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gurative ele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웹 디자인에서 감성요인과 조형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bility factor and Figurative element in the Design of Web Site)

  • 신은주;김은미;임순범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19-626
    • /
    • 2006
  • 본 연구는 웹이라는 환경에서의 감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크게 2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로, 웹에서의 감성요인과 감성구조모형을 개발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위 연구를 바탕으로 웹 디자인에서의 감성요인과 조형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성구조모형 내에서 4 가지 대표적인 감성을 분석하고, 그 표본 사이트를 선정하여, 감성이 다른 이 4 가지 사이트가 조형요소의 변형을 통해 어떻게 감성이 달라지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감성요소와 조형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서, 디자이너가 감성적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제작과 평가에 보다 이성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시, 성공적인 감성디자인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 의상디자인에 나타난 관능미 연구 - 영화 "제5원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oluptuous Beauty Represented on Jean Paul Gaultier's Fashion Design - Mainly the Movie ${\ulcorner}$The 5th Element${\lrcorner}$ -)

  • 변미연;이인성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7-45
    • /
    • 2006
  • Jean Paul Gaultier, debuted in 1970's and referred to as a bad boy in Paris fashion industry with his abnormal and ingenious ideas such as skirts for men, underwear outfit, etc, is a leading fashion designer. This study nay find its meaning from the fact that this study defines how the voluptuous beauty, one of the figurative beauties inherent in Jean Paul Gaultier's design, expresses in the movie costume and understands the world of the designer's fashion to provide a foundation to fashion designers who are looking for a new area where they can actively involve in. For the study, the 'The Fifth Element (1997)', in which the voluptuous beauty, Jean Paul Gaultier's representative figurative beauty, is fully revealed, and also it is his latest movie he participated in as costume designer, was selected and costume design is analyzed using DVD screen capture program. Also, this study reviewed his design with his collections from 1997 when he was invited to Haute Couture and began to actively perform his works down to date and also referred to numerous materials, fashion magazines, movie magazines, Internet data and etc.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Jean Paul Gaultier collections, firs, the beauty he is pursuing is projected broadly in three types- the voluptuous beauty from clothing innovation, the voluptuous beauty from unpolished nature, the voluptuous beauty from exposure. Second, the movie ${\ulcorner}$The Fifth Element${\lrcorner}$ is well revealed the world of Jean Paul Gaultier's art presenting visual amusement and variety of attractions. Finally, the results of analyzing costume by characters say that the clothing innovation and the voluptuous beauty from exposure on Leeloo's costume, the voluptuous beauty from exposure on Korben Dallas's costume, the voluptuous beauty from unpolished nature on Zorg and Ruby Rhod's costumes are well shown respectively.

  • PDF

웹 사이트에서의 감성구조 및 감성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Sensibility and the Sensibility Factor in the Web Site)

  • 신은주;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60-471
    • /
    • 2009
  • 본 연구는 웹이라는 환경에서의 감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이는 웹에서의 사용자 감성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 주제를 가지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에서 웹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감성요인을 분석, 이를 바탕으로 한 감성구조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위 연구를 바탕으로 웹 디자인에서의 감성요인과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성요소와 조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서, 웹 디자인에서의 성공적인 감성디자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감성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 중 하나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며, 결국 이러한 연구는 감성적 디자인의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는 과장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이너가 감성적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제작과 평가에 보다 이성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성공적인 감성디자인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F 이후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 명칭변화와 이미지 특성 연구 (Study of Changes in Names of Outdoor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mage in Apartment Complexes after the IMF Restructuring)

  • 김도경;정주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47
    • /
    • 2007
  •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naming of outdoor areas in apartment complexes by conducting research into the causes, lengths of tim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outdoor space names of apartment complexes and by analyzing current images of outdoor space names. In order to explore the causes and intervals of changes of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related literature was surveyed, with on-site inspections being made to examine outdoor space names by time intervals. At the site selected for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utdoor space names and to understand the trends in the changes of these name in the apartment complexes. Moreover, a questionnaire survey incorporating selected adjectives was administered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images of outdoor space names and finished construction spa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auses driving changes in apartment outdoor space names included changes in apartment complex planning concepts, changes in the values and demands of apartment buyers, social values, and changes of brand. Intervals of changes were divided into two with the 1997 IMF financial restructuring of the Korean economy as the division. 2. In regards to trends in changes of apartment outdoor space names and their characteristics, various features applied to spaces have caused many changes, which resulted in the phrase $'\bigcirc\;\bigcirc+garden'$, expressions suggesting various images, and Korean names. 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partment outdoor space names and finished construction images reveal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the spaces. This is thought to be mainly due to such issues as paved min, the use of ready-made goods, and figurative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indicate that changes in outdoor space names of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made simply as part of marketing strategies,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s. Apartments, an important means of housing in Korea, account for more than 50% of Korea's total housing, and the naming of outdoor space serves as an essential element for residents. Therefore, outdoor spaces of apartment complexes should be named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appearance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with effort by the industry being required.

자연경관 조형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남해가천마을, 산청임촌마을, 함양도마마을) 다랑이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atural Scene Figuration Possibility - Centering around Gyeongnam Area(Namhae Gacheon Village, Sancheong Imchon Village, Hamyang Doma Village) Rice Terraces -)

  • 윤경숙;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119
    • /
    • 2010
  • 본 연구는 다랑이논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로 경남지역 남해 가천다랑이논, 산청 임천다랑이논, 함양 마천다랑이논을 선정하여 자연경관의 조형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도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자연경관의 연구 및 조형관련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경관을 조형화 시키기 위하여, 지형에서 나타나는 다랑이논의 자연경관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에서 얻어진 다랑이논 지형의 특성을 모두 9개 항목으로 나누었다. 그 내용으로 (1) 다랑이논의 경사 완급을 나타내는 경사도, (2) 다랑이논 가장자리 선의 요철이 보여주는 굴곡도, (3) 상하 가장자리 선의 평행성정도, (4) 각 다랑이논 단면의 폭의 크기, (5) 전체 다랑이논의 넓이, (6) 상하 다랑이논의 높낮이 차이를 나타내는 단차, (7) 전체적 다랑이논의 외형적 형태가 지닌 이미지로서의 형상성, (8) 전체적 경관이 지닌 자연스러움과 인위성, (9) 다랑이논을 형성하고 있는 축석이나 토양의 부드러움, 전체적인 경관에서 풍기는 분위기 등이다. 사례대상지를 문헌조사와 현지답사, GIS를 통해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랑이논의 경사가 심할수록 축석의 단차가 높아지고 면적과 폭에서는 급경사일수록 좁아짐으로써, 경사와 단차이에서는 비례적 관계 경사를 나타내고, 다랑이논 부지의 면적과 폭에서는 반비례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랑이논을 바라볼 때 보여지는 대상물이 갖는 선적, 면적 요소와 중첩, 반복되는 변화, 계절에 따른 변화, 산세, 계곡과 하천 등 주변환경과의 연계로 인한 경관의 변화는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각 대상지에서 도출되는 공통적인 형태로 반복구성과 방향성, 운동성, 질서와 변화 등을 조형요소화 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은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한 기초자료 연구로서 사례대상지의 주변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대상지의 환경적 아름다움을 하나의 조형요소로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도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보다 정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백제 노자공이 조성한 수미산에 대한 연구 - 일본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Shumi-sen, Built by Baekjae Nohjagong - Excavation of Japanese Stone God Ruins, Centered on Mt. Sumeru Stone -)

  • 이규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13-121
    • /
    • 2010
  • 노자공이 일본 아스카시대 궁원 남정을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인도의 우주관에서는 성산(聖山:Sumeru),중국의 불교적 세계관에서는 묘고산(妙高山)의 형태를 상징화한 것으로 이해되며, 풍륜-수륜-금륜-지륜을 각각 4개의 돌조각에 조각한 조립형 석조물로 추정된다. 노자공의 수미산기록 외에, 일본서기 수미산 등장 4차례의 기록은 수미산이 옥외에 설치된 정원의 구성요소이자 주요 경물로서의 역할을 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일본서기 기록의 문구와 그 표현으로 보아 수미산을 중심으로 경물들을 조합하여 활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모두 향연을 위한 특별한 행사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이 노자공이 오교와 더불어 만든 수미산인지는 현재 확인할 수 없으나, 이후 궁원의 정원시설물로 되풀이되어 조성된 '수미산형의 석조물'은 노자공이 황궁 남정에 조성한 수미산과 동일한 것이거나, 최소한 노자공이 만든 수미산을 원형으로 그 이후 재차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수미산을 기본으로 돌과 연못을 함께 이용하며 원지를 조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노자공이 오교와 함께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불교의 수미산의 형상을 최대한 구상화한 형태인 동시에 축경수석이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수미산의 외형과 기능을 수미산석으로 미루어 추정할 때, 수미산 표면의 문양은 백제시대에 제작된 백제금동대향로나 산수산경문전 그리고 활석제불보살병립상 후면의 문양에서 표현되고 있는 여러 겹으로 겹친 산악 문양 등의 도상과 매우 흡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미산석의 형태 및 구조를 고려할 때 수미산석 분수시설에 적용된 원리는 수위 차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적용하여 물을 이동 분출한 것으로 보이며, 향연 등을 목적으로 한 실용수석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문화상품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공주.부여 국립박물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of activate Baekje Cultural goods -focus on Gongju-Buyeo national museum-)

  • 신대택;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333-338
    • /
    • 2012
  • 문화상품은 문화적 요소가 상품화된 것으로 상품이상의 성질과 가치를 지니고 있으면서 대중적 판매를 위한 제작과 공급을 목적으로 생산되어지며 상업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박물관의 문화상품은 관람객에게는 좋은 추억을 간직하고 교육적 경험을 넓히며 생산자나 판매자에게는 수익의 원천이 된다. 이러한 문화상품은 모티브가 된 나름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데 직접적으로 전시되고 있는 소장품에 얽힌 미술사적 역사적 조형적 배경을 모두 포괄하기 때문이다. 문화상품은 전통문화의 토양을 기초로 하고 다양한 문화적 소재를 중심으로 출발하여 현대생활에 유용한 실용적가치에 충실하면서도 세계화속에서 문화적 차별성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국제적으로 문화소재를 이용한 상품화개발은 자국의 문화상품을 세계화하는 것이 국가의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제문화상품들을 현대적인 디자인, 연령층, 내 외국인용 상품을 고려한 고객 만족도 조사와 함께 다양한 상품개발과 뮤지엄 샵의 운영상의 어려움에 따른 국가적인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로 한다. 더불어 해외의 뮤지엄 샵처럼 on-off line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문화상품 구입 시 회원제도, 특별 할인 행사 등의 마케팅 전략을 도입, 뮤지엄 샵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다할 때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