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ancial Crisis

검색결과 833건 처리시간 0.029초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서비스화와 구조변화의 특징 - 생산성 분해를 통한 제조업과 서비스업 업종별 분석과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The Shift to the Service Economy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uctural Change since Financial Crisis in Korea -Focused on the Analysis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using Productivity Decomposition Methodology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 반가운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1호
    • /
    • pp.85-107
    • /
    • 2010
  •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비교 대상국 가운데 가장 빠른 고용의 서비스화와 가장 큰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가 나타났다. 생산성 분해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이는 외환위기 전에 비해 생산성과 고용의 변동이 반대로 일어나는 부정적 구조변화의 경향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조업의 경우 고용 비중은 줄면서 자체의 생산성 향상 중심으로, 서비스업은 반대로 자체의 생산성 향상은 지지부진한 체 고용의 흡수를 통한 성장을 주로 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국제비교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뚜렷이 드러난다. 그리고 한국의 서비스업은 제조업에 비해 부정적 구조변화의 경향이 외환위기 후 더 심해졌다.

  • PDF

중국의 대미인식과 대외전략 논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China's Perception on U.S. and Foreign Policy Strategy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강택구;한석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51-6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힘에 대한 중국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미국의 경제적 패권의 지위는 약화되었지만, 미국의 패권은 단지 경제력만이 아닌 미국의 종합적인 국력기반 위에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국제질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패권적 지위가 약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패권적 지위가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소위 '일초다강'이라는 국제질서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지는 않겠지만 미국 경제력의 퇴보로 중국은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들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볼 때, 중국은 경제적 측면에서 글로벌 금융체제 개혁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안보적 측면에서 역내에 미국의 영향이 중국의 핵심 이익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국은 미국과 보다 협력적인 정책을 취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A Study on Co-movements and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a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Comparison of the COVID-19 and 2008 Financial Crises

  • Yin-Hua Li;Guo-Dong Yang;Rui Ma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5호
    • /
    • pp.167-198
    • /
    • 2023
  • Purpose -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ovements and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a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during the COVID-19 and the 2008 financial crises. Design/methodology - The DCC-GARCH model is used in the co-movements analysis. In contrast, the BEKK-GARCH model is used to evaluat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The statistical data used is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22. It comprises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data and daily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prices of natural gas, West Texas Intermediate crude oil, gold, silver, copper, nickel, soybean, and wheat. Findings - The results of the co-movement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co-movements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a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were temporarily strengthened when the COVID-19 and 2008 financial crises occurred. Secon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were shown to have high correlations with the copper, nickel, and crude oil futures markets. The results of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the 2008 financial crisis, four commodity futures markets (natural gas, gold, copper, and wheat) were shown to be in two-way leading relationships with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In contrast, seven commodity futures markets, except for the natural gas futures market, were shown to be in two-way leading relationships with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after the financial crisis. Second, before the COVID-19 crisis, most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excluding natural gas and crude oil future markets, were shown to have led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in one direction. Third, it was revealed that after the COVID-19 crisis,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outh Korean stock markets and the international commodity futures markets, except for natural gas, crude oil, and gold, were completely severed. Originality/value - Useful information for portfolio strategy establishment can be provided to inves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financial policy authorities can utilize the results as data for efficient regulation of the financial market and policy establishment.

Declining Japanese Yen in the Changing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 Ogaw, Eiji;Muto, Makoto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1권4호
    • /
    • pp.317-342
    • /
    • 2017
  • The US dollar has kept as a position of key currency in the global economy in the changing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where the euro was introduced to some states of the EU in 1999. It is an evidence of inertia of the US dollar as a key currency. Our previous study (Ogawa and Muto, 2017b)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veral events on inertia of the US dollar. One of our findings was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increased utility of euro while utility of US dollar was kept unchanged.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euro zone crisi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on the utility of the Japanese yen.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utility of the Japanese yen. It indicates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increased the utility of the euro while reducing the utility of the Japanese yen rather than the utility of the US dollar. The utility of the Japanese yen h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euro zone crisis occurred. The Japanese yen has a declining trend in terms of its utility over time in the changing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IMF 금융위기 전후 국내 주식시장의 1월효과 현상 및 효율성 분석 (Analysis on the January Effect and Market Efficiency in Korea Stock Market Before and After IMF Financial Crisis)

  • 윤강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78-5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IMF 금융위기 전후 국내 주식시장의 1월효과 여부 및 효율성 상태에 대해 실증하는 한편,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국내 주식시장을 IMF 금융위기를 전후로 2개 구간으로 설정하는 한편, KIS-VALUE에서 제공하는 보통주 시가총액을 지표로 월별 증감률을 계산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로써, IMF 금융위기 이전인 KOSPI 1구간에서 1월효과 및 소형주 중심의 규모효과가 확인된 반면, IMF 금융위기 이후인 KOSPI $2-{\alpha}$${\beta}$구간에서는 1월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1월효과가 확인된 KOSPI 1구간은 시계열 분석 등을 통해 비효율적 시장상태를 실증하였지만, 1월효과가 관측되지 않은 KOSPI 2(${\alpha}$ & ${\beta}$)구간에서는 약형 효율적 시장상태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는 한편,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파생상품의 투자 리스크 요인 분석을 통한 중소수출 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방안 - KIKO를 통해 살펴본 국내 중소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xporting Small & Medium Enterprises Based on Accident Types of Derivatives Transactions: Focus on Exporting Small &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KIKO Currency Option)

  • 조영훈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6권1호
    • /
    • pp.89-105
    • /
    • 2016
  • 2008 began with the American financial crisis which gave way to the liquidity crisis (Fannie Mae and Freddie Mac) situation in which 'the withdrawal of investment initiated from the insufficiency of the U.S. subprime mortgage loan companies', 'the large size loss situation of the financial company (Bear Stearns) due to the American structured bond insufficiency' and the second half opening part national debt mortgage company. Within the American financial crisis was propagated the crisis of international derivatives. Due to this, the withdrawal of foreign investment progressed in the interior of a country with the considerable. By the end of 2007, the exchange rate fluctuation was absorbed in the domestic financial circle on the belief the potentiality of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had been growing drasticall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foreign currency debt according to this and it came to the defence but while the exchange rate jumped up to the dollar shortag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risis,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making the banks and exchange rate-related derivatives contract were going bankrupt due to the derivatives loss. The small and medium factories establish the bank exchange rate-related derivatives has nose (KIKO), pivot (PIVOT), and snowball (Snowball) etc. at that time and the damage which it is the KIKO grasped at 6 end of the months in 2008 caused by reaches to 1 thousand billion 4 thousand hundred million dollars. Small and medium companies in which the dollar which it has to denounce among small and medium companies bearing the KIKO contract in fact with the Knock-In generation city bank exceeds the amount of sales were known to be 68 enterprises among 480 enterprises. This paper departs in this awareness of a problem and tries to look into the risk factor of the derivatives, including nose and study the essential ring risk management plan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

1997 외환위기 지식그래프: 디지털 아카이브의 관계 중심적 접근 (A Knowledge Graph of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A Relationship-Oriented Approach to Digital Archives)

  • 이유경;김학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7
    • /
    • 2020
  •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카이브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방식의 디지털 아카이브는 기록을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연계하고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아카이브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계 중심의 지식그래프 방식을 제안한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인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의 특징을 검토하고, 아카이브에 포함된 모든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는 RiC-O(Records in Contexts-Ontology) 기반의 지식그래프로 구축한다. 본 연구의 결과인 외환위기 지식그래프는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의 모든 개체를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구축한다. 디지털 아카이브와 비교해 지식그래프 접근은 개체의 정보, 개체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탐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미검색, 지능형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한국·중국·일본·미국 주식시장 간 동조화 현상: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를 중심 (An Analysis of the Co-Movement Effect of Korean, Chinese, Japanese and US Stock Markets: Focus on Global Financial Crisis)

  • 최승욱;강상훈
    • 국제지역연구
    • /
    • 제18권3호
    • /
    • pp.67-8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수익률 전이현상(return spillover effect) 및 변동성 전이현상(volatility spillover effect)을 이변량 VAR-E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그리고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중심으로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전이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체기간에서 중국으로부터 일본 만이 수익률 전이현상을 가지고 있었고 변동성 전이현상은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 한국에게도 모두 영향을 주었다. 기간을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금융위기 전에는 일본과 한국에게 수익률 전이현상을 가지고 있었고 금융위기 후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의 변동성 전이현상도 한국에게 영향을 주고 미국으로부터 영향을 받다가, 금융위기 후 한국을 제외한 미국과 일본은 중국과 양방향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그 크기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미국으로부터 중국으로의 변동성 전이현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시장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외국인투자자의 감시자 역할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Monitoring Role of Foreign Investors)

  • 이창섭;전홍민;서승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33-24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본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의 감시자 역할로부터 발생하는 영향력이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라 차별적으로 관찰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총 2,919개의 기업데이터를 수집하여 외국인투자자 지분율과 기업의 자기자본비용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을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여부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외국인투자자는 일반적으로 기업에 대한 감시자 역할(monitoring role)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서 국내 자본시장에서 순기능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시와 같이 자본시장의 위험 수준이 극대화될 경우에는 이들의 감시자 역할이 효과적으로 이뤄지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투자자의 영향력이 자본시장의 위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는데 시장참여자들과 학계에 공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 이자비용과 기업 부채재원 조달 (Corporate Interest Costs and Debt Financing)

  • 이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90-295
    • /
    • 2021
  • 본 연구는 기업 대출금리, 기업 차입금 평균이자율 등 기업 이자비용과 기업 부채 재원조달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 이자비용과 기업 부채 재원조달의 관계가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분석하였다. 일반적 예상과 달리 기업 이자비용과 기업 부채 재원조달의 관계에서 음의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2008년 금융위기 전후로 구분한 분석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 이전 기간에는 기업 이자비용과 부채 재원조달에서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기간에서는 기업 이자 비용과 부채 재원조달 간에 양의 관계가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기업이자비용 상승 등이 기업 부채재원조달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데,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에 따른 기업 이자비용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부채 재원조달이 오히려 감소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추가 분석으로 기업의 사채 발행을 통한 부채 재원조달과 기업 이자비용과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저금리 기조에 따른 기업 이자비용 감소가 직접금융 시장을 통한 회사채 발생 증가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금리인하 정책 등 저금리 기조가 기업 투자부진 등 재원조달 수요를 촉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