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ancial Support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3초

기혼자녀의 성별에 따른 부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및 수혜의 영향 요인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inancial supports and benefits between an adult married child and the parents by gender)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1호
    • /
    • pp.79-9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married adult on child-toparent and on parent-to-child financial supports. The data, derived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was obtained from the Survey Research Center at Sung Kyun Kwan University. The samples included 367 married adult children who had more than one living par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monthly household incom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financial supports that adult children provided to their parents or that the parents provided to their child. The expectation of financial supports from their parents in the future was a important factor that affected the level of female and male children's financial supports that they received from their parents. The level of instrumental supports from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s-in-law did influence the level of financial transfers between them. These results showed that financial transfers between married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differed based on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s the supporting parents, and whether or not the children or parents had alternative resources available to them for financial supports. Moreover, the variation in financial supports and benefits showed complex differences based on the gender of the children, and based on whether the financial support was coming from the respondent's parents or their partner's parents.

비영리 조직에 대한 정부재정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Financial Supports of Government for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 노연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9권
    • /
    • pp.129-161
    • /
    • 2002
  •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financial structure and governmental support between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In addition, it analyzes what factors are related to governmental supports for both typ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Guided by the argument that specific areas where nonprofits primarily operate can explain a difference of relations between nonprofit organizations and funders, this study compares revenue sources and expenditure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Also, based on resource dependence theory and taking some important indexes from financial ratio analysis, this study also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governmental supports for nonprofit organizations.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10,690 organizations that reported tax form 990 in 1996.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study.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obtained more revenue from government than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Als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ggests that revenue diversification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overnmental supports for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 PDF

전문건설업체와의 상생협력을 위한 일반건설업체의 재무지원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Analysis Framework of General Contractors' Financial Supports for Specialty Contractors)

  • 이상옥;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59-462
    • /
    • 2008
  • 건설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상생을 위해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의 파트너링 형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건설업체에서는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을 위해 다양한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특히 재무지원이 가장 효과적인 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건설업체와의 상생협력을 위한 일반건설업체의 재무지원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분석 기본틀(analysis framework)을 개발하는데 있다.

  • PDF

장애인 주택개조 비용이 거주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using renovation cost for the disabled on their housing satisfaction)

  • 이소영;김미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2-175
    • /
    • 2011
  •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for the disabled is limited since a certain amount of budget needs to be distributed for a number of disabled famil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und renovation for the disabled effectively and properly.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renovation which intended to improve housing conditions in terms of accessibility (barrier free) and comfort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larger outcome and smaller bud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 such as renovation cost and renovation elements, influence satisfaction of resi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recipients of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renovation and refurbishment from City of Seoul and Ministry of Heal and Welfare. A total of 155 cases were analyzed using post occupancy survey and analysis of project cost data. Overall, more cost were used for modification for housing condition improvement than the cost for removal of architectural barriers. Renovation cost differences were not apparent among the type and extent of an individual's disabilities. Instead existing housing type and physical condition for the housing affects cost for renovation more significantly. Overall the renovation cost is positively related to resident's satisfa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 PDF

기업복지 서비스 유형이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 생활만족의 매개효과 (Employee Benefit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 이희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74-185
    • /
    • 2014
  • 기업이 제공하는 각 종 복리후생 서비스들이 근로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연구이다. 노동패널 1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휴가, 가족지원, 미래대비 서비스가 모두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제공 수준이 낮은 의료관련 지원은 생활만족에도, 조직몰입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반면 미래대비 서비스의 경우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고, 생활만족을 통한 효과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생활만족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국, 기업이 제공하는 다양한 복리후생 서비스들은 근로자들의 일상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들로 복리후생 서비스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에서 생활만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앞으로의 복리후생연구에서 생활만족과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Social Welfare Analysis of Policy-based Finance with Support for Corporate Loan Interest

  • NAM, CHANGWO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3권4호
    • /
    • pp.45-67
    • /
    • 2021
  • We analyze the social welfare effect when a policy-based financial system (PFS) enters a decentralized financial market. Particularly, the PFS in this case supports the interest spread for corporate loans held by firms with heterogeneous bankruptcy decisions under an imperfect information structure. Although support for capital costs through the PFS expands the economy consistently, the optimal level of PFS out of the corporate loan market is estimated to be 8.6% by a simulation model considering social welfare adjusted by the disutility of labor. This result is much lower than the recent level of PFS in the Korean financial sector.

금융업 종사자의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 및 창업의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Retirement Expectations & Social Supports &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Employees Engaged in Financial Business on the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 김형석;강신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1-265
    • /
    • 2022
  • 2019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6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9%를 차지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의 압축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금융업 종사자는 대표적인 고임금 근로자들로 업종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금융업 종사자 대부분이 정년이전에 희망퇴직을 하는 경우가 많고, 퇴직 이후에 성공적인 전직이나 창업을 하는 경우도 드물다. 본 연구는 금융업 종사자들의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 및 창업의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특성에 따라 노후준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및 대구지역에 근무하는 금융업 종사자 280명이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업 종사자의 은퇴기대가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은퇴를 새로운 출발로 보는 사람들은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융업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는 경제적 노후준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가족관계는 신체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에는 가족관계와 친구관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융업 종사자의 창업의지는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금융업 종사자의 개인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 여부 및 직장 내의 직급은 노후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창업교육 경험 있음은 경험 없음에 비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광지 지식과 균형성과표 관점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asual Relationships among Tourist Destination Knowledge and BSC Performance Perspectives)

  • 표성수;정승훈;장혜숙
    • 지식경영연구
    • /
    • 제6권1호
    • /
    • pp.1-17
    • /
    • 2005
  • Both knowledge management and BSC practices are in its inception in the tourism field, and the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nd BSC perspectives using correlations and path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tourist destination knowledge and BSC performance perspectives. The study model added knowledge perspectives to the usual BSC model (with customer, growth and learning, internal process, and financial perspectives), in addition to the modification of the financial perspectives to economic, socio-cultual and physical impact. The study found out that knowledge supports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greatly, and less extent, internal processes and customer perspectives. Learning and growth affects internal processes and customer perspectives. Internal process supports customer perspectives. Both customer and, less extent, internal process have impact on the final results. The final analysis results were different by destination type. The stud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including rational BSC model for tourist destina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BSC performance indicators.

  • PDF

정부의 금융지출이 자본축적 경로에 미치는 효과: 포스트 케인지언 분석 (A Post-Keynesi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Government Financial Expenditure on Capital Accumulation)

  • 고민창;이상헌
    • 사회경제평론
    • /
    • 제38호
    • /
    • pp.163-198
    • /
    • 2012
  • 본 연구의 거시동학모형은 전통적인 포스트 케인지언 성장 분배모형에 기업부채라는 금융변수를 고려함으로써 기업부채와 자본축적 간의 동학적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 거시동학모형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료를 이용하여 정부의 금융지출이 자본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 분석하고, 1997/98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축적 레짐의 전환이 발생하였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금융지출은 자본축적 경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금융(경제)위기가 발발할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금융시장 개입을 지지한다. 한편, 본 연구는 1997/98년 외환위기 전후 축적 레짐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상당한 근거를 발견하였다.

ACE 사업에 참여한 대학도서관 프로그램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Library Program Participating in ACE Project)

  • 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5-356
    • /
    • 2022
  • 대학은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통하여 민주시민으로서의 소양과 자질을 구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지식을 축적·창출하여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대학재정지원사업을 통하여 대학의 기본 역량을 향상시키고 자율적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재정지원사업은 공정한 평가를 통하여 비교 우위에 있는 대학에 한정된 정부의 재정을 차등 지원하므로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는 교육기본시설이자 핵심기관인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이 중요하다. 하지만 대학도서관은 재정 및 인력 부족, 시설·설비·공간 등의 열악한 환경, 학생들의 참여율 저조 등의 이유로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CE 사업(2010-2016)에 선정된 45개 대학 가운데 도서관이 참여한 18개 대학도서관의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조사·분석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성과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에 대비하여 대학도서관이 고려해야 할 전략과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