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 optics communica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18초

Window 밀폐형 광 커넥터의 허용 공차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cceptable Tolerances of a Window Hermetic Optical Connector)

  • 전우성;정미숙
    • 한국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10-217
    • /
    • 2022
  • Window 밀폐형 광 커넥터의 정렬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광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렬용 기구물의 허용 공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광섬유 간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광 커넥터는 광신호 전달 및 광통신 시스템의 전달 거리 증가를 위해 높은 광효율을 유지 및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Window 밀폐형 광 커넥터의 경우 정렬용 기구물을 통해 광학계를 정렬하며, 이때 두 커넥터를 결속한 채 사용하기 때문에 구성요소가 고정되어 추가적인 정렬이 불가능하다. 광 커넥터의 광학계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하우징 시스템 및 정렬 핀이 가지는 정렬오차는 광 손실을 발생시켜 광통신 시스템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해당 광 커넥터의 정렬용 기구물 제작 시 요구되는 허용 공차에 대한 연구를 위해 광 커넥터의 광학 부품인 볼렌즈와 window의 공차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single-mode와 multi-mode 광 커넥터 광학계를 각각 구현하여 광 효율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정렬용 기구물에 대한 허용 공차 값을 도출하였다.

$\lambda$=1.55 $\mu$m에서 포물선분포-이중클래드, 분산보상 단일모드 광섬유의 설계 (Design of double-clad, dispersion-compensating single-mode fiber with parabolic-index profile for $\lambda$=1.55 $\mu$m)

  • 김동각;김창민;이상배;강희전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4-141
    • /
    • 1997
  • 기존의 .lambda.=1.31.mu.m에서 분산 최적화된 광통신시스템을 .lambda.=1.55.mu.m 광전송시스템으로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분산보상 단일모드 광섬유(DCF)를 설계하였다. 총분산이 .lambda.=1.55.mu.m에서 큰 마이너스 분산치를 갖는 굴절율 분포를 얻기 위해 포물선 분포-이중클래드 광섬유의 분산특성을 해석하였다. 광섬유 스칼라 파동방정식으로부터 분산특성을 얻기 위해 1차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였다. Reel에 감긴 DCF의 macro-bending에 의한 손실을 적절히 제한하기 위해, L $P_{01}$모드의 차단 파장이 .lambda.=1.80.mu.m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이 조건에 맞는 굴절율분포의 .lambda.=1.55.mu.m에서 분산의 하한치는 약 -120 ps/nm.km정도로 제한됨을 볼 수 있었다.다.

  • PDF

마하 젠더 변조기로 생성된 CSRZ 펄스 기반의 200 Gb/s OTDM-PAM4 신호의 전송 (Transmission of 200-Gb/s 2-channel OTDM-PAM4 Signal Based on CSRZ Pulse Generated by Mach-Zehnder Modulator)

  • 배성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1-156
    • /
    • 2023
  • 파장당 200 Gb/s급 신호를 전송하는 고속 근거리 광통신 시스템을 비용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캐리어 억제 펄스 기반의 2채널 광학적 시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캐리어 억제 펄스는 널 바이어스가 인가된 마하 젠더 변조기로 생성되며, 이는 시분할 다중화 신호를 색분산에 강인하게 만든다. 송신부에서는 캐리어 억제 펄스를 둘로 분기하고, 각각을 100 Gb/s의 4레벨 진폭 변조 신호로 변조한 후, 광학적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200 Gb/s의 신호를 생성한다. 다중화된 광 신호는 광섬유로 전송된 후, 반도체 광 증폭기로 증폭되며, 한 개의 광 검출기로 검출된다. 증폭기에 의해 발생한 잡음은 광학 필터로 제거된다. 시분할 다중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화는 다중 입력-다중 출력 이퀄라이저로 보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 Gb/s의 고속 신호를 40 ps/nm의 색분산을 갖는 광섬유로 전송하여도 3.8×10-3 이하의 비트 오율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였다.

광통신용 $1.3{\mu}m$ Ridge Waveguide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의 제작과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1.3{\mu}m$ RWG-DFB-LD for Optical Fiber Communication)

  • 박경현;이중기;장동훈;유지범;강승구;김홍만;이용탁;박형무;조호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119
    • /
    • 1994
  • 발진파장이 $1.3\mu\textrm{m}$인 Ridge Waveguide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RWG-DFB-LD)를 제작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회절격자 형성은 광간섭무늬 노광법을 이용하였고 결정성장은 LPE로 수행하였다. 제작된 RWG-DFB-LD의 발진 임계전류는 67 mA이었고, 1296.5 nm 파장에서 측모우드 억제율 30 dB 이상으로 단일 종모우드 발진하였다. 금지대역폭 측정에 의한 회절격자 결합계수(k)는 $40cm^{-1}$로 평가되었다. 소신호 변조특성평가 펼과 제작한 RWG-DFB-LD는 1.2Ith에서 1.99GHz의 변조대역폭$(f_{-3dB})$ 특성을 보였다.

  • PDF

반도체 광스위치 모듈의 제작 및 특성연구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optical switch module using laser welding technique)

  • 강승구
    • 한국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3-79
    • /
    • 1999
  • 1$\times$2, 1$\times$4 및 4$\times$4 LD-gate형 반도체 광스위치 모듈을 제작하였다. 스위치 소자와 광섬유와의 광결합을 위해서 테이퍼드 광섬유를 어레어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30핀 버터플라이형 패키지로 완성하였다. 광 부푼 정렬 및 고정에서는 레이저 용접법 및 햄머링 공정을 이용하여 최초의 광정렬 값에서 평균 82%까지 복원하였다. 완성된 모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전송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1$\times$2 스위치 모듈이 삽입되었을 때 223-1의 단어길이를 갖는2.5Gbps 광신호에 대해서 전송패널티가 약0.5dB~2dB로 나타났으며, 광섬유의 분산특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송 패널티에 대해서는 50km 및 90km 광섬유에 대해서 각각 0.6dB 및 0.7dB의 작은 패널티가 발생하였다. 1$\times$4 및 4$\times$4 스위치 모듈을 이용한 전송특성 평가에서도 모두 -30dB 이하의 수신감도를 갖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1.55 $1.55{\mu}m$ InGaAsP/InGaAsP MQW 광흡수 변조기에서 구조변수가 소광특성에 미치는 영향 (Structural dependences of the extinction in an 1.55 $1.55{\mu}m$ InGaAsP/InGaAsP multiple-quantum-well electro-absorption modulator)

  • 민영선;심종인;어영선
    • 한국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0-47
    • /
    • 2001
  • 초고속 디지털 광통신용 $1.55{\mu}m$ InGaAsP/InGaAsP MQW 광흡수 변조기에서 각종 구조변수들이 광흡수변조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양자우물 수 $N_w$, 양자우물 두께 $t_w$, detuning 양 $\Delta\lambda$, 소자길이 L과 같은 구조 파라미터들에 더불어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SCH 영역내에 n형으로 도핑된 길이 $t_n$가 소자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자길이 L=$100{\mu}m$의 광흡수변조기에서 구동 전압 $V_{\alpha}$=0~-2V 영역에서 동작하고 기초흡수 -1.5dB 이하, -1V에서 -2.92dB 및 -2V에서 -10.0dB 이상의 소광비를 주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 초고속 광흡수 변조기 설계가 가능하였다.

  • PDF

Circuit Model for the Effect of Nonradiative Recombination in a High-Speed Distributed-Feedback Laser

  • Nie, Bowen;Chi, Zhijuan;Ding, Qing-an;Li, Xiang;Liu, Changqing;Wang, Xiaojuan;Zhang, Lijun;Song, Juan;Li, Chaofa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4권5호
    • /
    • pp.434-440
    • /
    • 2020
  • Based on single-mode rate equations, we present an improved equivalent-circuit model for distributed-feedback (DFB) lasers that accounts for the effects of parasitic parameters and nonradiative recombination. This equivalent-circuit model is composed of a parasitic circuit, an electrical circuit, an optical circuit, and a phase circuit, modeling the circuit equations transformed from the rate equation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ircuit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simulation results to measured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lope efficiency and threshold current of the model are 0.22 W/A and 13 mA respectively. It is also shown that increasing bias current results in the increase of the relaxation-oscillation frequency. Moreover, we show that the larger the bias current, the lower the frequency chirp,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an optical-fiber communication syste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circuit model can accurately predict a DFB laser's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