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ancial Literac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3초

핀테크 사용에 대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이용자 저항에 대한 연구: 조절초점성향과의 상호작용 효과 고찰 (Fintech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User Resistance: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 Effect with Regulatory Focus)

  • 이애리;안효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09-226
    • /
    • 2016
  • 최근 금융과 IT가 결합된 핀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핀테크 서비스는 확산 초기 단계에 있으며, 사용 확산을 위한 이슈로서 정보 보안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핀테크 서비스 실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정보프라이버시 염려를 중심으로 사용 저항 정도를 분석하고, 이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사회적 영향 정도와 모바일 인터넷 활용 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조절초점성향과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의 상호작용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핀테크 서비스에 대한 저항 감소 및 사용 확산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vestor Sentiment Timing Ability of Mutual Fund Managers: A Comparative Study and Some Extensions

  • CHUNHACHINDA, Pornchai;WATTANATORN, Woraphon;PADUNGSAKSAWASDI, Chaiyuth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9호
    • /
    • pp.83-9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 ability to time market-wide investor sentiment of mutual fund managers in an emerging marke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data of Thai mutual fund market over the period of 2000-2019, our sample includes 283 equity funds, consisting of 204 bank-related funds and 79 nonbank-related funds. We perform our regression analyses at the aggregate and portfolio levels. Results: Under the non-normal distribution of return, we find different behaviors between the best- and worst-performing funds in an ability to time market-wide investor sentiment in Thailand, which is dissimilar to the findings in the U.S. Bottom fund managers act as sentiment hedgers, who decrease (increase) an exposure of investment portfolios when the investor sentiment is high (low). Oppositely, top fund managers are likely to chase investor sentiment. Conclusion: We find that only the worst-performing fund managers, especially for bank-related funds are able to time the market-wide investor sentiment. An advantage of gaining information from their bank's clients is a key success. A competition in the mutual fund industry, an ability to predict fundamentals, and financial literacy are possible reasons to explain the main findings found in this study.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의 운영 경험 연구 (Librarians' Experiences of Facilitating Makerspace in Public Libraries)

  • 김수정;이종욱;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9-2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운영 경험을 조사하여 주요 업무, 필요 역량, 교육 경험 및 요구, 향후 계획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11명의 사서 및 직원과 1명의 관장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서와 담당자들은 국가공모사업이나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메이커스페이스를 총괄, 관리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술 리터러시, 주제 지식, 도서관 프로그램 기획 능력, 배우려는 자세와 호기심, 커뮤니케이션 스킬, 리더십, 디자인 사고 등을 필요 역량으로 언급했다. 또한 이들은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 확장, 장비 구입, 프로그램 개발 등의 향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거나 구축할 계획이 있는 도서관 관계자들에게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이슈와 교육 요구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구강건강수준과 치과 의료이용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to dental care utilization and oral health status in immigrant workers in Korea)

  • 남인숙;이경수;장은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to dental care utilization,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in immigrant worker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504 foreign immigrant male workers over 20 years old who visited Daegu labor consultation center for oral health survey and oral examination. The questionnaire included 5 question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8 questions of oral health practice behavior, 6 questions of dental clinic visit, 8 questions of social relation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question for health behavior was measure by body mass index(BMI). Social relation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strument was modified by Seol from "Family welfare survey in Korean international marriage" and scored by Liker 5 scale. Results: The oral health examination of the immigrant workers was as follows: decayed teeth - 76.6%, filling teeth - 27.4%, missing teeth - 69.8%, dental caries experience above five or more - 60.2%, periodontal pocket tissues - 58.9%.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was very poor and accounted for 49.0%. Dental care utilization experienc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social relation indexes including attendance in family events, household stuff help, financial help and counseling for hard work(p<0.01). Dental care utilization experienc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proficiency in Korean literacy including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abilities of Korean language(p<0.01).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the immigrant workers, it is important to provide social network,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upport,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through economic burden reduc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Cancer News Coverage in Korean Newspapers: An Analytic Study in Terms of Cancer Awareness

  • Min, Hye Sook;Yun, E Hwa;Park, Jinsil;Kim, Young A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2호
    • /
    • pp.126-134
    • /
    • 2020
  • Objectives: Cancer diagnoses have a tremendous impact o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drawing intense public concern.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research was to examine news coverage and content related to cancer-related issues in Korean newspapers. Methods: Primarily using the database system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2806 articles from 9 Korean daily newspapers during a recent 3-year period from 2015 to 2017. Thematic categories, the types of articles, attitudes and tone, and the number of sources in each article were coded and classified. Results: Many news articles dealt with a diverse range of themes related to cancer, including general healthcare information, the latest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fic medical institutions and personnel, and technology and products, which jointly accounted for 74.8% of all articles. Those thematic categories differed markedly in terms of article type, tone, and the number of cited sources. News articles provided extensive information about healthcare resources, and many articles seemed to contain advertising content. However, the content related to complex social issues such as National Health Insurance did not include enough information for the reader to contextualize the issues properly or present the issues systematically. Conclusions: It can be assumed that the media exert differential influence on individuals through news coverage. Within the present reporting framework, the availability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are likely to depend solely on individuals' capabilities, such as financial and health literacy; this dependency has a negative impact on knowledge gaps and health inequities.

Economics During Global Recession: Sharia-Economics as a Post COVID-19 Agenda

  • ARFAH, Aryati;OLILINGO, Fahruddin Zain;SYAIFUDDIN, S.;DAHLIAH, D.;NURMIATI, N.;PUTRA, Aditya Halim Perdana Kusum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1077-1085
    • /
    • 2020
  • This research is a literacy study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nomic role of haria as a new strategy in overcoming the problem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has hit the middl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 method comes from previous studies to compare the capitalist, socialist, and sharia economic systems. In response to various economic uncertainti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the ability to seize opportunities and transform has become the key to economic resilience. Islamic economics can be an alternative in responding to the dynamics of the global and national economy. Several thing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fulfilling the sharia economy and the primary strategy chosen must come from the inputs given by the stakeholders, including business actors, associations, regulators as well as experts, and academicians. The primary strategy in implementing the sharia economy also requires the support of various parties in order to develop sustainability. Strengthening regulation and governance is one of the fundamental factors. Optimization of the sharia economy based social sector such as Zakat, Infaq, Sadaqah, and Waqaf can be optimized both fo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so that the concept of sharing can certainly support the development and the economy both nationally and globally.

전자책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업 요구사항과 CPND 가치사슬 분석 (Study on analysis of the Corporate requirements and CPND Value chain for e-book Market Activation)

  • 나윤빈;유종선;이승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63-17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전자책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전자책 기업들의 요구사항과 CPND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30개 기업에게 전자책 시장 전망, 제작 및 유통 현황, 서비스 활용인식, 정책지원의 요구사항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기업에게 필요한 지원사항은 '시장진입 및 판로개척을 위한 홍보 마케팅 지원'(27%) 항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건비, 사업비 등 재정지원'과 '해당 분야별 전문성을 길러주는 인력 재교육 지원' 항목이 각각 22%로 높았다. 전자책 기업에 대해 유효한 지원사항은 외부 지원 프로그램(35%), 자금지원(30%)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치사슬 측면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기존 종이책 시장의 일직선상 체계와는 다른 구조를 나타냈다. 특히 공동도서관과 글로벌 유통사의 서비스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국내 전자책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1)e-pub3 저작도구 및 SNS 마케팅의 활용교육 2)유통판매망의 통계 구축 3)과금체계의 다양화 4)전자책 콘텐츠 품질 인증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유저에 의한 만화-애니메이션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 한국 코스프레 문화에서의 재생산 (The Reinterpretation of Comic-Animation by Content Users - The Reproductions in Korean Cosplay Culture)

  • 윤은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1호
    • /
    • pp.487-510
    • /
    • 2015
  • 최근 컴퓨터 및 인터넷의 발전으로 일반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만화와 애니메이션 소비자들이 콘텐츠들을 UCC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재조합하고 있다. 얼핏 보기에는 소비자들의 재조합 결과물들이 콘텐츠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인터넷 확산을 통해 해당 콘텐츠의 사용자 수를 늘리면서 문화콘텐츠 생태계의 성장을 돕고 있다. 이러한 재생산이 가능한 이유는 애니메이션 매체가 가진 특성에 있다. 조형기호와 소리기호, 그리고 서사기호가 결합된 애니메이션은 크리스티앙 메츠가 제시한 상상적 기표로서 작용하며, 해당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상상력을 통해 이야기를 해체하고 재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논의는 아즈마 히로키의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을 통해 강화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아즈마는 애니메이션 등의 재조합 현상이 비교적 동등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제한돼 있고, 소비자는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애니메이션과 여기에서 파생된 상업적 재조합물에 대해 무비판적 수용을 취하고 있다는 비관론을 펼친다. 하지만 실제로는 소비자들이 콘텐츠 사이와 콘텐츠 너머에서 비상업적인 재생산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동인문화, 애니메이션 음악 동호문화, 성우 동호문화 등에서도 나타나지만, 본 논고에서는 특히 코스프레 문화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는 코스프레 문화가 다른 동호문화와 달리 더 행동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중에서도 코스프레에서 파생된 무대와 일일카페는 일반 코스프레 현상보다도 더욱 적극적인 캐릭터의 재현을 통해 다른 이들과의 소통을 이뤄내고 있다. 하지만 무대나 일일카페 모두는 재정 능력이 제한적인 청소년 청년 계층이 진행하고 있어, 지속가능한 행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공연 기회의 부족이나 저작권 문제 등으로 적극적인 재생산이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역주민 주도의 마을 만들기나 혼종문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현실에서, 한국 만화 및 애니메이션 업계부터 적극적 콘텐츠 수용자들의 재생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장려할 필요가 있다.

중국 이용자 소셜미디어 가짜뉴스 판별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태도, 사회자본, 위험감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hinese Users to Discriminate Against Fake News on Social Media - Focusing on attitude, social capital, and risk detection -)

  • 담과홍;이화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37-351
    • /
    • 2022
  • 소셜미디어의 전면적인 보급과 빠른 발전에 따라 소셜미디어 정보전파의 탈중심화 추세가 나날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수용자들이 소셜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시간의 세분화가 뚜렷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의 가짜뉴스에 대한 태도, 사회자본, 위험인식 및 판별의도 간의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다. 이에 따른 연구모델은 관련한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여 총 500건의 유효설문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하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의 가짜뉴스 판별의도에 대한 이용자들의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인터넷 정보의 진위성을 판별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나 도구를 활용하려 한다. 둘째, 소셜미디어 가짜뉴스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소셜미디어 가짜뉴스가 자신의 신체, 심리, 재무 등에 미치는 잠재적 위협을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자신의 위험인식을 높이고 소셜미디어 가짜뉴스에 대한 반펼의도가 높아진다. 셋째, 중국 이용자가 가진 사회자본이 풍부할수록 정보 소양이 강해지기 때문에 소셜미디어 가짜뉴스에 대한 판별의도도 강해진다. 넷째, 중국 이용자 가진 사회자본의 가치가 높을수록 가짜뉴스에 받은 피해를 더 크게 볼 수 있다고 판단하며,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가짜뉴스에 대한 위험의식이 높아진다. 다섯째, 중국 이용자가 소셜미디어에 의심한 정보를 인식하고 상응한 조치를 시실한 것을 의미하다.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 for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 among Older Adults in Seoul)

  • 손창우;이승재;황종남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213-229
    • /
    • 2019
  • 이 연구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케어 정착을 위한 동 단위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찾동 2단계('16. 7. 1 ~ '17. 6. 30) 사업에 참여한 17개 자치구 만 65세, 만 70세 노인 중 1,000명을 자치구별 비례할당 및 임의 추출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의 경우, 개인 및 자치구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다수준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서비스 미충족을 높이는 개인적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고소득, 독거 및 노인가구), 건강수준(복합만성질환, 건강문해력, 우울), 찾동 경험(간호사 1회 방문, 적은 서비스 제공시간 및 낮은 이해도), 사회신뢰(낮은 정부신뢰)로 나타났으며, 자치구 요인으로는 사업 시행기간이 짧을수록, 재정자주도가 낮을수록 서비스 미충족 확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케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관리 서비스 수혜 대상을 현재의 65세 및 70세 노인 전수 방문에서 중장기적으로 경제적 또는 건강 취약가구로 사업의 초점대상을 좁혀서, 제한된 예산 속에서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둘째, 방문 대상 연령을 만 65세에서 만 66세로 전환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사업과 결과를 공유하여, 사업의 효율성이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 찾동 사업은 시군구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국민건강관리를 행정동 단위로 낮추어 국민들이 체감도를 높이고, 지역사회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연구가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 및 정책 대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