 소화기 탐지를 위해 다양한 소화기 이미지를 수집하였으며 CNN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One-stage Detector 방식을 적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지하공동구 내 CCTV 영상을 통해 10m 이내의 거리에서 촬영되는 소화기의 검출률은 96%이상으로 우수한 검출률을 보여준다. 다만 10m 이상의 거리에서는 육안으로도 확인하기 힘든 상태로, 소화기 객체 검출률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논문은 지하공동구 내 소화기 객체를 검출하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해당 모델이 높은 성능을 보여 지하공동구 디지털트윈 모델 연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폐 소화기 재활용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motion of Recycling of Old Fire Extinguishers)

  • 진영배;정명원;오정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56-16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국외 폐 소화기 재활용 제도를 분석하고 국내 재활용 운영실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폐 소화기 재활용 제도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폐 소화기 재활용 촉진 방안은 첫째, 폐 소화기의 재활용 처리에 대한 제도 마련이다. 둘째, 폐 소화기 재활용처리 시스템 구축, 소화기의 회수 및 수집 운반 재활용 홍보 교육 등 전문성을 고려한 매뉴얼 개발이다. 셋째, 폐 소화기 수거에 대한 체계적이고 안전한 처리를 위한 다각적인 홍보 및 기술지원을 위한 교육 상담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와 소화기 관련기관 차원에서 폐 소화기 재활용 촉진을 통해 환경의 오염을 막고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들이 재생산되어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소방안전산업의 육성을 통해 소화기 품질 강국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술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