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m Style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5초

애니메이션의 움직임과 근대 기계론 전통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animation and heritage of modern mechanism)

  • 김탁훈;한태식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0호
    • /
    • pp.27-57
    • /
    • 2013
  • 19세기 말, 영화와 함께 등장한 애니메이션은 모더니즘이라는 예술사적 양식을 자양분으로 삼아 등장한 매체였다. 하지만 애니메이션과 모더니즘의 관계 설정은 주로 애니메이션의 형상들, 즉 그려진 이미지에 집중되어 왔다. 이는 애니메이션과 회화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부터 기인한 것이었는데, 이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의 움직임의 논의는 머이브릿지와 쥘 마레의 연속사진술(chromophotograph)의 전통, 또는 실사영화(live-action film)가 가진 몇 가지의 특질 속에서만 이해하였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의 움직임은 기본적으로 영화나 포토그램의 지표기호적 양식(indexical style)과는 거리가 멀었으며, 재현의 대상도 달랐다. 애니메이션이 재현하는 움직임은 일상적인 움직임이 아닌, 추상화 되거나 압축된 움직임의 표현이자, 상당히 체계화된 움직임이다. 때문이 이러한 움직임은 실사영화의 포토그램적 재현과는 거리가 있다. 오히려 애니메이션에서 재현하는 움직임의 논리는 신체를 각 부분을 분할한 후, 그것들의 가동범위와 시간, 거리 등으로 통제하는 것에 가깝다. 이것은 인간 신체를 교환가능한 기계로 구성하고 파악하려 하였던 - 데카르트와 라메트리로 대표되는 - 근대 기계론의 입장으로 귀결된다. 근대사회로부터 산업사회, 그리고 모더니즘의 시기에 까지 이르는 근대 기계론의 기획은 자연으로서의 움직임이 아닌, 자연 법칙으로서의 움직임으로 파악하면서 효율적인 움직임의 구성이라는 근대 산업사회의 신체 움직임 분석에 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19세기 말, 테일러(Taylor, F. W.)와 길브레스(Gilbreth, Frank Bunker)의 노동자 작업 시간 연구와 '동작연구'(motion study)는 기계-인간의 틀을 구성하는 근대적 방식이었는데, 이는 근대 기계론의 전통이 산업사회를 지나 모더니즘 전반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들이 진행한 동작연구들은 이후 애니메이션이 '타이밍'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하였던 행동분석(action analysis)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화에 나타난 악인 캐릭터의 시각적 이미지 분석 - 2000년대 이후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Visual Image of Villain Characters - Focusing on Korean Films Since 2000 -)

  • 이혜주;전인미
    • 복식
    • /
    • 제59권1호
    • /
    • pp.1-13
    • /
    • 2009
  • The villains in recent films are given interesting roles not only through the actual contents of the story but also by attrac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inter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deeper look into the image styling process of villain characters. The cases will focus on seven representative Korean films that have attracted over one million audiences as of the year 2000, and the leading and supporting actors within those films. Analysis will be made mainly on the visual image creations of those villains. The visual images are categorized by the make-up, hair-do, clothing and accessories relevant to the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 of each actor's role and their background based on the given scenario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llain characters are portrayed as an individual with multiple personalities with regards to psychological, economical, and vocational aspects. Second, fashion trends of the character is an important element to keep pace with the times or to visualize the sense of the times in which the villain exists. Third, a specific point that characterizes the villain's character are expressed through various touches using noticeable accessories, specific colors in make up, hair style, and a certain fashion.

알프레드 히스콕의 스릴러 영활에 나타난 복식의 상징성 (A Study on the Symbolism of Costumes Appeared in Aflred Hitchcock′s Film)

  • 이효진;류근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2호
    • /
    • pp.259-276
    • /
    • 2001
  • Hitchcock, "a master of the thriller" "leading figure of thriller", was famous for his work style. He never starts filming until completing a perfect conception in his mind before shooting. He started filming after getting a perfect filming plan adding a picture even one detailed shot picture. Also the movie costumes was not an exception in his movie. He put more main object to express a symbolic meanings by recreating movie costumes which were fit to drama′s subject than function which spoke for contemporary popularity also he guides actors to put on the movie costumes examined previously to shape a definite visual character in that works. This research intends not only to look into symbolic and expressive means of dresses through the movie costumes on thriller appeared in Hitchcock′s movie, but also the comprehension width by grasping importance of the movie-costume and dress image in the movie. Hitchock made about 55 movies, mostly thriller movies, from Number 13(1922) n unfinished work to family plot(1976) ones posthumous work. This research examined his the second half of term works(after 1950) such s Rear Window(1954), Vertigo(1958), Psycho(1960), Torn Curtain(19660, Topaz(1969) and Frenzy(1972) which are generally familiar to the public. In conclusion, we can find that the thriller movie costumes as well s the other movie and appeared a character of the film′s characters, social rank, economic level, personality. But expecially, a costume of Hitchcock′s thriller movie can be contained a characteristic factor of a kind of five.

  • PDF

A Transparent Logic Circuit for RFID Tag in a-IGZO TFT Technology

  • Yang, Byung-Do;Oh, Jae-Mun;Kang, Hyeong-Ju;Park, Sang-Hee;Hwang, Chi-Sun;Ryu, Min Ki;Pi, Jae-Eun
    • ETRI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610-616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transparent logic circuit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in amorphous indium-gallium-zinc-oxide (a-IGZO) thin-film transistor (TFT) technology. The RFID logic circuit generates 16-bit code programmed in read-only memory. All circuits are implemented in a pseudo-CMOS logic style using transparent a-IGZO TFTs. The transmittance degradation due to the transparent RFID logic chip is 2.5% to 8% in a 300-nm to 800-nm wavelength. The RFID logic chip generates Manchester-encoded 16-bit data with a 3.2-kHz clock frequency and consumes 170 ${\mu}W$ at $V_{DD}=6$ V. It employs 222 transistors and occupies a chip area of 5.85 $mm^2$.

The Storytelling Rhythms of Chinese and Korean Films

  • WU, JU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58-63
    • /
    • 2020
  • In literature it is not only the meaning of words which matters, but also their texture matters i.e. their rhythm, colour and style are relevant and none of these natures can be reduced to an item of information. The texture is also important in film languages, especially the rhythm. In order to make the storytelling rhythm visible, a new concept of 'the Rhythm Chart Analysis Method (RCAM)' has been devised in this research and used for analysis. By analyzing original films and remakes in Korean and Chinese, one can find out that different countries have different storytelling rhythms i.e. the same story can be told in different rhythms. The central idea in Korean films is portrayed at the end,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Korean films. And as the defining moment does not occur suddenly the audience can naturally get immersed into the story. But Chinese films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 a more direct way. It directly mentions characteristics of each actor in such a way that it is telling rather than showing. The information of the movie is given to the audience in the initial stages of the movie. Rhythm is as important as story and information. And through this we can find out the cultural differences from the different storytelling rhythms.

홍상수 감독의 영화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2015)의 일상적인 캐릭터와 연기 (The Everyday Characters and Acts of Director Hong Sang-soo's Film (2015))

  • 이아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5-172
    • /
    • 2019
  • 우연한 어떤 것을 기다리는 듯 단조롭게 반복되는 일상 속에 정지된 화면처럼 불쑥 등장하는 거리의 간판과 자연의 풍경(나무), 특별한 의미 없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인물들, 상투적인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하면서도 상투적인 것에서 벗어나라고 충고하고, 어떠한 결말도 제시하지 않으면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인물들의 모습은 일상의 우연성과 의외성을 강조하면서도 너무나 익숙하기 때문에 간과되기 쉬운 일상의 순간들, 그러한 순간들 속에 잠재된 일상의 낯섦을 경험하게 한다. 잘 짜여진 캐릭터의 관습에서 벗어난 배우의 연기는 현장성이 강조된(계획되지 않고 다듬어지지 않은) 즉흥적인 연기로 영화라는 구조 속에 갇혀있지만 갇혀있지 않은 듯 자유로운 현실 속의 사람처럼 차별화된 캐릭터의 일상성을 표현하고, 마치 일상에 길들여진 듯 반복되는 인물들의 말과 행동, 예측할 수 없는 감정의 변화들은 만남과 대화가 중심이 되는 홍상수 감독의 영화에서 일상의 배경으로 제시되는 모든 것들과 일상의 형식을 이루며 이러한 일상은 어떠한 의미를 갖고 무엇을 발견하게 하는지 주목하게 한다. 또, 이러한 일상의 과정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배우를 먼저 정하고 난 뒤에 이야기를 만들어간다는 홍상수 감독은 그의 영화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배우를 통해 캐릭터와 배우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고, 사실적인 표현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홍상수 감독의 연출 스타일을 바탕으로 영화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의 일상적인 캐릭터와 연기를 분석해보았다.

데스크톱 다큐멘터리와 데이터베이스 내러티브 (Desktop Documentary & Database Narrative)

  • 차민철;이상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75-86
    • /
    • 2018
  • 데스크톱 다큐멘터리는 카메라로 촬영하는 대신 인터넷 오픈 아카이브에서 검색하고 선택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료로 컴퓨터 인터페이스 상에서 그것을 재조합하는 창작자의 멀티태스킹 과정 자체를 스크린 캡쳐 기술을 사용해 녹화하여 완성하는 새로운 다큐멘터리 양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뉴 미디어 환경에서 잠재적 아카이브를 데이터 베이스 내러티브로 전환하고, 영화적 미장센을 컴퓨터 미장인터페이스로 바꾸며, 의식의 흐름을 통한 큐레이션으로서의 창작 메커니즘을 통해 창작과 비평의 경계를 오가는 메타-시네마이자 뉴 미디어 아트의 실험적 시도로서, 주류 호러 영화의 새로운 혼성 장르적 시도로서, 극영화 창작의 새로운 방식으로서, 새로운 모큐멘터리적 시도로서, 그리고 창작과 비평의 경계를 오가는 비디오 에세이와 비평 영화의 새로운 양식으로서 2010년대를 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데스크톱 다큐멘터리의 개념과 유형 및 특성을 연구한다.

풍하중을 고려한 제주형 작물재배용 비닐하우스모델의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Cheju-style Plastic Greenhouse Model for Crop Growing Based on the Wind Load)

  • 민창식;김용호;권기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1-190
    • /
    • 1998
  • 현재 제주도 서귀포시 제주감귤연구소에서 개발중인 내풍형 2중 아치 비닐하우스에 풍하중을 재하하여 탄성수치해석을 시도한 결과, 풍동실험에 의하면 파풍망의 효과는 풍속이 5∼25m/s 일 때 파풍망을 통과한 유출속도가 86∼98%까지 감소하여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파이프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경계조건을 주지 않고 설치한 피라미드형 콘크리트 지지대의 사하중을 지점에 재하하여 경계조건을 준 결과, 하우스가 풍하중의 양력에 의하여 위로 들리는 거동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거동은 현장에서 목격되는 파괴형상이 기초 전체가 인발되고 파이프가 콘크리트 기초로부터 인발됨으로써 야기되는 파괴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 재하한 45m/s의 풍하중은 재현기간이 100년에 대한 값으로 반영구적인 구조물에 기준으로 비닐하우스의 내구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이 풍하중을 감소시켜서 설계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붕아치가 연결되는 Y-형 접속장치를 내부힌지로 모델링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연결을 고정연결로 보아 해석하였다.

  • PDF

동일한 영상자극을 이용한 장조음악과 단조음악에 의해 유발된 뇌 활성화의 차이 : fMRI 연구 (An fMRI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Brain Regions Activated by an Identical Audio-Visual Clip Using Major and Minor Key Arrangements)

  • 이창규;음영지;김연규;;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9-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brain activation evoked by music arranged in major and minor key used with an identical motion film during the fMRI testing. A part of the audio-visual combinations composed by Iwamiya and Sano were used for the study stimuli. This audio- visual clip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ombining a small motion segment of the animation "The Snowman" and music arranged in both major and minor key from the original jazz music "Avalon" rewritten in a classical style. Twenty-seven Japanese male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Brain regions more activated by the major key than the minor key when presented with the identical motion film were the left cerebellum, the right fusiform gyrus, the right superior occipital, the left superior orbito frontal, the right pallidum, the left precuneus, and the bilateral thalamus. On the other hand, brain regions more activated by the minor key than the major key when presented with the identical motion film were the right medial frontal, the left inferior orbito frontal, the bilateral superior parietal, the left postcentral, and the right precuneus. The study showed a difference in brain regions activated between the two different stimulus (i.e., major key and minor key) controlling for the visual aspect of the experiment. These findings imply that our brain systematically generates differently in the way it processes music written in major and minor key(Supported by the User Science Institute of Kyushu University, Japan and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 PDF

한형모 감독의 영화 <자유부인>에 나타난 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stoms in Han Hyungmo's film )

  • 김혜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1호
    • /
    • pp.98-113
    • /
    • 2013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daily life of the Western-yearning Seoul citizens and the inflow of the Western culture into certain social classes. The custom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are studi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de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al clothes due to the Western influence. The combined application of the Western and Korean styles is also observed. All this study leads to the sense of homogeneity of the times and the conformity to the culture the Korean women shared, which boils down to the social identity of the Korean women who sought an escape from the men-centered social structure by displaying their competence in the field of global modern fashion. As Seonyeong Oh, the main character of the film, , was wearing in the movie the Korean traditional dress, socks, rubber shoes, and then a western-style coat, it well shows that in 1950's, the traditional dress and ornaments were mixed with Western styles. In time, men's wear were completely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clothes to suits, while women's could not break off from the traditional clothes and become westernized, which indicates that the men-centered conservative ideas to keep women within the feudal regime of the society remained. The military look of Seonyeong Oh while she was acting in the society was a symbol of anti-bias against women and anti-convention as well as the will of freedom as an independent woman. Besides, the modern girls would wear clothes of military fashion, Dior's trapeze line, and knit styles flattering the figures. All these well show their desires to embrace Western cultures, especially their dress fashions as well as manners as so-called enlightened ladies. All these elements show that the director was trying to represent the progress of the drama, characters, and psychological states by means of the dress and orna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