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in adhesiv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혈소판 유래 섬유소(Platelet Rich Fibrin(PRF))를 이용한 골결손부의 치료 : 증례보고 (Clinical use of Platelet Rich Fibrin(PRF) in Various Hard and Soft Tissue Defect : Case Report)

  • 지영덕;고세욱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4호
    • /
    • pp.303-312
    • /
    • 2007
  •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been developed not only to apply bone materials to bony defect, but also to use osteogenic and osteoinductive materials to form bone more effectively. In 1998 Mark et al applied gel formation of PRP(platelet-rich plasma) in bony transplantation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as one of the method of stimulating bone formation in maxillofacial area, which is contain of varies growth factors. After he reported that PRP accelerate bone formation, which is used in varies bone transplantation and augmentation with a good result. Especially there are amount of growth factors in PRP, and PRP increase angiogenesis, cell division, and mesenchymal cell growth. Moreover it is capable of osteoconduction, hemostatitis, anti-infection, forming the shape at transplantation, ease of handling, and recipient site stability. So it is known that success rate is high in bone transplantation. However PRP need tissue adhesive to make plasma to solid form. Thrombin and calcium chloride, component of PRP, is extracted from autogenic donor. So it is expensive to extract and there is possibility of hepatitis, AIDS, and hematogenous metastasis. After all, tissue adhesive have the limitation and danger of use. So we are willing to introduce that we had get some idea after using PRF(platelet-rich fibrin) in the various hard and soft tissue bony defect, which is self extracted simply and contain growth factors.

Staple Line Coverage with a Polyglycolic Acid Patch and Fibrin Glue without Pleural Abrasion after Thoracoscopic Bullectomy for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Hong, Ki Pyo;Kim, Do Kyun;Kang, Kyung H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2호
    • /
    • pp.85-91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taple line coverage using a polyglycolic acid patch and fibrin glue without pleural abrasion to prevent recurrent postoperative pneumothorax.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f 116 operations performed between January 2011 and April 2013. During this period, staple lines were covered with a polyglycolic acid patch and fibrin glue in 58 cases (group A), while 58 cases underwent thoracoscopic bullectomy only (group B).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range, 22 to 55 months). The duration of chest tube drainage was shorter in group A (group A $2.7{\pm}1.2day$ vs. group B $3.9{\pm}2.3day$, p=0.001). Prolonged postoperative air leakag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group B than in group A (43% vs. 19%, p=0.005). The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 of pneumothorax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8.6%) than in group B (24.1%) (p=0.043). The total cost of treatment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cluding the cost for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recurrent pneumothorax,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43). Conclusion: Without pleural abrasion, staple line coverage with a medium-sized polyglycolic acid patch and fibrin glue after thoracoscopic bullectomy for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is a useful technique that can reduce the duration of postoperative pleural drainage and the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 of pneumothorax.

카테콜 함유 생체모방 점막접착형 고분자의 합성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techol-Containing Biomimetic Mucoadhesive Polymers)

  • 박동진;이상진;이상천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625-631
    • /
    • 2013
  • 점막접착 기능은 인체의 다양한 장기에 적용되는 의료용 접착제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이며, 점막접착 기능을 갖는 고분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생체모방 기술을 통한 점막접착형 고분자를 개발하고 있고, 그 중 해양 부착 생물인 홍합의 접착 기능 및 특성이 접착제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홍합 접착 물질 속에 과량 존재해 표면 접착 기능을 발현하는 카테콜 구조가 도입된 생체모방형 고분자를 합성하였고, 핵자기공명분광법 및 젤투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n vitro 상에서 돼지의 소장점막하조직 sheet를 준비하여 전단 시편을 제작하고 점막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점막접착형 고분자는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조군인 피브린글루와 비교할 때 월등한 접착력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인자를 변화시키며 최적의 점막접착력을 나타내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우수한 점막접착형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개발하였고 다양한 임상적용 및 의료용 기기에 도입가능한 소재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고 사료된다.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에 의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 발생 시 조직 접착제를 이용한 골유도 재생술: 증례보고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Fibrin Glue in Dehiscence or Fenestration Defects Occurred by Maxillary Anterior Implants: Case Report)

  • 지영덕;선화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77-290
    • /
    • 2012
  • 최근 치과 임플란트는 구강 내 무치악 부위의 보편적인 수복 방법으로 임상가 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도 널리 인식되어 있다. 외상, 만성 치주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악 전치부는 발치 후 급속한 순측 골흡수가 진행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협소한 순구개 폭경을 가진 상악 전치부 치조제 상에 임프란트 식립 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골유도 재생술을 사용하여 상악 전치부 치조제를 증강시킬 수 있다. 골유도 재생술시 골이식재에 조직 접착제를 혼합하여 기계적 및 생물학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순설 폭경이 얇은 상악 전치부 치조제 상에 임플란트 식립에 의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 발생시 자가골을 제외한 동종골, 이종골, 그리고 합성골 입자형 골이식재 등을 다양하게 조합한 후 조직 접착제와 혼합하여 골유도 재생술을 진행하였다. 모든 증례에서 양호한 치조제 증강을 보였음에 보고하는 바이다.

원발성 자연기흉 환자에서 2mm 흉강경 검사와 기포절제술 후 Fibrin Glue 도포의 효용성 (Efficacy of 2 mm Videothoracoscopic Examination and Application of Fibrin Glue in Bullectomy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덕헌;금동윤;박창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438-443
    • /
    • 2004
  • 배경 : 비디오 흉강경의 발전으로 원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치료방침은 기관이나 술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 본 교실에서는 원발성 자연기흉의 치료지침을 변경하였는데, 기흉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즉각적인 흉관 처치를 필요치 않을 경우 먼저 국소마취하에서 2 mm 흉강경을 이용하여 폐실질을 살핀 후 폐기포가 없으면 흉강 내 공기를 음압을 이용해 완전 제거 후 귀가 조치하였으며, 폐기포 발견 시 즉각 전신마취로 전환하여 흉강경하 폐기포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또한 흉강경 수술시 기계적 흉막유착술 대신 폐기포 절단면에 fibrin glue를 도포하여 수술을 마쳤다. 이에 새로운 치료방침에 따른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치료법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발성 자연기흉으로 진단받고 2 mm 흉강경 검사를 시행한 21예를 I군, 흉관삽관치료만 시행한 68예를 II군, fibrin glue 도포를 시행한 56예를 III군, 기계적 흉막유착술을 시행한 87예를 IV군으로 술 후 흉관 삽입기간, 재원일수, 재발의 빈도를 조사하여 I군과 II군, III군과 IV군을 비교하였다. 걸か: 모든 군에서 나이, 성별과 기흉의 위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군에서 12예는 기포가 발견되어 기포제거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9예에서는 기포가 발견되지 않아 흉관 삽관 없이 단순 흡입만 시행하였다. 단순 흡입만 시행한 환자의 경우 재원일수는 2.1$\pm$1.0일로 II군의 3.9$\pm$2.1일보다 짧았다(p=0.014). I군의 1예에서 7일 후 기흉이 재발하였고, II군의 26예에서 재발을 하였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49). III군에서는 흉관삽입기간은 2.8$\pm$1.8일로 IV군의 3.0$\pm$2.5일보다 짧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516), 재원일수는 III군에서 5.6$\pm$2.7일, IV군에서 7.3$\pm$3.3일로 III군의 재원일수가 짧았다(p=0.002). III군에서는 재발이 없었고, IV군에서는 7명에서 재발을 하였다(p=0.043). 결론: 원발성 자연 기흉 환자에서 2 mm 흉강경 검사 후 수술적응을 결정하고 기포제거술 시 fibrin glue를 사용한다면 빠른 임상 경과와 재발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