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ancial Self-efficacy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Digital Selling Readiness on Salespeople's Customer-Oriented Behavior Through Digital Literacy and Self-Efficacy

  • Hyunseung NA;Hangeun LEE;Chankoo YEO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95-102
    • /
    • 2024
  •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the concept of digital selling readiness of salespeople. Additionally,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digital literacy and salesperson self-efficacy in the impact of digital selling readiness on customer-oriented behavi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e collected data from salespeople at a Bank and Financial Service firm in South Korea. A total of 254 salespeople were invited to participate, with 154 surveys returned. After removing the questionnaires with missing values, 150 complete surveys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empirical analysis indicates that digital selling readiness positively affects digital literacy. Digital literacy, in tur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leading to increased customer-oriented behaviors among salespersons. This study also confirm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self-efficacy in the impact of salespeople's digital selling readiness on customer-oriented behavior. Conclusions: Our research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how digital selling readiness fosters customer-oriented behavior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self-efficacy. This study extends the previous model by sequentially involving digital literacy and self-efficacy to better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digital selling. Th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digital selling readiness in preparing salespeople for digital sales.

Effects of Attitude, Social Influence, and Self-Efficacy Model Factors on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in Life-Transition Aged Women in Korea

  • Lee, Chang Hyun;Kim, Young 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429-3434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predictors of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in Korea. In addition, we determined factors affecting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in life-transition aged women by applying an attitude, social influence, and self-efficacy (AS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women aged over 40 years residing in province J in Korea. The 178 enrolled subjects provided informed voluntary consent prior to complet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Results: The overall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rate of the subjects was 41.6%. Older age, city residency, high income and part-time job were associated with a high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Among women who had undergone more breast self-examinations (BSE) or more doctors' physical examinations (PE), there were higher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rates. All three ASE model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Women with a high level of positive ASE values had a significantly high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rate. Within the ASE model, self-efficacy and social influence were particularly importa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plained 34.7% of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and PE experience (${\beta}=4.645$, p=.003), part-time job (${\beta}=4.010$, p=.050), self-efficacy (${\beta}=1.820$, p=.026) and social influence (${\beta}=1.509$, p=.038) were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s: Promotional strategies that could improve self-efficacy, reinforce social influence and reduce geographical, time and financial barriers are needed to increase the regular mammography performance rate in life-transition aged.

창업동기요인이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ocusing on potential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 이병권;전인오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6호
    • /
    • pp.213-230
    • /
    • 2014
  • 전 세계적으로 실업과 고용창출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고용률을 높이고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창업활성화 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창업활성화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기업가정신이므로,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창업의지 및 기업성과에 관계를 규명한다면, 기업가정신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상별 맞춤형 창업정책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정책수혜를 받고 있는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동기요인을 규명하고, 창업동기요인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예비창업자) 및 기업성과(기창업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술통계와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상호상관성을 보기위해 상호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최종 회귀분석을 통한 검증으로 요인들 간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예비창업자의 경우, 총 2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자기효능감,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 정부정책은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 창업교육, 경제적요인, 정부정책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창업자는 총 21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인적네트워크, 경제적요인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창업교육은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인적네트워크는 비재무적성과에, 경제적요인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정부정책은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각각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유형, 반응,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 역할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ntrol Types over Salespeople, Their Responses, and Job Satisfaction - Mediating Roles of Role Clarity and Self-Efficacy -)

  • 유동근;임종구;임지훈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49
    • /
    • 2007
  • 본 연구는 영업사원의 통제유형(긍정적/부정적 결과통제, 긍정적/부정적 행동통제)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결과/행동관련 역할명확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도입하여 이들 연구단위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제약업계 영업사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유형이 역할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부정적 결과통제는 모두 결과관련 역할명확성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행동통제도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적 행동통제는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업사원에 대한 통제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 결과통제는 자기효능감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긍정적 행동통제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결과통제와 부정적 행동통제는 각각 결과관련 역할명확성과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의 매개를 통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명확성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결과관련 역할명확성과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은 모두 자기효능감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관련 역할명확성은 직무만족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과관련 역할명확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결과의 요약, 시사점, 한계점, 그리고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인터넷 뱅킹 사용자의 보안의도에 영향을 마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User's Security Intention for Internet Banking)

  • 김종기;강다연;전진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8
    • /
    • 2009
  • Recently, internet banking is growing rapidly. Moot banks in Korea provide internet banking services. Internet banking becomes a major trend in the financial marketplace. With advanced computer technology and declining communication costs, many customers prefer online alternatives such as internet banking, mobile banking or phone banking rather than going to banks by themselves. The number of customers using those alternatives is skyrocketing and domestic commercial banks encourage them of the use. As the internet is highly developed, customers demand higher quality services and banks develop and provide diverse services in order to respond to them. However, internet banking service users are still afraid of their personal and financial information being exposed on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that appropriate internet banking affect user's security intention.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s user's security intention which is influenced by self-efficacy, security trust, Internet banking attitude, perceived security and security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elf-efficacy and security trust are related to the security attitude.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curity attitude and perceived security. Also, user's security attitude and perceived security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curity intention.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 백경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32-241
    • /
    • 200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Method: The subjects were 711 college students living in Jecheon city and were se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ed by Walker et al.(987). Perceived Health Status developed by Lawston et al. (1982).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Becker et al. (1993), and Health Locus of Control developed by Wallston et a1.(197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program. Results: I)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39 point out of 4. In terms of sub-domai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actualization(2.78)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followed by interpersonal support(2.75), stress management(2.38), nutrition(2.11), exercise(2.04), and health responsibility (1.97). 2)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health status.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t=2.17, p=.03), and financial status of parents (F=10.79. p= .00). 4)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elf-efficacy. A combination of self-efficacy, self-esteem,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x accounted for 40.4% of the total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 responsibility and exercise were the domains where the college student showed relatively lower scores than other domains, self-efficacy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health promoting programs should focus on health responsibility, and exercise. Nursing strategies that can enhance self-efficacy should also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healthy lifestyles in college students.

  • PDF

성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대처: 자기효능감 수준별 분석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of Adults According to Level of Self-Efficacy)

  • 박영신;손주연;송옥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295-332
    • /
    • 2017
  • 이 연구는 자기효능감 수준별 성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대처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초,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성인 899명(남 399, 여: 500)이었다. 자유반응문항에 대한 채점자간 신뢰도는 93.4%, Kappa 계수는 .920이었으며, 양적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α=.87~.92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성인의 스트레스 생활사건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대표적이고 그 다음으로 자녀 양육, 직장 업무 등이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상집단보다 경제적 어려움을 많이 지적하였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스트레스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상집단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강하였다. 둘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 제공자는 가족이 가장 대표적이었고, 이외에 자기자신, 친구 등의 순서로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은 가족의 지원을 가장 많이 받는 반면에, 하집단은 사회적 지원 없이 자기자신이 해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인간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부모자녀관계와 부부관계 및 직장상사관계에서 갈등이 적었다. 셋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 유형으로는 정서적 지원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도움 없음, 조언 등이 포함되었는데, 자기효능감하집단은 상집단보다 도움없음이, 상집단은 하집단보다 조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배우자나 직장상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았다. 넷째,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방법으로 자기조절, 직접적 문제 해결, 없음 등이 부각되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은 직접적 문제 해결이, 하집단은 대처방법 없음이 가장 많았다. 자기효능감 수준별 스트레스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스트레스 대처를 더 잘 하였다.

경로당 이용노인의 경제적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 송파구 노인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actors in Economic Dependency in the Senior Center for the Elderly -on the Basis of Elderly in Songpa-gu, Seoul-)

  • 이애련;김지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213-233
    • /
    • 2012
  • This descriptive study about a community center for elderly users identifies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depende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hat contribute to increased economic dependenc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conflict between caregivers and elderly dependents. The subjects are 204 elderly persons who are community-center users in SongPa-Gu. Thirteen dongs (administrative areas) were chosen randomly in a cluster sample from among 26 dongs in Soungpagu containing a total of 158 community centers for the elderly. I obtained informed consents for my research from all subjects, and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interviews from June 28th, 2011 to August 7th, 2011.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economic dependency score was 3.23, meaning that subjects with this score are dependent at a level that is "over intermediate". The level of formal education, homeownership, financial assistance from family and the number of families, financial assistance to the family and the number of families, economic life satisfaction,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 PDF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관리와 자기효능감이 혈액투석 관련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elf Management and Self efficacy on Hemodialysis related Symptom of Diabetic Nephropathy Hemodialysis Patients)

  • 전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99-308
    • /
    • 2019
  • 본 연구는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환자들의 자가관리와 자기효능감이 혈액투석 관련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3곳의 대학병원과 7곳의 개인병원에서 25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제상태가 안정되고 당뇨합병증이 없을 경우, 자가관리와 투석 관련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환자의 혈액투석 관련 증상이 낮았다. 이에 경제적인 지원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당뇨합병증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며, 질병 특이적인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남녀 중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Family Strength and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최유리;신효식;이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9-80
    • /
    • 2014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을 지도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은 중간값(3.0)보다 높았고, 가족건강성 중 가족존중 및 애정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은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의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존중 및 애정이었으며, 이 변인은 남학생의 자아효능감을 29% 설명해 주었다. 또한 여학생의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가족존중 및 애정과 재정적 안정이었으며, 이 변인들은 여학생의 자아효능감을 32% 설명해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에는 가족건강성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애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가정과교육을 강화하며,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