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optic bronchoscop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비출혈 환자에서 굴곡성 기관지를 이용한 맹목적 기관내 삽관 (Blind Intubation Using Fiberoptic Bronchoscope in Epistaxis)

  • 이승현;윤지영;김철홍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3
    • /
    • 2012
  • Nasotracheal intubation is an essential procedure during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Fiberoptic intubation is best accomplished by those who perform it as part of their daily practice. But nasal approach of fiberoptic intubation has some complications such as epistaxis and laryngeal injury. Especially, epistaxis is common and it make fiberoptic intubation because of limited view. When the epistaxis obstruct the field of vision we have to withdraw the fiberoptic bronchoscope and consider the other method for securing the airway. We succeeded in securing the airway of patient who had epistaxis during the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without withdrawing the fiberoptic bronchoscope. We used blind intubation guided by light source placed the tip of fiberoptic bronchscope applied to lightwand intubation.

Fiberoptic bronchoscope and C-MAC video laryngoscope assisted nasal-oral tube exchange: two case reports

  • Ji, Sungmi;Song, Jaegyok;Kim, Seok Kon;Kim, Moon-Young;Kim, Sangyu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3호
    • /
    • pp.219-223
    • /
    • 2017
  • In cases of multiple facial trauma and other specific cases, the anesthesiologist may be asked to convert an oral endotracheal tube to a nasal endotracheal tube or vice versa. Conventionally, the patient is simply extubated and the endotracheal tube is re-inserted along either the oral or nasal route. However, the task of airway management can become difficult due to surgical trauma or worsening of the airway condition. Fiberoptic bronchoscopy was considered a novel method of airway conversion but this method is not useful when there are secretions and bleeding in the airway, or if the anesthesiologist is inexperienced in using this device. We report a successful airway conversion under the aid of both, a fiberoptic bronchoscope and a C-MAC video laryngoscope.

Ludwig's Angina 환자의 어려운 기도 관리에서 기관지내시경과 비디오 후두경의 병용 경험 (Difficult Airway Management with Fiberoptic Bronchoscopy Combined with Video Laryngoscope in a Patient with Ludwig Angina)

  • 송재격;김석곤;배정호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9-193
    • /
    • 2013
  • We experienced dfficult airway management in a patient who had Ludwig angina with morbid obesity, dfficulty with mouth opening and neck extension. We planned to perform awake-nasotracheal intubation with fiberoptic bronchoscopy but the patient's condition was not suitable to do this procedure. Thus, we tried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but we experienced difficult airway management due to epistaxis. We tried to use video laryngoscope instead of fiberpotic bronchoscopy but also failed to guide the tube into trachea due to limited mouth opening. We used video laryngoscope to make a view of vocal cord and used fiberoptic bronchoscope as an intubation guide of endotrachedal tube and successfully intubated the patient.

굴곡성 기관지경을 이용한 성인의 기도내 이물 제거 (Fiberoptic Bronchoscopy for Removal of Endobronchial Foreign Bodies in Adults)

  • 유지홍;윤기헌;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116-118
    • /
    • 1991
  • Foreign body aspiration occurs uncommonly in adults. A review of recent reports reveals only a few case reports on this topic. We have experienced 8 cases of endobronchial foreign bodies in adults from June 1988 to February 1991 which were removed successfully with fiberoptic bronchoscope and biopsy forceps. Only one of them had the primary disorder predisposing aspiration. Foreign bodies were located in right lower lobe (3 cases), right intermediate (2 cases), left lower lobe (2 cases) and left upper lobe bronchus (1 cases). Removal of endobronchial foreign boides in adult would be accomplished by fiberoptic bronchoscopy successfully.

  • PDF

기관지경 오염에 의한 비결핵항산균증의 위발생 (Pseudoepidemic of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OTT) Due to Contaminated Bronchoscope)

  • 곽승민;김세규;장중현;이홍렬;이이형;김성규;이원영;정윤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29-34
    • /
    • 1993
  • 연구배경 : Ikeda에 의해 임상에 도입된 굴곡성 기관지경은 각종 폐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시술 증례도 증가하고 있으나 외국에서는 결핵균, 비결핵항산균 및 여러 세균들에 의한 기관지경의 교차오염예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므로 기관지경의 세척과 소독방법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방법 : 1991년 11월부터 1992년 5월 까지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한 예중에서 기관지세척액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배양된 예들을 분석하고 본원에서 화학살균제로 사용하고 있는 2% alkaline glutaraldehyde의 살균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실내에서 2% alkaline glutaraldehyde와 비결핵항산균 및 세균을 접촉시킨후 균의 사멸 여부를 알아 보았다. 결과 : 2% glutaraldehyde 소독제 용액에 비결핵항산균은 2% glutaraldehyde 1:1 용액으로 30분간 접촉한 후 균이 자라지 않았으며 그 밖의 세균들은 접촉 바로 후에 자라지 않았다. 위발생 인지후 철저한 기계적 세척과 함께 세척기내에서 30분이상 2% glutaraldehyde에 담가둔 이후로는 위양성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기관지경 사용후 기계적 세척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2% glutaraldehyde 용액으로 소독시 비결핵항산균의 소멸을 기대하려면 적어도 30분 이상 접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감염조절 방법을 엄격하게 적용한다 하더라도 오염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비병원균으로 알려진 균들이 비통상적으로 갑자가 높은율로 검출되면 위발생을 생각하여야 한다.

  • PDF

Blind nasal intubation as an alternative to difficult intubation approaches

  • Yoo, Hwanhee;Choi, Jae Moon;Jo, Jun-young;Lee, Sukyung;Jeong, Sung-Moo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5권3호
    • /
    • pp.181-184
    • /
    • 2015
  • Airway difficulties are a major concern for anesthesiologists. Even though fiberoptic intubation is the generally accepted method for management of difficult airways, it is not without disadvantages-requires patient cooperation, and cannot be performed on soiled airway or upper airways with pre-existing narrowing pathology. Additionally, fiberoptic bronchoscopy is not available at every medical institution. In this case, we encountered difficult airway management in a 71-year-old man with a high Mallampati grade and a thick neck who had undergone urologic surgery. Several attempts, including a bronchoscope-guided intubation, were unsuccessful. Finally, blind nasal intubation was successful while the patient's neck was flexed and the tracheal cartilage was gently pressed down. We suggest that blind nasal intubation is a helpful alternative in difficult airway management and it can be a lifesaving technique in emergencies. Additionally, its simplicity makes it a less expensive option when advanced airway technology (fiberoptic bronchoscopy) is unavailable.

기관지주위 병변과 점막하 병변을 보이는 폐암의 진단에 있어서 경기관지 침흡인술의 유용성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in the Diagnosis of Submucosal and Peribronchial Bronchogenic Carcinoma)

  • 정재호;최정은;박무석;김영삼;장준;김성규;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4호
    • /
    • pp.374-380
    • /
    • 2004
  • 목 적 : 폐암의 진단에 있어서 진단율이 낮은 기관지주위나 점막하 병변에서 TBNA의 진단율을 조직 생검과 비교하여 TBNA의 임상적인 유용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1994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5,582예의 굴곡성 기관지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기관지주위나 점막하 병변을 보여 TBNA와 조직생검을 시행한 환자 중 폐암이 확진되었던 12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기관지주위나 점막하 병변을 가진 폐암에서 TBNA의 진단율은 75.8%로 생검(52.5%)에 비해 진단율이 높았으며(p=0.001), 생검 단독에 비해 TBNA와 생검을 병용하는 경우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88.3%, p=0.0001). 폐암의 세포형이나 내시경적 형태에 따른 TBNA의 진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소세포암에서 좀 더 높았다. 결 론 : 기관지주위나 점막하 병변을 가진 폐암의 진단에 있어서 TBNA는 생검보다 진단율이 높았고 생검과 같이 시행함으로써 폐암의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기관지내시경하에 시행한 조직생검에 대한 고찰 (Clinical Analysis of Tissue Biopsy Under Fiberoptic Bronchoscopy)

  • 고건성;유장열;박석근;조태권;노관택;김홍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5.1-5
    • /
    • 1978
  • 1968년 Ikeda가 처음으로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e를 소개한 후 기관지경의 이용은 급속히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기관지경검사중에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생검도 빈번히 시행하게 되었다. 저자등은 1976년 6월부터 1978년 1월까지 시행한 233례의 기관지경검사중 조직생검을 시행한 71례를 분석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개월간 의뢰된 233례의 기관지경검사중 조직생검이 필요했던 경우는 30.5%인 71례이었다. 2. 조직생검이 필요했던 71례의 주소는 해수(17례), 호흡곤란(16례), 객담(15례) 등이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흉통, 객혈의 순이었다. 3. 조직생검의 부위는 우상엽기관지가 21.1%로 제일 많았고, 좌주기관지, 좌상엽기관지, 우주기관지, 좌하엽기관지등의 순이었다. 4. 조직생검이 필요했던 71례의 원인질환은 폐암이 80%(57례), 결핵이 15%(11례), 악성중피종, 탄분증, 국균증(aspergillosis)등이 각 1례이었다. 5. 폐암이 생검결과 확진된 것은 57례중 36례로 63%의 진단율을 보였다. 6. 폐암으로 확진된 36례의 병리학적 소견은 편평상피암이 64%(25례), anaplastic 25%(9례), 폐암과 분류할 수 없는 것이 각 1례이었다. 7. 71례중 기관지조영술을 한 예는 51%인 36예이었으며, 그 시기는 기관지경검사전에 시행한 것이 1/4, 후에 시행한 것이 3/4이었다. 8. 71예중 76%(54예)에서, 세포진단학 검사를 병행하였으며, 이 결과는 PAP class V가 15%, class IV가 7.5%, class III가 1.8%이었다.

  • PDF

기관내 지방종-1례 보고- (A case Report of Tracheal Lipoma)

  • 문석환;조민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41-444
    • /
    • 1997
  • 기관내 지방종은 문헌상 매우 희귀한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본 환자는37세의 건강한 남자로 간질성와 호흡곤란의 증상으로 지난 6개월간 기관지천식의 진단하에 치료받아 오던중,본원에서 흉부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내시경검사상 흉부기관의 내강에 위치한 구형의 종양이 기관내강의 대부분을 막고 있음을 알고 기관지내시경검사하에 용종제거술루우프를 이용하여 전기소작과 더불어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환자는 수술후 3일 째 퇴원하였으며,수술후 1, 6개월에 시행한 기관지내시경상 재발없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PDF

Protecting the tracheal tube cuff: a novel solution

  • Abel, Adam;Behrman, David A.;Samuels, Jon D.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2호
    • /
    • pp.167-171
    • /
    • 2021
  • We describe the successful insertion of a nasotracheal tube following repeated cuff rupture. The patient was a 55-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nasal trauma and multiple rhinoplasties, who underwent elective Lefort I osteotomy and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for correction of skeletal facial deformity. During fiberoptic bronchoscope-guided nasal intubation after the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the tracheal tube repeatedly ruptured in both nares, despite extensive preparation of the nasal airways. We covered the cuff with a one-inch tape, intubated to the level of the oropharynx, pulled the tracheal tube out through the mouth, and removed the tape. The tracheal tube was then backed out to the level of the uvula, and was successfully adva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