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inolytic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33초

복합종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메주의 특성 (Properties of Meju Fermented with Multiple Starters)

  • 조민정;심재민;이재용;이강욱;야오좡;류샤오밍;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9-116
    • /
    • 2016
  • 대두에 B. amyloliquefaciens 2 균주들과 P. farinosa SY80, 그리고 R. oryzae 총 4 균주를 접종한 메주를 만들었다(메주 1). 대조구로 B. subtilis KACC16450과 A. oryzae를 접종한 메주(메주 2)와 볏짚을 균원시료로 접종한 메주(메주 3)들을 제조하여 총 56일 발효시켰다. 발효 기간중 메주 1과 2의 pH와 적정산도는 메주 3보다 각각 높고 그리고 낮았다. 메주의 혈전용해능은 메주 1이 가장 높았다. 발효 기간중 모든 메주에서 B. ce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메주 2와 3에서 여러 모양과 색을 띈 잡균들이 검출되었다. 메주 2에서 histamine이 그리고 메주 3에서 tyramine이 저 농도로 검출되었으나 메주 1에서는 둘 다 검출되지 않았다. B. amyloliquefaciens EMD17이나 MJ1-4와 같은 항균력 균주들을 접종하여 메주를 제조하면 미생물학적으로 보다 안전한 장류제품들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CJW15와 SSD8이 만드는 항균물질들의 특성 (Properties of Antimicrobial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CJW15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SSD8)

  • 류샤오밍;심재민;야오좡;이재용;이강욱;김현진;함경식;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18
    • /
    • 2016
  • 청국장에서 강력한 항균력을 지닌 2개의 Bacillus 균주들인 CJW15와 SSD8이 분리되었다. 16S rRNA와 recA 유전자들 염기서열 결정에 의해 두가지 균주 모두 B.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다. CJW15는 B. cereus ATCC14579, Listeria monocytogenes ATCC19111, Lactococcus lactis ATCC11454 들의 증식을 강력히 억제하며 SSD8은 B. cereus ATCC14579와 Enterococcus faecium ATCC19953 증식을 억제하였다. 두 균주들의 항균력은 $100^{\circ}C$, 15분 처리에도 감소하지 않았고 산성인 pH 3과 알칼리인 pH 12에서도 안정하였다. 트립신, 펩신, 프로테아제 K, 프로테아제 효소처리에 의해 CJW15 항균력은 변화가 없었지만 SSD8 항균력은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두 균주 공히 surfactin, fengycin, iturin, iturinA와 같은 lipopeptide 생합성 유전자들을 지니고 있고 subtilin과 같은 박테리오신 유전자들도 지니고 있다. 또 두 균주들은 혈전용해능을 지니고 있다.

Effects of Amylase and Cellulase Supplementation in Sorghum-based Diets for Finishing Pigs

  • Park, J.S.;Kim, I.H.;Hancock, J.D.;Hines, R.H.;Cobb, C.;Cao, H.;Hong, J.W.;Kwon, O.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70-76
    • /
    • 2003
  •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sorghum-specific enzyme system, derived from an Aspergillus niger and Bacillus subtilis fermentation extract (carbohydrase activity of 1,650 $\alpha$-amylase units and cellulase activity of 30 fibrinolytic units/mL), on growth performance of finishing pigs. In Exp. 1,192 pigs (average initial BW of 46.1 kg) were fed sorghum-based diets without or with 360 mL of enzyme system per ton of sorghum in a 78 d growth assay. For d 0 to 39, gain/feed was improved (p<0.03) with enzyme supplementation, but ADG was not affected (p>0.15). For d 39 to 78 and overall (d 0 to 78), ADG, gain/feed, and digestibilities of DM and N were not affected (p>0.13) by enzyme supplementation. Backfat thickness, fat-free lean index, and scores for stomach keratinization and ulcers also were not affected (p>0.15) by the dietary treatments. In Exp. 2,168 pigs (average initial BW of 58.4 kg) were fed diets without or with 150, 300, or 450 mL/ton of the same enzyme system used in Exp. 1. Adding as much as 450 mL enzyme system / ton of sorghum did not affect (p>0.15) ADG or gain/feed for d 0 to 29 of the growth assay. However, during d 29 to 63, ADG increased by 11% (linear effect, p<0.02) and gain/feed increased by 10% (linear effect, p<0.06) as enzym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none to 450 mL/ton of sorghum. For the overall period (d 0 to 63), ADG tended to increase (p<0.08) with enzyme supplementation, but gain/feed and digestibilities of DM and N were not affected (p>0.14). Carcass characteristics (dressing percentage, backfat thickness, and fat free lean index) also were not affected (p>0.20) by addition of the enzyme system. In Exp. 3,176 pigs (average initial BW of 46.7 kg) were fed diets without or with 450, 900, or 1,350 mL/ton of the same enzyme system used in Exp. 1 and 2 in a 71 d growth assay. Adding up to 1,350 mL/ton of enzyme had no effects (p>0.15) on ADG, gain/feed, digestibilities of DM and 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dressing percentage, backfat thickness, and fat-free lean index). In conclusion, finishing pigs fed diets with a sorghum-specific enzyme system showed some positive trends for improved growth performance, but those effects were not large and (or) consistent.

구기자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 예취시기 및 생리활성 평가 (Variety, Cutting Dat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r Production of Leaves in Goji Berry (Lycium chinense Mill.))

  • 주정일;백승우;윤덕상;박영춘;이보희;손승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6-445
    • /
    • 2020
  • 구기자 잎을 이용한 특허제품 개발 및 기능성 식품소재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구기자 잎을 규격화 표준화하여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생산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구기자 육성품종 중에서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 가공용 잎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예취시기를 확립코자 하였다. 구기자 11품종 중 잎 생산에 적합한 품종은 '명안'이었고, 다른 품종에 비하여 잎이 크고 분얼과 재생력이 왕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잎 건물수량도 높았다. '명안' 품종에서 구기자 잎 생산에 적합한 예취시기는 초장이 약 60 ~ 70 cm 자랐을 시기였고, 잎 수량은 5월 16일 수확 시 평균 106 kg/10a, 6월 20일 수확시 평균 287 kg/10a로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구기자의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을 1.43 ~ 2.63% 범위였고, 품종과 예취시기에 따라 함량이 다른데 생육이 진전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구기자나무 잎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항고혈압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이 평균 84.4 ~ 90.8%로 높은 편이었고, 나머지 생리기능성은 20% 이하로 낮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TGF-${\beta}1$으로 자극한 사람중피세포주에서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제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on TGF-${\beta}1$ Pre-Treated Human Mesothelial Cell Line)

  • 이정림;전수진;유영춘;김지혜;이유미;권선중;손지웅;최유진;나문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405-415
    • /
    • 2011
  • Background: In an effort to find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s to prevent excessive fibrosis as a sequela to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or empyema, we examined the effect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as a fibrinolytic agent combined with talc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in a human pleural mesothelial cell line, MeT-5A. Methods: MeT-5A cells were stimulated with various doses of talc, doxycycline or TGF-${\beta}1$ for 24 h and then were treated with tPA for an additional 24 h.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8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ulture supernatants was measured by ELISA. Real-time PCR was carried out for measurement of type I collagen mRNA. Results: MeT-5A cells treated with talc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production of IL-8. Talc also increased production of type I collagen mRNA at low doses, but talc did not influence the induction of VEGF. Addition of tPA to talc-stimulated cells showed further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IL-8, but tPA did not influence the production of VEGF or type I collagen mRNA. TGF-${\beta}1$ increased the production of both VEGF and collagen type I mRNA, both of which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additional tPA treatment in MeT-5A cells. Conclusion: TGF-${\beta}1$ is a potent inducer of collagen synthesis without induction of IL-8 in MeT-5A cells. Addition of tPA after TGF-${\beta}1$ stimulation inhibited further fibrosis by direct inhibition of collagen mRNA synthesis as well as by inhibition of VEGF production.

송이즙의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활성 및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의 저해활성 검색 (Antioxidant Activity, Fibrinolysis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Pine Mushroom Juice (Tricholoma matsutake Sing))

  • 김영언;권은경;한대석;김인호;구경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35-541
    • /
    • 2008
  • 송이(Tricholoma matsutake Sing.)는 맛과 향기가 뛰어난 고급 기호식품으로서 연간 5,000만 불 이상 수출되어온 고부가가치 작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냉동송이의 해동시에 유출되는 송이즙의 생리활성을 탐색하고자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항고혈압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송이즙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48.3{\pm}2.2%$였으며 농도의존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ibrin-plate법을 사용하여 알아본 송이즙의 혈전용해 활성은 양성대조구인 plasmin(1 unit/mL)에 비해 약 2배가량 높은 활성을 보였다. 송이즙의 $IC_{50}$$1.03^{\circ}$Brix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captopril의 경우에는 약 45.7 nM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송이즙은 우수한 생리활성을 보임으로써 좋은 가공원료로 이용할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향주의 발효 및 기능적 특성 (Fermenta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 박치덕;정희경;김대익;이인선;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64-469
    • /
    • 2007
  •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하향주의 발효 및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밑술 발효 기간 동안의 미생물과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발효 6일째 효모의 개체수가 $8.49{\times}10^7\;CFU/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함량은 약 11%, 총산도 0.82%, 아미노산도 0.53%로 나타나 밑술의 최적 발효 기간은 6일임을 확인하였다. 덧술 담금 후 100일간 발효시킨 최종 하향주의 품질은 알코올 함량이 19.2%로 민속주로서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환원당 0.32%, 총산도 0.46%, 아미노산도가 0.24%이었다. 유기 산중 젖산균에 의해 생성된 lactic acid가 680.04 mg/100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은 proline이 47.51mg/100mL로 가장 많이 존재하였다. 하향주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263.16 ppm이었고, 전자공여능은 93.08%로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다양한 PH(1.2, 3.0, 4.2, 6.0)에서 측정하였는데, pH 1.2에서 90.26%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ACE 저해활성은 87.5%, 혈전용해 활성은 19.1unit로 분석되었다.

발효누에분말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 차재영;김용순;안희영;엄경은;박보경;전방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68-14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누에 단백질을 미생물발효에 의해 생리활성물질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Bacillus 및 Lactobacillus 균주로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누에분말을 발효시켜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단백질 패턴 비교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Native-PAGE 및 SDS-PAGE로 누에 단백질을 분석 한 결과 동결건조 누에분말에서 많은 종류의 밴드가 관찰되었고, B. subtilis 발효에 의해서 단백질 패턴과 양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열풍 및 동결건조 누에분말의 주요 미네랄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아연 이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serine 이였고, 주요 지방산은 linolen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 이였다. 혈전용해 활성은 동결 및 열풍건조 누에분말 모두 B. subtilis 균주 5% 접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동결건조 발효누에서 보다 높은 혈전용해 활성이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효과는 열풍건조 누에분말 보다 동결건조 누에분말의 물 및 70%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DPPH free-radical 소거능은 동결건조 누에분말 보다 열풍건조 누에분말에서 조금 높게 나왔으며, L. hilgardii 균주에 의한 발효누에가 B. subtilis 균주에 의한 발효 누에보다 항산화 활성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모든 시료에서 시판 항산화제인 BHT 보다는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누에 단백질을 생리활성물질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B. subtilis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누에에서 단백질 함량 증가, 전기영동 단백질 패턴 변화, 혈전 용해 활성 및 항산화 활성 증가와 같은 생리활성작용이 강화됨으로써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쥐 모델에 있어 내독소에 의한 실험적인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Experimental Endotoxin-Induce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Rat Model)

  • Seok- Cheol Choi;Jai-Young Kim;Jin-Bog Koh;Won-Jae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3-88
    • /
    • 1997
  •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패혈증 환자들에 있어 빈번히 발생하며 여러 가지 위급한 질병 상태에 관계하는 병리학적 상황이다.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기존의 복잡한 임상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어서 높은 사망률의 원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병인적 기전들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의 발생에 관여하는 병인적 기전들의 이해를 위해 전향적으로 계획되었다. 15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해서 연구목적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다:I 군은 대조군으로서 내독소를 투여하지 않은 쥐들이고 (n=5), II 군은 내독소 투여 후 12시간이 경과한 쥐들이며 (n=5), III군은 내독소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한 쥐들이었다 (n=5). 실험적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일정량의 내 독소를 한번에 투여하여 유도하였다 (1mg/kg, E. coli serotype 055:B5). 실험대상 쥐들의 심장으로부터 직접 채혈하여 혈소판수, 섬유소원 농도, plasminogen 농도, 항트롬빈 III 농도, D-dimer, 보체성분 (C3 및 C4)을 측정하였다. 내독소를 투여한 II 군과 III 군에 있어 혈소판수, 섬유소원 (III 군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 plasminogen, 항트롬빈 III, 그리고 C3등의 혈중 농도들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D-dimer 농도는 증가함으로써 명백한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은 내독소에 의해 응고계, 섬유소용해계, 그리고 보체계와 같은 여러경로의 활성화가 유도될 수 있으며, 이로해서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및 이차적인 중복 장기기능 부전이 발생하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이와같은 실험적인 내독소 유도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에 있어 응고계 및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을 일으키는 다양한 기전에 관한 축척된 지식들은 그와 같은 질병의 예방 혹은 치료방법을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몇 가지 주요 식용버섯의 생리기능성 물질 탐색과 파골세포 분화 저해물질의 생산 (Screening of Bioactive Compounds from Edible Mushroom and Production of Anti-osteoporosis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or)

  • 장인택;김영헌;김정한;이윤혜;주영철;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4-117
    • /
    • 2012
  •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생리기능성 물질을 개발을 위해 몇가지 식용 버섯들의 물 추출물들을 제조한 후 이들 추출물들의 파골세포 분화 저해활성등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버섯자실체들의 물 추출물 중, 느타리버섯의 물 추출물은 73.2%, 만가닥버섯은 65.3%의 비교적 높은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보였고 느타리버섯의 물 추출물은 73.3%의 높은 항통풍성 잔틴 산화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만가닥버섯의 물 추출물이 21.5 mm투명환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보였고 잣버섯 물 추출물 역시 40.3%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매우 미약 하였다. 또한 큰느타리버섯과 만가닥버섯의 물 추출물들은 파골세포 분화 저해활성이 높았으나, 잣버섯과 느타리버섯의 물 추출물에서는 파골세포 분화 저해활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